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래식이 들리는 것보다 가까이 있습니다
박소현 지음 / 페이스메이커 / 2020년 11월
평점 :
평소 #클래식 을 즐겨듣는 편이다. 클래식의 장점이라면 일단 마음이 평온해진다.
평소 갖고 있던 잡념들을 잊을 수 있고 일반인들은 상상할 수도 없는 정밀한 작업인 토목구조 설계 할때도 들을 수 있어 일에 대한 집중도도 높인다.
이 책의 저자 #박소현 은 바이올리니스트, 비올리스트, 클래식 강연자 겸 칼럼니스트이다.
부산예술고등학교 재학 중 오스트리아로 유학을 갔고 빈국립음대, 린츠주립음대, 그라츠국립음대에서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수학하고 교수법 학사, 전문연주자 학사와 석사를 졸업했다고 한다.
독주 앨범 ‘All About Romance’ 발매를 비롯해 다양한 무대에서 독주회를 열고 있다. 특히 해설이 있는 독주회 시리즈 ‘알쓸신클’은 클래식 음악을 어려워하는 관객들에게 진입 문턱을 낮추는 공연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이 책은 클래식에 관심은 있지만 음악 용어나 작곡가를 잘 몰라 어려워하는 사람들을 위해, 누구나 클래식을 즐길 수 있음을 깨닫게 해준다.
대중음악, 드라마, 광고, 영화, 웹툰, 소설, 게임 등 우리가 즐기고 있는 콘텐츠 속의 클래식을 알아볼 수 있다.
클래식의 기본 지식을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추억의 드라마와 만화, 문학작품을 다시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음악에는 마법 같은 힘이 있다. 언어가 없어도 오늘의 분위기를 담을 수 있고 소통이 없어도 순간의 감정을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여기, 무려 300여 년 전부터 음악에 자신의 삶을 담아 현재의 우리와 소통하는 작곡가들이 있다.
그들은 과연 음악을 통해 어떤 생각과 어떤 감정을 나누고자 했던 것일까? 세계적인 클래식 거장들의 명곡 속에는 아주 오래된 감정들이 여전히 소용돌이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잠식한 후로 타인과의 대면이 힘들어진 요즘이다.
비대면으로 인한 소통의 빈자리를 음악이 채워줄 것 같다. 시공간을 초월하는 클래식 음악의 포용력이 진가를 발휘할 시기는 아닐까.
📚 책속으로:
슈만이 세상을 떠난 후 40년간 우정이란 이름으로 미망인이 된 클라라 슈만의 곁을 지켰던 브람스는 나오코와 묘하게 닮아 있다. 하루키는 죽은 스승의 그늘 속에서 평생 독신으로 지내며 자신이 사모했던 한 여성의 곁을 지킨 작곡가 브람스의 마지막 교향곡에 죽은 연인의 그늘에 갇혀버린 나오코를 투영하고 있다.
나오코와 그녀를 사랑하는 와타나베가 함께 보러 가려던 연주회 프로그램 중에 그녀가 좋아하는 곡을 브람스 <교향곡 4번>이라 서술하며 둘의 관계를 치밀하게 접목시켰다.
#클래식이들리는것보다가까이있습니다 #원앤원북스 #우리주변에숨은클래식찾기 #음악 #음악에세이 #책 #책추천 #책리뷰 #음악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