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구문 ㅣ 특서 청소년문학 19
지혜진 지음 / 특별한서재 / 2021년 4월
평점 :
대부분 역사에 관심이 없거나 지방에 사는 사람들은 시구문(屍軀門) 를 모를 것이다.
서울 중구 광희동(光熙洞)에 있는 조선의 사소문(四小門)이며 시구문(屍軀門) ·수구문(水口門)이라고도 하였으며 서소문(西小門)과 함께 시신(屍身)을 내보내던 문이다.
1396년(태조 5) 도성을 축조할 때 창건되었으며, 1422년(세종 4) 개축된 것으로 추측된다. 《숙종실록(肅宗實錄)》에 1711년(숙종 37) 민진후(閔鎭厚)의 건의로 금위영(禁衛營)으로 하여금 개축하게 하고, 문루(門樓)는 목재를 구하기가 어려우므로 후에 개축하기로 하였다는 기사가 있으며, 1719년 문루를 세워서 광희문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시신을 내어가던, 죽음과 삶의 순간이 어우러진 시구문(광희문)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운명을 넘어 새 삶을 향해 나아가려는 아이들의 여정을 담고 있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겪었던 인조 시대, 백성들의 어려웠던 삶을 배경으로 전개되는 생동감 넘치는 이야기다.
이 책의 대략 줄거리는 조선시대, 무당의 딸인 ‘기련’은 시신을 내어가는 시구문 앞에서 사람들을 속이고 푼돈을 벌어들이는 소녀다.
무당인 어머니를 원망하고 외면하지만, 돈을 벌기 위해 선택한 것 역시 어머니를 따라하는 것이었다. 친구인 백주는 그런 기련을 나무라며, 아픈 아버지와 어린 동생 백희를 책임지기 위해 바삐 살아간다.
기련은 어느 날 우연히 만난 양반가의 소애 아씨와 우정을 나누게 된다. 그런데 청나라의 침략에 도망쳤던 임금이 돌아옴과 동시에, 역모를 꾀한 양반가의 참수가 있었다는 소문이 돈다.
이 사건으로 집안이 몰락한 소애 아씨는 누명을 벗지 못하고 어느 대감 집의 몸종이 되어 버린다. 기련은 팔려간 소애 아씨를 만나기 위해 백희와 함께 김 대감 집으로 향하지만, 그곳에서 오해와 누명을 쓰고 크나큰 고초를 겪는데…….
죽음앞에서 살기 위해 운명과 맞서는 기련. 그리고 애써 현실을 외면한 체 진실에 대해 묻고 받아들여 한 발 나아가기까지의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진 책이였다.
끝이 아닌 또 다른 시작을 마주하는 주인공을 통해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이라면 어떠한 역경이 있어도 전진하기 위한 용기를 얻을 것이라 사료된다.
#지혜진 작가의 세련되면서 현시대를 반추하는 문장들이 인상 깊은 책이였다.
📚 책속으로:
이 세상에 나를 위해 기도해주는 단 한 사람은 어머니뿐이었다. 사실을 넘어선 진실은 이것 하나뿐이었다.
나는 이외에 다른 어떤 진실이 필요했던 걸까. 무엇이 더 필요해서 어머니와 나 사이를 괴롭혔을까.
P.S :출판사로부터 해당도서를 지원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시구문 #장편소설 #특별한서재 #지혜진장편소설 #책 #글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