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아더와 빵 셔틀 박장군 콤플렉스 극복 동화 3
이재희 지음, 김은주 그림, 임영주 도움글 / 주니어김영사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학교 폭력으로 자살을 하는 아이들도 늘어나고 있고, 그 폭력의 강도가 더욱 심해지고 있음을 실감한다. 예전에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일들이 일상에서 숱하게 일어나고 있다. 학부모가 되니 아이가 학교에서 어떤 친구를 만나고 그 관계를 맺게 될지 걱정이 많다. 왕따, 빵 셔틀 등 낯선 용어들을 사용하는 아이들을 보면 세대차이가 느껴진다. 세상은 많은 변화를 했고, 아이들이 쓰는 말들을 들어보면 그 생각과 행동들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험한 세상을 살아가는 아이들을 어떻게 보호하고, 가르쳐야 할까....

 

'맥아더와 빵 셔틀 박장군'은 왕따와 학교 폭력에 대해 다루고 있다. 콤플렉스 극복 동화 시리즈 중 하나인데 역경을 극복한 위인을 통해 자신이 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게 해준다. 맥아더 장군의 '아버지 기도'란 글을 보면서 많은 공감을 했다. 아이들에게도 용기와 희망을 줄 수 있는 글이다. 학교 폭력으로 힘들어 하는 장군이가 맥아더 장군을 닮은 선생님을 만나면서 변화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부모나 선생님에게도 말하지 못하고 힘들어 하는 장군이의 모습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다.

 

요즘 아이들이 정말 이렇게 힘든 학교 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무겁다. 학교 폭력은 한 사람의 힘으로 해결되지는 않는다. 아이, 부모, 선생님, 정부 모두가 노력을 해야 한다. 단순히 어른의 개입으로 문제를 풀 수는 없다. 아이 스스로도 이겨내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하고, 학교 폭력을 행하는 아이들의 마음을 어루만져야 한다. 내 아이를 잘 키우는 것만으로는 안되는 세상을 살고 있다. 모든 아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세상에서 더 이상 상처받는 아이들이 없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천석의 마음 읽는 시간 - 때론 삶이 서툴고 버거운 당신을 위한 110가지 마음 연습
서천석 지음 / 김영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조건 프로그램에 책 읽기 프로젝트를 하는 것을 보면서 갑자기 책을 읽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가을이 되니 왠지 마음이 서늘해지는 것처럼 허전할 때가 있다. 그런 마음을 채워 줄 수 있는 책이 바로 책이다. 이번에 접한 책은 잔잔한 에세이라서 편안하게 읽을 수 있었다. 어떤 귀절에서는 마치 내 속을 들여다 본 것 같아 놀라기도 하고, 어떤 귀절에서는 감동을 받곤 했다. 서천석의 마음 읽는 시간은 행복 충전소 MBC 라디오 <서천석의 마음연구소>를 책으로 엮은 것이라고 한다. 한동안 라디오 듣기를 멀리해서 생소하게 느껴졌는데 책을 읽고 나니 라디오도 청취하고 싶어진다.

 

끊임없이 생각을 하고, 다짐을 하지만 내 마음조차 어찌 하지 못하고 그냥저냥 살아가곤 한다. 생각의 끈을 놓아 버리면 좀더 세상 살기가 편해질 것 같지만 아무 생각 없이 지낸다는 것은 제대로 살아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내 마음이 시키는 일을 하면 모두 정답이어야 할텐데 그렇지가 않다. 내 마음조차 어찌 하지 못하고, 때론 누군가가 결정해줬으면 하고 갈팡질팡 하기도 한다. 그럴수록 자신의 마음을 읽어야 하고,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어야 한다.

 

내가 어떤 상처를 갖고 있는지, 무엇에 흔들리고, 상처 받는지를 알면 자신과 세상을 바라보는 눈과 마음이 좀더 편안해질 것이다. 꾸준히 내 마음을 읽어 가다 보면 노을이 물들어가듯이 우리의 마음을 조절할 수 있는 힘도 생실 것이다. 행복의 비결이란 것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내 마음을 다스리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바로 행복이다. 한 권의 책으로 오래도록 음미하는 시간이었다. 정신과 전문의의 심리학 멘토링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은 공감하고 위안 받을 수 있으리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갈라파고스 - 섬의 탄생과 생물의 진화 이야기 스콜라 똑똑한 그림책 1
제이슨 친 글.그림, 윤소영 옮김 / 스콜라(위즈덤하우스)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사 박물관이라 불리는 19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 갈라파고스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영향을 준 섬으로 유명하다. 텔레비젼이나 책 속에서 접했던 그 섬은 무척이나 아릅답게 느껴졌다. 멋진 풍경도 그렇지만 신기한 동물들의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휴양지를 꼽히는데 정말 기회가 되면 가보고 싶은 곳 중 하나이다. 특이한 환경과 희귀 생물들을 볼 수 있다면 잊지 못할 큰 경험이 될 것이다. 갈라파고스에서만 사는 동물들의 만나고 싶다.

 

생물의 진화나 지질학적인 변화의 모습을 아이에게 알려주기는 어렵다. 난해한 주제를 쉽게 풀어 설명해주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에 접한 그림책 '갈라파고스'는 자연동화로 잔잔한 느낌을 담고 있다. 섬의 탄생부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담고 있다. 섬이 어떻게 생겨나고 자취를 감추는지를 파노라마처럼 느낄 수 있었다. 섬이 없어지고, 또 다시 새롭게 생겨나고, 그 속에 살아가는 동식물 또한 변화를 거치면서 살 길을 찾고 있다. 지식책이라고하면 딱딱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아서 좋았다.

 

다윈과 갈라파고스, 갈라파고스 제도, 갈라파고스의 고유종 등 다양한 정보도 담고 있다. 과거에 어떤 일이 있었을까? 어떤 모습이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길 때가 있다. 모든 것을 다 알 수는 없지만 밝혀진 사실과 근거들을 통해서 우리는 미루어 짐작할 수가 있다. 섬의 변화와 자연의 흐름을 느끼면 우리의 삶도 뒤돌아 볼 수가 있다. 태어나고 죽고 하는 인생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갈라파고스를 통해서 생태의 신비로움을 접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찰떡 콩떡 수수께끼떡 웅진 지식그림책 45
김정희 지음, 김소영 그림, 윤숙자 감수 / 웅진주니어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홈쇼핑에서 떡을 주문해서 먹을 정도로 편한 세상에서 살고 있지만 옛날에 할머니가 해주시던 호박범벅이며 시루떡의 맛을 잊지 못한다. 넣은 것이 별로 없어도 그땐 왜그리 맛있었는지... 아이들은 그 맛을 잘 알지 못할 것 같아서 아쉽다. 가끔 아이랑 카스테라 가루내서 건포도 넣고 경단 만들어 먹기도 했었는데 요즘 바쁘다고 간식으로 떡집에서 꿀떡이나 사다줘서 미안한 마음도 있다. 주말에 시간내서 아이랑 같이 맛있는 경단을 만들어 봐야겠다.

 

'찰떡 콩떡 수수께끼떡'은 우리나라의 떡을 수수께끼 놀이로 접근하고 있다. 왔더니 '가래' 하는 떡은 무슨 떡?, 뽀록뽀록 보리 방귀 만드는 떡은 무슨 떳? 데굴데굴 굴려야 맛있어지는 떡은 무슨 떡? 재미있는 떡 수수께끼 놀이이다. 아이에게 알쏭달쏭 기발한 떡 수수께끼를 내니 재미있어 한다. 평소 먹어봤던 송편이나 가래떡, 시루떡도 있지만 처음 보는 떡 종류도 있다. 떡에 의미가 있고 어떤 날에 먹는지를 알아 보면서 떡에 대해 잘 알게 되었다.

 

전통 음식인 떡을 아이들이 좋아하지 않는데 이 책을 보여주면 떡에 대한 관심도 생기고 잘 먹을 수 있을 것 같다. 지식그림책이라고 하면 딱딱하게 느껴지는데 이 책은 전혀 그렇지 않고 재미가 있다. 떡 만드는 방법도 소개되어 있어서 아이랑 같이 독후 활동 해도 좋고, 특별한 날에는 어떤 떡을 먹는지 알아 보면서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삼칠일, 백일, 돌 등을 보면서 떡이 우리 삶과 참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떡은 밥 만큼이나 중요했던 우리의 음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 번째 엄마 아이앤북 창작동화 35
이규희 지음, 김지안 그림 / 아이앤북(I&BOOK) / 201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세 번째 엄마' 제목만 보고는 의아심이 생겼다. 왜 세 번째일까? 그러다가 책을 읽고 나서는 그 이유를 알게 되었고 가슴이 아팠다. 보통 입양 된 아이를 가슴으로 낳은 아이라는 말을 한다. 직접 낳지는 않았지만 키우면서 온 마음을 다해 사랑한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키우다 보니 입양이란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미루어 짐작하게 된다. 내 자식도 키우다 보면 속이 터지고 힘이 든데 다 표현 못하고 키우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기 때문이다. 

 

입양증명서를 발견하게 된 미수가 힘들어 하는 과정과 공개 입양, 그리고 친엄마와 입양한 부모의 관계 등 다양하게 접근하고 있다. 갑자기 자신의 뿌리가 흔들려 버리면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다. 미수도 힘들어 하면서 시간을 보내다가 진실을 알게 된다. 두 번째도 아닌 세 번째 엄마라는 것은 자신이 두 번이나 버림을 받았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세 번째 엄마를 만남으로 해서 새로운 가족이 만들어졌다. 요즘은 시대가 많이 달라지면서 가족 형태도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엄마, 아빠의 사랑을 깨달으면서 상처를 치유해 가는 모습이 가슴 아팠다. 아이를 키우면서 아픈 아이를 보거나, 좋지 않은 환경에 있는 아이를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무조건 내 아이만 사랑한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입양을 선입견으로 바라 볼 것이 아니라 올바르게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가족의 모습은 계속 변화하는데 우물 안 개구리 같은 시각으로 바라봐서는 안 될 것이다. 사랑으로 채워진 입양에 대해 알 수 있는 좀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