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 길어진 욕심쟁이 방방곡곡 구석구석 옛이야기 7
박영만 원작, 안미란 엮음, 유준재 그림, 권혁래 감수 / 사파리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벌 주고 복 주는 도깨비가 나오네] 

 

코가 길어진다는 제목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피노키오라니~~아이보다도 내가 먼저 서양의 명작을 떠올리는 건 아무래도 어린 시절 읽었던 책의 영향력이 큰 것 같다. 요즘 아이들이야 너무도 다양한 양질의 책이 많아서 옛이야기도 재미나게 접할 수 있지만 우리 자랄 때야 책을 볼 수 있는 곳이 그리 많지 않았던 기억이 난다. 하여튼 요즘 아이들은 넘치는 좋은 책에서 행복하게 자라는 것 같다. 

피노키오를 제일 먼저 떠올린 엄마와는 달리 아들은 빨간부채 파란부채 이야기를 떠올렸다. 그러고 보니 그 이야기에서도 욕심쟁이의 코가 길어졌던 것 같다. 그러나 막상 이야기를 읽어보니 개암을 깨무는 소리에 도깨비들이 놀라 방망이를 놓고 도망쳤다는 것은 혹부리 영감이 생각나고, 욕심쟁이의 코가 길어졌다는 점에서는 빨간부채 파란부채가 생각이 나고, 길어진 코때문에 고생하는 장면은 또 다른 옛이야기 한편인 듯한다. 한 권의 책을 읽으면 적어도 세 개 정도의 이야기를 읽는 느낌이 든다. 

옛이야기 속에는 늘 착한 사람과 나쁜 사람이 한꺼번에 나오고 이들 사이에는 착한 이에게 복을 주고 나쁜 이에게는 벌을 주는 중간자가 등장한다. 이 중간자 역할은 대개 도깨비들이 맡아하기 일수이고.. 아마도 우리 옛이야기에 이렇게 도깨비가 자주 등장하는 것은 약간은 두렵기도 하지만 어떤 친근감을 많이 담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여하튼 이 이야기 속에서도 착한 소년에게는 모든 것을 다 들어주는 신비한 도깨비 방망이를, 욕심많은 소년에게는 방망이 대신 코가 무지무지하게 길어지는 벌을 내린다. 길어진 코를 안고 단번에 울어버리는 장면은 조금 시시하다 싶었는데, 이 코가 너무 길어서 강과 산을 휘감는 장면, 강물을 건너던 나그네가 외나무 다리인 줄 알고 코 위를 건너다 담뱃재를 떨어트려 소년이 화들짝 놀라는 장면은 옛이야기를 읽으면서 찾을 수 있는 웃음을 전하는 대목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점 잘 치는 훈장 방방곡곡 구석구석 옛이야기 6
박영만 원작, 원유순 엮음, 한상언 그림, 권혁래 감수 / 사파리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넘치는 꽤와 재치가 돋보이는 이야기] 

 

옛이야기를 너무 좋아하는 아들에게 이 이야기를 읽어주다보니 이것 역시 어디선가 들은 기억이 난다. 아니나 다를까? 몇일 전에 딸아이가 읽었던 옛이야기 모음집에 이와 비슷한 이야기가 들어있다. 비슷하기는 하지만 조금씩 다른 내용이 살짝 들어가 있다는 것,무엇보다 그림이 다르거나 표현이 다르기 때문에 봤던 내용을 또 봐도 재미있는가 보다. 

점 잘 치는 훈장은 스승과 제자의 믿음을 다룬 책이라고 한다. 훈장님을 집에 모셔다가 공부를 배우는 이도령이 훈장님을 홀대하는 계집종의 버릇을 고치고자 아버지의 수저를 몰래 버드나무에 묻게 된다. 물론 어디에 묻었는지는 훈장에게 이미 이야기하고, 훈장은 점을 잘 치는 흉내를내어 수저를 찾아주고 계집종에게 홀대를 받지 않게 된다. 이야기가 이 정도에서 끝나면 재미없지~ 점을 잘 친다는 소문이 임금님 귀에까지 들어가 중국황제가 잃어버린 옥새를 찾아줘야 하는 막중한 임무까지 맡게 되었으니 그게 문제다.  

이도령이 나몰라라~하면 끝날 것을 중국까지 훈장님을 따라가게 된다. 그곳에서도 우연치 않게 옥새를 훔친 놈들의 자백을 받아내어 옥새를 찾아주지만, 신통방통한 훈장을 능력을 경계한 중국황제는 훈장을 없앨 요량으로 엄청난 명령을 내린다. 해를 따야 한다는데~  

매순간 위기가 닥치면 이도령의 재치있는 잔꾀로 위기를 모면하지만 마지막 순간에 해를 따러 가야하는 훈장과 도망치는 이도령이 벌이는 한판 연극은 웃음을 자아내는 장면이다.  스승과 제자의 믿음이 어려움도 극복해 낸다는 것을 맛깔스런 그림과 한번 만나보시길~이쁘게 그리기 보다는 인물의 표정을 해학스럽게 그려내서 한층 더 옛이야기의 맛깔스러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가 아빠가 된 날 작은 곰자리 10
나가노 히데코 지음, 한영 옮김 / 책읽는곰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가족이 아기의 탄생을 지켜보는 모습에 감탄~] 

 

아빠가 아빠가 된 날의 이야기는  과연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까? 책을 읽기 전에 아기의 탄생에 대해 남자들은 어떤 마음을 담아낼까 궁금해졌다. 이런저런 추측을 하면서 책장을 펼쳤는데...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펼쳐지고 있었다.  

곧 태어날 아기를 맞이하기 위해서 온 가족이 함께 모여있는 집안의 풍경이 펼쳐진 것이다. 곧 태어날 아기를 위해 아빠도 언니도 오빠도 모두 태교를 하는 모습도 보인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수중 분만을 하거나 집에서 낳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사실 그렇게 익숙한 모습은 아니다. 이에 비해 일본은 집에서 조산사를 불러 온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아이를 낳기도 하는가 보다. 늘 생활하는 집에서 편안하고 안정된 분위기에서 아기를 낳으면 산모나 아이 모두에게 좋다는 말은 들었었다.  

그림책을 통해서 집안 식구들이 아기의 탄생을 기다리고 준비하는 모습을 보게 되지만 감동은 여느 소설 못지않은 것 같다. 온식구가 아기를 함께 낳은듯, 엄마뿐 아니라 아빠도 아이들도 조산사도 모두 땀을 흘리면서 막 태어난 아기를 지켜보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그렇지만 역시 제일 마음에 든 것은 아기를 돌보는 엄마와 함께 집안 일을 열심히 하는 아빠의 마지막 모습^^ 

아이를 낳는 것보다 더 중요하고 힘든 일은 아이를 잘 키우는 일이다. 아빠가 아빠가 되고 엄마가 엄마가 되기 위해서는 아이를 막 낳았을 때의 그 감동을 종종 되새기면 아이 키우는 일에 더 정성을 기울이게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가 엄마가 된 날 작은 곰자리 9
나가노 히데코 지음, 한영 옮김 / 책읽는곰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처음 엄마가 된 날의 감동이 그대로]  

 

 아이를 낳기 전에는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엄마의 모습이 그렇게 아름다운 줄 몰랐다. 첫 아이를 갖고 10달동안 뱃속에서 나와 다른 한 생명체를 키우는 새로운 느낌. 그리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 속에서 힘들게 세상으로 나온 아이. 그 아이에게 처음으로 젖을 물리던 때의 감동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오물오물 꼼지락 거리면서 세상에서의 첫 만남을 나누던 그때의 모습은 아마도 생에서 가장 큰 감동으로 남지 않을까 싶다. 

첫 아이를 낳을 때의 두려움과 떨림이 고스란히 담긴 그림책이다. 병원에 아이를 낳으러 갔는데 진통을 하기까지 오랫동안 기다려야 할 때도 있다. 그림책 속의 엄마는 병원의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면서 아이를 낳기 위한 준비도 하고 두려움도 몰아내고 있다. 그렇게 기다림과 함께 조금씩 시작되는 진통. 진통하는 산모만큼 아파하는 남편의 모습도 책 속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참 그림체가 마음에 들었다. 대충 그린 듯하면서도 소박함이 묻어난다고 할까? 아이들도 한번쯤 흉내내어 그리고 싶어지는 그림이 아닌가 싶다. 또한 책 속의 모든 사람들이 웃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작가는 새로운 생명을 맞이하는 사람들의 기쁜 마음을 담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다.

아이를 낳기까지의 기다림과 고통, 그리고 새로운 아이에게 처음으로 젖을 물리는 엄마의 모습, 행복한 얼굴로 아이와 함께 집으로 돌아오는 모습이 자꾸 생각난다. 아마도 책을 읽으면서 첫아이를 낳을 때의 기억을 더듬는 엄마들도 많고, 자신이 이런 기다림 속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면서 기뻐하는 아이들도 많을 것 같다. 읽는 내내 처음으로 엄마가 된 날의 감동이 새록새록 피어나게 만드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지만 대단해! 미래그림책 97
울리 가이슬러 지음, 귄터 야콥스 그림, 윤혜정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칭찬은 최고의 격려] 

아이들이 뭔가 실수를 하고, 혹은 실패를 하고 좌절해 있을 때 우리는 그 아이들에게 "괜찮아. 다음에 더 잘 하면 되잖아. 그 정도면 정말 잘 한거야."라고 기운을 돋아주는 말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지만 내 아이의 경우가 되면... 대부분 쉼표가 필요해진다. 칭찬보다는 그렇지 않은 말을 하는 실수를 범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말이다.  

동물들에게 너무도 친절한 동글동글 선생님은 늘 긍정의 메시지를 전하는 사람이다. 작고 보잘 것 없다고 생각하는 돼지, 벼룩과 같은 동물친구들을 위해서 작지만 대단한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작은 반딧불이는 어둠 속에서 환하게 비춰주고, 작은 박쥐는 어둠이 무서운 커다란 곰을 안내할 수도 있고, 작은 달팽이는 거뜬하게 자기 집을 항상 지고 다닌다. 스컹크는 지독한 방귀 덕에 모기에 물릴 걱정도 없고^^, 못생긴 부리를 가진 펠리컨은 그 부리 안에 맛난 소풍 음식을 잔뜩 넣어가지고 올 수도 있다. 

작고 보잘 것 없는 동물들의 뛰어난 점을 말할 때면 "오호~~" 하면서 등장하는 감탄사가 책읽는 맛을 더해주고 있다. 몇 장만 읽고나면 아이들이 알아서 "오호~~"를 연발해 주기에 함께 읽으면서 장점을 더 기분 좋게 찾아가게 된다. 

그렇게 점차 기분 좋게 책을 읽으면서, 아이들에게 주는 칭찬이 바로 이런 느낌이 아닌가 싶었다. 작은 일에 지쳐하거나 실패했을 때, "오호~~" 하면서 아이의 잘 하는 점을 찾아주고 칭찬해 준다면 분명 아이들은 기분 좋은 바이러스를 쉽게 받아들이고 이내 콧노래를 부르지 않을까? 작은 동물 뿐 아니라 나 역시 동글동글 선생님께 좋은 가이드를 얻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