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등학생 자원봉사 - 나누고 즐겁고 행복하고!
김현희 지음, 김호민 그림 / 초록우체통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학교 다니면서 보육원이나 재활원 같은 곳에 봉사 활동을 다닌 적이 있다. 몸이 불편한 사람들과 아이들을 돌보면서 행복함을 느꼈다. 몸이 힘들긴 하지만 하고 난 뒤에 왠지 더 많은 것을 얻고, 채워온 것 같은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변에서는 '다른 사람 챙길 여유가 어디 있느냐'는 시선을 보내곤 했다. 내가 나눌 것이 있을 때 봉사를 한다면 과연 그때가 올 것인가? 가진 것이 많아야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마음의 문제일 뿐이다.
자원봉사 점수가 생기면서 아이들의 봉사활동은 점수 때문에 해야 하는 것처럼 생각될 때가 있다. 그런 현실을 그저 안타까워 하는 것으로 그쳐서는 안 된다. 아이들이 진정한 봉사가 무엇인지를 알려줘야 한다. 내가 아닌 우리를 위한 행동들이 세상을 얼마나 따뜻하게 하고, 그런 노력이 자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하는지를 느껴야 한다. 우린 받는 것에 익숙해져 있거나 받은 만큼 돌려줘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도움을 받으면 기분이 좋지만 내가 다른 사람을 위해 뭔가를 했을 때는 더욱 기분이 좋아진다.
'초등학생 자원봉사' 속 8편의 동화에는 자원봉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담고 있다. 자기 밖에 몰랐던 아이들이 자원봉사를 하면서 자신을 돌아보게 되고, 우리 이웃에 대해 시선을 돌리는 계기가 된다. 자원봉사는 거창한 것이 아니다. 그저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나누는 것이다. 돈이 많아도, 재능이 많아도 남과 나눌 수 없다면 그 가치는 떨어진다. 나누면 즐거워지고 행복해진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봉사이다. 단순히 내 아이의 점수를 위해 봉사 활동을 하라고 하지 말고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하고 재능기부나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 책을 통해 자원봉사의 의미와 방법 등을 자세하게 알게 되었다. 봉사 활동 보고서를 처음 보았는데 아이들이 직접 적은 것을 보니 많은 것을 느끼는 시간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 자우너봉사 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가족 자원 봉사가 무엇인지, 재능 기부 등에 배웠다. 아이와 함께 읽어 가면서 많은 것을 느끼는 시간이었는데 앞으로는 몸소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