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월 35일 ㅣ 시공주니어 문고 3단계 28
에리히 캐스트너 지음, 호르스트 렘케 그림 / 시공주니어 / 200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5월 35일? 제목만으로도 궁금증을 불러 일으킨다. 5월은 31일까지 되어 있는데.... '아마도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시간과 공간이 아닐까?'라는 상상을 해본다.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빨리 읽고 싶어진다. 수학을 잘 하는 아이들은 상상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콘라트에게 글짓기 숙제를 내준다. 콘라트는 작문의 주제 '남태평양'을 써야 하지만 가본 적은 없다. 그때 검은 말이 등장을 하고, 삼촌과 함께 옷장을 통해 남태평양을 간다.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냐고? 바로 그 날, 5월 35일이기 때문이다.

길에서 만난 검은 말이 '각설탕'이 있는지 묻고 서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을 보면서 재미있다 느껴지지만 그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남태평양으로 가기 위해 옷장 속으로 들어가고 그 뒤에는 다른 세상을 만나게 된다. 게으름뱅이 나라, 네 가지 과일이 열리는 나무, 상상한 게 전부 현실로 변하는 '없어져라, 앞으로 갓!' 주문, 위대한 과거로 가는 성, 거꾸로 나라의 모습은 놀랍고 흥미진진하다. 한번쯤 상상해봤던 세상을 만나게 되니 신기하고 재미있다. 남태평양을 간다.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냐고? 바로 그 날, 5월 35일이기 때문이다.

콘라트가 다니는 학교는 딱딱하고, 부모는 엄격하기만 하다. 하지만 링겔후트 삼촌은 장난과 공상을 즐긴다. 아이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이해해주는 유일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작문 숙제를 멋지게 해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삼촌 덕분이다. 마음을 이해해주고, 그 상상의 세계를 공감해주기 때문에 아이는 기쁘고, 행복하다. 자라면서 상상력과 호기심이 사라진다. 그래서 그런지 아이의 생각도 현실적인 눈으로 바라볼 때가 있다. 그러면서도 창의력을 키워주기 위해 인위적인 노력을 기울이니 아이러니하다.

상상한대로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는 가정만으로도 우리는 즐거움을 느낀다. 또 그런 엉뚱한 생각쟁이들이 세상을 유쾌하게 변화시킨다. 5월 35일을 보고 나니 그것이 거짓이든, 아니든, 꿈이든 상관이 없다. 그저 우리가 꿈꾸었던 세상으로 여행을 떠난 것만으로도 좋다. 아이에게 글쓰기를 하라고 하면 어려움을 느낀다. 그만큼 상상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마음껏 상상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라도 아이의 엉뚱한 생각을 들어주고, 호응해줘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