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나기밥 공주 ㅣ 창비아동문고 249
이은정 지음, 정문주 그림 / 창비 / 2009년 5월
평점 :
[밝지 않은 현실, 그러나 믿음을 주는 이야기]
누군가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아이들의 책은 희망을 주어야 한다고, 또 어떤 이는 그렇다고 해서 현실이 아닌 포장된 해피엔딩만 보여주어서는 안된다고. 아이들 책을 자주 읽는 엄마로써 두 가지 의견에 모두 공감이 간다. 어른들이 생각하는 올바름이나 조금은 인위적인 해피엔딩을 이끌어내는 책을 보면 교훈? 같은 것은 배우지만 어딘지 답답함이 느껴지고, 반대로 결론이 어두운 현실적인 문제들을 만나게 되면 그 또한 희망이 없는 듯 답답하게 느껴지는 때가 있다. 아이들에게 거짓도 과장도 아닌 작품을 만나게 해주었으면 하는 바람도 그렇게해서 생기게 되는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품은 양쪽을 모두 만족시키는 작품이 아닌가 싶다.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때문에 엄마는 가출하고 안공주는 아버지와 단둘이 지하 단칸방에 살고 있다. 그런 안공주는 학교 급식이 유일하게 제대로 된 밥이란다. 그래서 급식만 나오면 산처럼 밥을 쌓아서 순식간에 먹어치우고 밥을 더 먹어대기에 어느날부터 "소나기밥"이라는 별명을 갖는다. 급식을 많이 먹어두어 저녁까지 배를 곯지 않게 하려는 안공주의 생각을 아는 사람도 없지만, 먹어도 먹어도 금세 허기가지는 공주의 마음을 아는 사람 역시 없다.
아버지가 알코올중독을 고치기 위해 재활원에 들어가고 겨우겨우 아버지를 만나고 온 공주는 주머니에 있던 560원으로 콩나물을 산다. 허기가 져서 금방 땅바닥에 누워버리고 싶지만 집에 가서 콩나물국에 밥이라고 해야 먹을 수 있는게 공주의 처지이다. 그런 공주 앞에 마트에서 배달된 묵직한 보따리가 보이고, 어느새 공주는 그 물건을 거짓말로 가로채게 된다. 물건 주인에게 들통날까 조심스레 음식을 해서 먹어대는 공주는 먹어도 먹어도 허기가 진다. 그리고 더 이상 들어갈 자리가 없을 때까지 밤새 먹다가 게워내고 게워내고..혼자 사는 어린 아이의 이런 과정을 엿보면무심한 주위의 어른들이 야속하기까지 하다. 조금은 주위의 손길을 기대하게 되는 독자들에게 이 작품은 좀더 현실적인 면을 보여주기 위해서 주위 어른들의 무심한 손길을 그대로 노출시킨 것 같다. 그러면서도 이 작품이 암울하다기 보다 그래도 희망을 엿볼 수 있는 건 두 가지 측면에서가 아닌가 싶다.
주위의 착한? 어른의 도움으로 힘을 얻어 일어나는 것도 아니고, 캔디처럼 쓰러져도 쓰러져도 다시 일어나는 강철같은 심지를 가진 것도 아니지만, 주인공인 안공주는 자신의 힘으로 허기의 원인을 제거해 간다. 물건의 주인인 팽 여사를 찾아가 사죄하고, 해님마트의 주인에게 가서 물건값 만큼의 일을 해서 그 마음의 빚을 갚아나간다. 또한 이 작품에 나오는 어른들이 냉담한 이웃의 면모만을 보여주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팽여사는 물건을 훔친 공주를 나무라고 해님마트에까지 끌고가지만 혼자인 아이를 외면하지 않고 자신의 집에서 밥을 먹이기도 하고, 해님마트의 사장은 매정하게 아이를 혼내기보다는 아르바이트를 해서 자신의 죄를 갚도록 하는 배려를 보이기도 하니 말이다.
물론 공주에에 현실은 아직도 암담하다. 아버지는 아직도 재활원에서 6개월은 더 있어야 나오고 나온다 해도 알코올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는지는 미지수이다. 그러나 소나기밥 공주가 한번의 잘못과 그것을 해결해 나가는 것을 보면서 공주가 세상을 헤쳐나갈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된다. 그런 믿음이 있기에 이 작품의 현실은 그리 밝지는 않지만 희망을 주기에 현실성이 더더욱 느껴지는 것 같다. 현실에서 정말 공주같은 아이를 많이 만날 수 있는가는 미지수이지만 그래도 작품을 통해서 아이들은 공주처럼 성장해가는 아이들의 면모를 충분히 배울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