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동원 교수의 한국과학문명사 강의 - 하늘·땅·자연·몸에 관한 2천 년의 합리적 지혜
신동원 지음 / 책과함께 / 2021년 2월
평점 :
이 책은 대표적인 한국과학사 연구자 #신동원 교수가 2천여 년의 한국과학문명사를 쉽고 재미있게,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책이다.
현대는 과학이 주도하는 세계이다. 그리고 현대 과학은 한 집단이나 국가에 의해서 진보하고 확장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각 국가가 지닌 과학적 전통과 기반에 따라 과학의 발전 과정과 범위, 확장성, 미래 가치 등이 다르다.
대부분의 서방 선진국들이 튼튼한 과학적 전통과 기반을 토대로 세계의 과학 구도를 이끌어 가는 반면, 대부분의 국가들은 선진국들이 주도하는 과학을 간신히 쫓아가고 있을 뿐이며 또한 자신들이 지녔던 훌륭한 과학적 전통마저 상실해 가고 있다.
우리 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반만년 동안 유구히 지켜온 창조적 과학 전통을, 조선 시대를 끝으로 맥을 상실하고 말았다. 그리고 이제는 서양 과학과 그것이 낳은 각종 문물에 침식되어, 허약한 이파리만 무성한 뿌리 없는 식물이 되어가고 있다.
이 책은 드물게도 역사서이고 과학서이다. 특히 우리 나라의 과학사를 담았다. 보물과 같은 책이다.
우리 나라의 역사를 살펴보면, 결코 우리가 과학 후진국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자부심을 가져도 좋을 것이다.
이러한 우리 역사적 자산을 살려 우리도 선진국들처럼 독자적 기술을 가지고 우주에 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저력의 뿌리를 보여주는 책이다.
정치사와 왕조사로만 구성된 한국사에 과학과 기술이란 시각으로 새롭게 접근했을 때 우리 역사가 어떤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지, 이 책은 증명해 주고 있다.
이런 책들을 어린 학생들이 많이 읽어 우리의 관심분야를 정치와 경제만이 아니라 과학과 기술에도 돌릴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아울러 일부 문헌사학자들에게도 강한 경종을 울려 주었다고 평가하고 싶다.
이 책은 한국사를 전공하는 사람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한번씩 꼭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
📚 책속으로:
돔 모양의 천장은 어떻게 쌓았을까요? 신라 장인들은 비슷한 모양을 많이 쌓아봤습니다. 불국사의 청운교, 백운교에도 활처럼 굽은 부분이 있죠. 그런 형태의 구조물을 서양 건축에서는 아치라고 합니다. 돔이란 여러 개의 아치를 모아놓은 구조인 겁니다.
아치를 쌓다 보면 위의 석재가 아래 석재에 힘을 주는 동시에 바깥으로 튀어 나가려는 힘이 작용합니다. 이 바깥으로 작용하는 힘만 해결하면 됩니다. 문제는 가장 아랫부분에 압력이 몰리는 것인데, 로마에서는 돔을 쌓을 때 돔을 이루는 아치 맨 아래에 여러 겹의 고리를 둘러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합니다.
#도서협찬 #신동원교수의한국과학문명사강의 #강추책 #추천책 #책 #글 #과학사 #책과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