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자, 관상, 기술 - 부자들은 알고 있는 핀테크 시대의 행동경제학
김영한 지음 / 쌤앤파커스 / 2021년 12월
평점 :
CEO 노릇도 하기 힘든 세상이 됐다. CEO들의 일거수일투족, 한마디 한마 디, 음성 피치, 얼굴표정까지 모두 AI로 분석하는 시대니까.
희한하게도 그런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도 많은 정보를 추가적으로 캐낼 수 있다.
모두가 투자자가 되어야 하는 ‘대투자 시대’, 기술만 알아서도 안 되고 돈만 알아서도 안 된다. 그저 ‘아, 신기하네’ 하고 남 일처럼 넘어갈 일이 아니다.
은행업, 보험업에서는 이미 예전에는 취급도 하지 않았던 ‘비정형’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만약 인터넷은행이 내가 스마트폰 메신저로 주고받은 대화를 분석해 대출금리에 정한다면 어떨까?
취업하려는 회사 면접에서 AI가 내 눈코입, 목소리톤, 자주 쓰는 단어를 채집해 점수를 매긴다면?
자기효능감 테스트를 시켜보고 파산 가능성을 계산해 대출을 거부한다면? 이러한 기술들은 이미 우리의 일상을 파고들었다.
관상 하면 떠오는 것이 영화 ‘관상’ 일 것이다. 개인적으로 그 영화를 5번 이상 본 것 같다.
얼굴을 보면 그 사람의 모든 것을 꿰뚫어보는 관상쟁이의 이야기.
나 또한 동양철학에 관심이 많아서 10대 후반 부터 공부했으니 어언 30년 이상은 공부한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왠만한 사람들의 얼굴을 보면 때론 그 사람의 미래가 보이기도 한다. 대학교때는 아르바이트로 사람들 관상과 사주도 보았다.
만권을 읽으면 만리의 길이 보인다고 했던가..
각설은 그만하고 이 책은 모두가 투자자가 되어야 하는 ‘대투자 시대’에 금융, 보험, 투자 업계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는 최신 기술들, 과거와 완전히 달라진 ‘테크핀’들의 눈부신 활약을 소개한다.
이 책으로 앞으로의 투자에 대해서 좋은 지침을 얻었다. 누구나 저자의 식견과 혜안에서 많은 것을 얻어갈 것이다.
📚 책속으로:
학자들도 연구를 많이 해서 첫인상이 중요하다는 논문도 있고, 반대로 얼굴에서 느껴지는 것이 그 사람의 특질을 제대로 나타내지는 못한다는 논문도 있습니다. 그만큼 논란의 여지가 많은 분야입니다.
#부자관상기술 #행동경제학 #핀테크시대 #김영한 #쌤앤파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