-
-
내 아이를 위한 인성수업 - 덕윤리 대가 황경식 박사의
황경식 지음 / 트로이목마 / 2021년 6월
평점 :
공자는 공부를 아무리 잘해도 인성이 없는 아이는 나중에 커서 도둑놈이 된다고 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인성 하면 흔히 ‘착한’, ‘윗사람에 대한 예의 바른‘, ‘말 잘 듣는’과 같은 개념을 머리에 떠올린다. 그것은 공자 때의 인성이다. 공자 때는 아직 문명화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사람과 동물 간의 간극이 그리 크지 않았다. 사람들을 문명화 하고 순치시킬 필요가 있었다. 또 봉건제적 신분제 유지를 위해서도 그런 인성 개념이 필요했다.
논어3권 소인학도즉이사야(小人學道則易使也․학민문화사)에서 공자가 ‘소인이 도를 배우면 부리기 쉬워진다’라고 한 말은 바로 그런 의미이다.
또한 공자는 위정자는 덕이 있어야 하며 도덕과 예의에 의한 교화가 가장 이상적인 지배방법이라고 생각하였고, 그 사상의 중심을 인(仁)에 두었다.
최고의 덕을 인으로 본 공자는, 인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인성교육은 귀족사회의 노예나 영화 아일랜드에서와 같이 복제인간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인성, 즉 ‘사람의 성품’을 갖추게 하는 것이다. 물론 그 성품은 이 시대에 맞는 성품이다.
사람만이 가지고 있는 성품이라면 그 것은 바로 ‘이성’이다. 이성은 ‘독립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독립된 주체로서 논리와 사실에 바탕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그것을 표현하고 또 실천하는 것이다.
그 다음은 타인과의 관계인 사회적 이성이라 할 수 있는 민주주의적 사고방식과 태도이다. 사람은 동물과 같이 무리지어 살지만 동물과 달리, ‘사람’이라는 조건에서는 모두 평등하다.
그것은 ‘독립된 개인’의 근거인 ‘이성’을 동일하게 가졌다는 데에서 그렇다. 민주주의적 사고방식은 다름이 아니다. 상대방을 나와 동등하게 대하는 것이다. 오만도 굴욕도 아닌 당당하고 균형 있게, 그리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호의적으로 대하는 것이다
칸트는 학생들에게 늘 ‘철학을 배우지 말고, 철학함을 배우라’고 말했다. 그 철학함은 다른 것이 아니다. 칸트가 스스로 해석한 것처럼 ‘이성을 스스로 사용하는 것’이다.
바로 스스로 생각하여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 행동하고 그리고 그 결과를 스스로 책임지는 것이다.
자기 몸과 자기 정신의 주인, 즉 독립된 개인이 되기 위한 출발이다. 인성교육은 ‘말 잘 듣고 순한 사람’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성적이고 민주주의적인 독립된 개인’을 만드는 것이어야 한다.
각설은 그만하고 이 책은 12가지 덕목에 대한 개념을 짚어주고, 왜 덕목이 중요한지, 어떻게 덕목을 기를 수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실제 사례와 그에 대한 해법, 그리고 다른 나라의 인성교육 사례를 제시한다.
이 책으로 자녀들을 양육하고 교육하는 부모와 선생님들이 자녀들과 함께 책에 나오는 사례를 읽고, 생각하고, 대화하면서 예절과 도덕, 그리고 윤리의 가치들을 진지하게 얘기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 책속으로:
존중이나 존경심을 훈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남이 나를 어떻게 대해주기를 바라는지 먼저 생각해보고, 그대로 남을 대우하는 것입니다.
나의 소유물, 사생활 권리, 존엄성을 남들이 어떻게 지켜주고 대해주기를 바라는지 생각해보고, 역지사지(易地思之), 즉 입장을 바꾸어보면 됩니다.
다른 사람을 불쾌하게 쳐다보면서 불편을 끼치지 않는 것도 유념해야 합니다. 시선 관리에도 존중하는 태도가 드러나기 때문이지요. 대화하는 중에는 시선을 다른 곳에 두지 말고 이야기를 나누는 이와 부드럽게 마주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아이를위한인성수업 #트로이목마 #황경식 #교육 #학습 #인성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