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기어가 된 조선 유학자, 윤휴 - 왕과 사대부, 그리고 사관마저 지우려 했던 조선 최초의 자유로운 사상가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벌대의를 위해서 넘어야 할 산이 사대부들의 이중 처신이었다. 말로는 북벌을 외치면서도 내심으로는 북벌은 꿈도 못 꾸는 겉 다르고 속 다른 이중 처신이었다. 이런 사대부 대신에 윤휴가 주목한 세력이 백성들이었다.

“신이 일찍이 생각하기를 지금 사대부들은 그 마음속에 이해가 엇갈리고 보고 들은 것이 지식을 가리기 때문에 의논이나 행동이 본심을 잃는 경우가 있습니다.

서민들은 비록 무식해도 하늘이 부여한 성품이 어둡지 않아 지극히 어리석은 듯하면서도 신령하고 정성을 다하면서 신의가 있습니다.” 겉 다르고 속 다른 사대부 대신에 윤휴는 백성들에게 희망을 걸었다. 바로 그 백성들이 북벌의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신분제를 해체해야 조선이 살아난다> 중에서

윤휴의 죄는 세 가지였다.

첫째, 신성불가침의 영역인 주자의 학설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독보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하고자 한 죄, 둘째 서인 당파의 당론이었던 북벌 불가에 저항하며 조선을 동아시아의 맹주로 만드는 부국강병을 도모한 죄, 셋째 사대부 계급의 특권을 타파하고 반상과 남녀의 차별을 넘어선 세상을 실현하려 한 죄.

이 때문에 윤휴는 죽어야 했고 그 이름은 조선 최대의 금기어가 되었다.

윤휴 그는 누구인가? 본관은 남원(南原). 초명은 윤갱(尹鍞). 자는 희중(希仲), 호는 백호(白湖)·하헌(夏軒).

이조참판 윤호(尹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윤희손(尹喜孫)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윤효전(尹孝全)이며, 어머니는 첨지중추부사 김덕민(金德民)의 딸이다.

윤휴의 집안은 선비 가문으로서, 고조부인 윤자관(尹子寬)은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사화에 연루되었다. 증조부는 성균관 생원으로 벼슬에 나가 이조참판에 이르고, 할아버지는 이중호(李仲虎)를 사사하였다.

아버지는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인 민순(閔純)에게 수학하고, 1617년(광해군 9) 대사헌으로서 대비의 유폐를 반대하다가 경주부윤으로 밀려났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 아버지의 계열인 소북이 자멸하자 당색에 구애받지 않는 입장이 되었다.

어린 시절의 학업은 외할아버지의 훈도가 있었을 뿐 거의 독학하다시피 하였다. 그러나 윤휴의 학문은 1635년(인조 13) 19세 때에 이미 10년 연장자로 당대의 석학이던 송시열(宋時烈)과 속리산 복천사(福泉寺)에서 만나, 3일간의 토론 끝에 송시열이 “30년 간의 나의 독서가 참으로 가소롭다.”고 자탄할 정도로 높은 경지에 이르고 있었다.

권시(權諰)와 처남인 권준(權儁) 그리고 이유(李유)·장충함(張沖涵)·이해(李澥) 등 남인계 인사들과 교분이 특별했으며, 서인측 인사들과도 1659년(효종 10) 43세 무렵의 기해예송 이전까지는 친교가 잦았다.

이 책의 저자 #이덕일 에 따르면, 윤휴를 말하는 것은 단지 오래 전에 잊힌 한 흥미로운 인물을 재조명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 후기부터 일제 강점기를 거져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온 왜곡된 정치 현실과 역사를 바로잡는 일인 것이다. 그렇기에 역사가 이덕일은 이미 10여 년 전부터 윤휴를 주목해왔다.

이덕일은 “윤휴가 사형당한 후 조선은 침묵의 제국이 되었다. 더 이상 그와 같은 생각은 허용되지 않았다. 윤휴와 같은 생각은, 특히 그런 생각을 표출하는 것은 사문난적으로 가는 초청장이고, 저승으로 가는 초청장이었다."라고 주장한다.

그만큼 조선 후기 사회는 다른 생각을 전혀 허용하지 않는, 아주 경직된 사회였던 것이다.

이 책에서“과거에서 현재를 보고, 미래를 조망한다.”는 그의 역사관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일독 하기를 권하고 싶다.

📚 책속으로:

윤휴는 소주를 많이 마신 후 사약을 들고 운명을 마쳤다. 학문과 북벌대의와 백성들의 민폐 제거에 바친 인생이 이렇게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것이다.

야사에는 윤휴가 사약을 마시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전한다. “나라에서 유학자를 쓰기 싫으면 안 쓰면 그만이지, 죽일 것은 무엇 있는가!”

#금기어가된조선유학자윤휴 #윤휴 #역사 #필독서 #다산초당 #책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웅크린 감정 - 민망함과 어색함을 느낀다는 것은 삶에 어떤 의미인가
멜리사 달 지음, 강아름 옮김, 박진영 감수 / 생각이음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우리가 누군가에게 대해 꾸준히,지독하게 창피함을 느끼지 않는다면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여정은 시작조차 하지 않은 것이다.

우리가 살다보면 살짝 불편한 상황은 무엇이든 어색하게 여겨지고, 바로 이때가 어색한 거북이가 등장한다.

책을 좀 읽는 사람이라면 실천이 가장중요하다고 누구나 알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대중의 눈치 혹은 이익집단의 눈치를 보면서 할말을 하고 싶어도 용기가 없어서 침묵하고 있지 않는가.

아는 사람이 이상한 행동을 하는 이유를 당신은 어느정도 알고 있지만 타인이 모르고 그에게 또라이라 말할때 당신은 용기있게 그를 대중 앞에서 변호한 적이나 대변한 적이 있는가.

만약 없다면 책 읽는 척만 하는 비겁자 일 수도 있다.

누구나 이런 상황에 맞닥뜨리면 대개는 움츠러들고 어디론가 숨고 싶은 생각이 든다.

민망함이, 또 어색함이 나와 타인 사이에서, 특히 내 안에 있는 편견과 마주할 때 느끼는 불편하고 되도록 피하고 싶은 자기 인식이자 감정일 것이다.

이 책은 마음을 분석적으로 들여다보며 다양한 테이터로 연구한 이들의 검증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며 감정적 부담을 덜어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책이므로 누구나 한 번쯤은 읽어봐야 할 책 같다.

📚 책속으로:

어떤 관계에서나 초기에 스트레스가 많은 것은 모든 게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불확실함이 관계를 몹시 황홀하게 만드는 게 아닐까?

새로운 누군가와 주고받는 문자 메시지가 그토록 흥분되는 건 이 사람이 도대체 무슨 말을 할지 모른다거나 둘이서 어디로 갈지 함께 가는 방향의 여부조차 모르기 때문이다.


#웅크린감정 #용기없는자아 #민망함 #어색함 #불편함 #심리학 #생각이음 #멜리사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술의 시대 - 기술이 인류를 소외시키는 사회에 대한 통찰과 예측
브래드 스미스.캐럴 앤 브라운 지음, 이지연 옮김 / 한빛비즈 / 2021년 3월
평점 :
절판


IT기술이 속속 개발되고 생활속으로 들어오고 있고 그 방향이 사람과의 교감을 원활히 하는 쪽으로 흐르고 있다고 한다.

오늘날 인류는 과학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물질적인 풍요와 여유 있는 삶을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과학 기술이 지극히 기계 중심적인데다가 과학 기술에 대한 의존이 지나쳐서 오히려 인간이 과학 기술 체제의 지배와 조종을 받게 되기에 이르렀고, 이에 따라 인간이 소외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과학 기술의 역기능으로 인한 소외 현상은 갈수록 심각해져서 마침내는 이로 인해 인류가 파멸할지도 모른다는 예측마저 나오고 있다.

이 책은 기술 발전의 속도가 인간을 앞서갈 때 기술 선도 기업과 사회는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과 통찰이 담겨져 있다.

기술은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에 적응하도록 유도하면서 발전했지만, 빅테크와 인공지능이 등장하면서 인간은 기술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소외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신기술과 인간’으로 로 설명되는 작금의 시대는 인류가 진보해온 한 단면으로 볼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의 심리적 혼란과 불안을 낳기도 한다.

예컨대 사회의 고령화로 인해 국가가 파산하고, 연금이 고갈되며, 보건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경제가 불가피하게 악화될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공감하는 한편, 기술과 인간의 결합이 가져올 커다란 기회에 더욱 주목하며, 새로운 상상력을 우리에게 요청하고 있다.

첨단 산업 기술이라고 하면 인간이 소외되는 부분에 대해 계속 이야기 되고 그런부분에서 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점점 나아지겠고 어떤 부분은 수용할 수 밖에 없겠지만 그래도 이러한 노력이 계속 이뤄지면 좋겠다.

📚 책속으로:

20년 전의 마이크로소프트와 마찬가지로 IT 업계는 변화가 필요하다. 오늘날의 시대는 기본적이지만 너무나 중요한 원칙 하나를 인식하게 됐다. 당신의 기술이 세상을 변화시킨다면 그렇게 변화된 세상에 사람들이 적응할 수 있게 도와줄 책임도 있다는 원칙이다.

당연한 소리 아닌가 싶을 수도 있지만, 긴 세월 빠른 성장과 심지어 스스로를 파괴적으로 혁신하는 데 초점을 맞춰온 분야에서는 꼭 그렇지가 않다. 간단히 말해, 기술을 창조하는 기업은 미래에 대해 더 큰 책임을 인정해야만 한다.

#기술과인간 #인간소외 #기술의시대 #브래드스미스 #한빛비즈 #책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본주의는 왜 멈추는가? - 자본론으로 21세기 경제를 해설하다
한지원 지음 / 한빛비즈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자본(Das Kapital)》에서 집대성된 카를 마르크스의 경제이론으로 자본주의 경제의 최근 특성을 분석한 후 그 미래를 전망한다. 《자본》이 가지는 강점은 경제학이 불문에 부치는 전제들을 철저하게 비판했다는 점이다.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Das Kapital)》은 경제 위기가 닥칠 때마다 끊임없이 소환되어온 고전이다.

자본론을 읽은것은 어느 도서관에서 김수행 교수의 상,하권으로 된 책이였던 것 같다. (3회 정독해서 읽었다.)

대학다닐때 부터 현시대 사회부조리에 대해서 늘 생각하고 있었는데 마침 자본주의 모순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마르크스의 책은 나에게 강력히 다가왔다.

왜 잘사는 사람은 계속 잘살고 나같은 사람은 아무리 열심히 노력하고 공부해도 벼락거지 신세를 면하지 못할까.....

바야흐로 투자 광풍의 시대다. 지난 2021년 2월 한겨레신문이 발표한 기사에 의하면 상시적으로 주식 투자를 하는 인구가 800만 명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누군가는 부동산으로 ‘억’ 소리 나는 돈을 챙기고 누군가는 주식이나 비트코인으로 하루아침에 인생 역전에 성공한다.

그런 추세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주식을 공부하고 재테크 책을 사보지만, 마음 한편에서는 이런 생각이 든다. ‘일해서 돈을 버는 것보다 돈이 돈을 버는 세상이 정말 옳은 걸까?’

또 어느 한편에서는 이런 소식도 들려온다. 비용 절감을 위해 작업 절차를 간략화하다 보니 부작용이 발생해 사람이 죽었다는 소리.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을까 싶지만 사실 우리는 그 이유를 잘 안다. 바로 돈, 자본주의 논리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 자본주의 세상에 산다. 이 세상을 지배하는 자본주의의 법칙에 따라 돈을 벌고 인생을 설계한다. 그런데 가끔씩은 그 자본주의가 괴물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럴 때 우리는 이 냉혹하고도 이상한 법칙은 어디서 왔는가, 그런 법칙을 무엇보다도 우선시하는 이 세상은 대체 어떻게 생겨 먹은 것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매일 열심히 일하는데 인생이 그대로인 것만 같은가? 세상이 강요하는 법칙들이 불합리하게 느껴진 적이 있는가?

조금 더 나은 방향으로 인생과 삶이 바뀔 방법을 찾고 싶은가? 그럴때 이 책 #자본주의는왜멈추는가 를 읽어보면 어떨까.

마지막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론은 꼭 읽어봐야할 것 같은데 쉽게 시작하지 못할때 이 책의 도움으로 시작해볼 수 있을 것이다.

📚 책속으로:

인공지능 기계의 발전이 산업혁명이라 불릴 수 있으려면 그것이 노동과 자본을 모두 절약하는 중립적 기술진보여야 하고, 더불어 급격히 향상된 생산성이 상품 소비로 실현되어야 한다.

미래 공장으로 이야기하는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를 한번 보자. 스마트팩토리는 주문, 생산, 물류를 빅데이터, 전자태그(RFID), 사물인터넷(IoT) 같은 디지털 기술로 통합하고, 3D프린팅, 인공지능 로봇을 사용해 생산을 자동화한 공장을 일컫는다.

미래 공장이란 현재의 이런 기술들을 더 발전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노동을 절약하는 이 기술들이 자본도 절약하는지는 불분명하다. 이런 기술들이 자본을 절약했다면 자동차 기업들의 자산수익률이 장기적으로 상승했어야 하는데, 그런 상승은 관측되지 않는다.

#추천책 #한빛비즈 #자본론 #책 #21세기경제 #한지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젠더 모자이크 - 뇌는 남녀로 나눌 수 없다
다프나 조엘.루바 비칸스키 지음, 김혜림 옮김 / 한빛비즈 / 2021년 4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뇌에 대한 성 고정관념을 깨고 젠더와 두뇌에 관한 새로운 서사를 제시한다. 저자는 젠더 편견을 넘어서기 위해 나 자신부터 돌아보자고 제안한다.

보통 남자와 여자는 정보를 숙고하고 처리하는 방식이 매우 다르다. 여자들은 생각을 입 밖에 내어 크게 말함으로써, 흥미를 갖고 이야기를 들어주고 있는 사람에게 사고의 흐름을 그대로 드러낸다.

그래서 그들은 말을 해나가면서 비로소 자기가 하려는 말을 찾아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의식이 자유롭게 흘러가도록 내버려두고 생각을 굴절 없이 그대로 이야기하는 과정이 그녀의 직관을 이끌어낸다.

이러한 과정은 지극히 정상적인 것일뿐더러 가끔은 꼭 필요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남자들의 경우는 다르다.

말을 하거나 어떤 반응을 보이기 전에 그들은 우선 자기가 듣거나 경험한 것에 대해 조용히 생각하고 이리저리 궁리해 본다. 가장 적절하고 도움이 되는 반응을 머릿속으로 가만히 헤아려보는 것이다.

그들은 우선 명확하게 모양을 잡고 나서 그 다음에 이야기를 꺼낸다. 이 과정은 몇 분이 걸릴 수도 있고 때로는 몇 시간씩 걸리기도 하며, 어떤 대답을 해야 할지 도무지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아예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을 때도 있다.

남자는 필요에 의해서 대화하는 반면 여자는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 문학적이고 과장된 표현을 쓰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은 이런 남자뇌 VS여자의 뇌 가 따로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기존의 통념을 깨부순 책이다.

우리 모두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가운데 건설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고, 그를 통해 각자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주변 사람에게 어떻게 하면 가장 바람직한 사랑과 보살핌을 줄 수 있는지 터득하게 될것이다.

인간의 관계는 마법과도 같고, 영원히 지속될 수 있다. 만일 우리가 서로의 차이를 기억하기만 한다면....

📚 책속으로:

인간의 두뇌는 여자도 남자도 아니다. 단지 여자에게 흔 하거나 남자에게 흔한 특징들이 모인 고유한 모자이크일 뿐이다. 그리고 이 모자이크는 만화경 속에서 끊임없이 변하는 색 조각의 형태처럼 일생을 통해 변화한다.

#젠더모자이크 #힌빛비즈 #뇌는남녀로나눌수없다 #다프나조엘 #루바비칸스키 #여성학 #젠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