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 있는 역사, 문화재 2 ㅣ 주춧돌 4
이광표 지음, 홍영지 그림 / 사파리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탑과 불상, 도자기, 그림에 대한 심도있는 정보에 감탄]
아이가 학년이 올라가면서 아무래도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나 역시 아이에게 읽힐 책을 찾다가 이제는 내가 더 역사책을 탐닉하게 되었다. 우리 것을 모르고 어찌 세계화를 말할 수 있을까? 아이를 키우면서 더욱 우리 문화와 역사에 관심을 갖고 중요함을 느끼게 되는 건 당연한 일인가 보다.
사파리의 주줏돌 시리즈도 빼놓지 않고 읽었고 특히 살아있는 역사 문화재1은 책을 읽고 저자와 함께 경복궁 답사도 했던 터라 2권을 몇년동안 기다리고 있었다. 드디더 출간된 2권~ 역시 기다린 만큼 알찬 내용이 담겨 있어서 읽으면서도 뿌듯했다.
1권에서는 주로 바깥답사지로 소개될 수 있는 산성이나 궁이 소개되었다면, 2권에서는 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문화재를 주로 담았다. 그림이나 불상, 도자기, 탑과 같은 것이 그러하다. 아이들에게 소개되는 문화재는 전체적인 것을 소개하거나 혹은 개별 작품의 특징만을 소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몇가지를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전체적인 시대별 특징과 변화과정을 심도있게 소개하고 있다.
요즘에 아이들 대상으로 옛그림에 대한 소개책은 종종 나오는 것 같다. 재미난 이야기를 통해서 그림보는 법과 재미를 늘려주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 역사와 문화를 이야기하면서 결코 빠질 수 없는 불교적 문화에 대해서는 그리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지는 않았다. 삼국부터 들여온 불교가 고려를 거쳐 유교가 지배하던 조선까지 사찰중심의 문화가 이어졌기에 탑과 불상을 제외하고는 우리 문화를 이야기할 수가 없다. 그래서 늘 아이와 답사를 가면 대하게 되는 사찰의 탑과 불상에 대한 궁금증이 가시지 않았는데 많은 도움을 얻었다.
탑의 의미와 층수를 구분하는 방법은 물론 한중일 삼국의 석탑, 전탑, 목탑은 그들의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석탑에 자주 등장하는 사자는 악귀를 물리쳐 불법을 지켜주기에 많이 조각된다는 사실, 국립 중앙박물관에 가면 로비에 커다랗게 서 있던 경천사10층석탑이 10여년의 보수과정을 거쳐 그 자리에 서 있게 된 사연 등등 미처 알지 못하던 다양한 정보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책 속에 빠져들었다.
몰랐던 문화재에 대한 역사적 의미나 가치, 얽힌 이야기등을 아는 것도 좋았지만 가장 의미있었던 것은 역시 해외반출된 우리 문화재에 대한 소개였다.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는 또다른 실수를 하지 않으려는 의미에서이고, 문화재를 공부하는 것은 우리 문화재의 소중함을 깨닫고 지키고 보존하는데 가장 큰 이유가 있다. 병인양요를 통한 외규장각 도서의 반출,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약탈될 수많은 문화재를 더듬으면서 해외반출된 문화재를 다시 되찾기 위한 노력이 더 절실함을 깨닫게 된다.
그동안 궁금했던 불상과 탑, 그림, 도자기에 대한 심도있는 정보를 얻게 되어 너무나 기쁘다. 나만 알고 있을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우리 문화재에 대한 가치와 정보를 많이 알고 그 보존과 반환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면 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