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마지막 인터뷰>를 리뷰해주세요
-
-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노무현!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기자와 나눈 3일간 심층 대화
오연호 지음 / 오마이뉴스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노무현'이라는 이름 석자만으로도...]
이제는 '노무현'이라는 이름 석자만 들어도 마음이 싸해질 것 같다. 아이들과 체험학습을 간다고 먼길을 나선 어느날 날아든 비보는 가슴 한구석이 쿵 무너지는 느낌이었다. 내가 노무현을 지지하고 안하고를 떠나서 한 나라의 대통령을 했던 사람이 극단적인 방법으로 생을 마감할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에 가슴이 먹먹했다. 사실? 아닐거야...뭔가 잘못되었을 거야..나를 비롯해서 함께 버스에 타고 있던 수많은 사람들이 라디오의 뉴스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데 누군가 나이든 분이 이렇게 말했다.
"그래 노무현은 대통령이 될 만한 그릇이 아니었어. 자살하는 거 보면 다 드러나지."
연세 지긋하고 어느정도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음직한 중년분의 말에 일행들은 고개를 끄덕이는 이도 있었지만 그 버스에 타고 있는 사람들 중에 많은 사람들은 그게 아니라고 말하고 싶었을게다. 단지 충격에 놀란 가슴을 가누면서 그렇게밖에 말하지 못하는 이들에게 대꾸할 가치조차 느끼지 못했을게지.
나 역시 별다른 지지자 없이 선거나 정치에 문외한인 주부였다. 간혹 경제나 교육과 관련된 현안들이 나오면 귀를 쫑긋거리지만 정치를 하는 사람들은 모두 거기서 거기라는 비아냥으로 늘 무시하기 일수였다. 그러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함께 조명된 그의 삶을 보면서 연신 눈물로 밤을 지새울 수 밖에 없었다.
이 책 역시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무관심으로 미처 알지 못했던 노무현 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다시금 바라볼 수 있도록 해준다. 평소 가지고 있던 정치에 대한 소신과 민중을 향한 마음, 그리고 권위적인 정치를 타파하고 민중의 소리를 듣고 함께 상생하고자 했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재임 시절에 참으로 많은 말들을 달고 다닌 노무현, 그가 그럴 수 밖에 없었던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탈권위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지도자가 되고 나서 사람들이 갖게 되는 가장 큰 힘은 바로 권력이다. 이런 권력을 권위와 함께 유지하면서 주위사람들의 이야기보다 자신의 목소리로 일관되게 끌고 가려했던 과거의 기득권층과는 달리 그는 분명 권위를 타파한 지도자가 되기를 간절히 원했는가 보다. 그런 그를 향해 탄탄하게 잘 다져진 일류 코스만 밟고 정치계에 입문한 이들은 학벌이든 과정이든 그를 인정하기 힘들었기에 자격에 대해서 더 많이 논하고 비아냥 거린 게 아닌가.
그가 떠난 지금 이 자리에서야 비로소 그의 빈 자리를 느끼고 그가 했던 정책이나 과정들에 대해서 다시금 짚어보고 생각하게 된다. 퇴임을 하고 평범한 농사꾼이 되고 싶다던, 마을 사람들과 함께 친환경농사를 짓고, 토론과 연구를 통해 역사와 정치에 대한 책을 내고자 했던 그는 지금 우리 곁을 떠났다. 그리고 온국민이 함께 했던 추모의 시간을 뒤로 한채 또다시 온국민이 반대하고 언론인들이 반대하는 4대강 개발사업과 미디어법을 통과시키고자 국회가 들썩이고 있다. 정치가 가장 바닥으로 떨어지는 그 때는 모든 사람들의 무관심이 가장 큰 이유가 된다고 한다. 또 다시 다수의 힘으로 여론을 무시하는 정치인들을 향해 퉤퉤 침을 뱉을 망정 절대 외면하지는 말아야지. 내 작은 관심과 힘이 바로 국민의 힘이 됨을 알기에 말이다. 마지막 다시 한번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