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장생을 찾아서
최향랑 글.그림 / 창비 / 2007년 2월
평점 :
[아빠,엄마, 오래오래 사세요...]
사실 처음에는 십장생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읽어볼 생각을 한 책이지만 막상 읽다보니 저자의 섬세한 글솜씨에 가슴 한 편이 짠해지면서 눈물을 쏟아내고야 만 작품이다. 십장생...무병 장수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우리 선조들이 생활 주변에서 찾아담은 열 가지. 그 십장생의 깊이있는 마음이 아이들에게도 전해지는 작품이었음에 두 말없이 엄지손가락을 치켜들만 하다.
할아버지와 난 둘도 없는 단짝입니다....
할아버지와 너무도 친한 손녀의 모습이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첫그림부터 아이들과 내 마음을 사로 잡았다. 함께 쭈그리고 않아서 아이스바도 먹고 목마도 타고 ,한여름 벌러덩 누워서 낮잠도 함께 자는 모습이 정감어리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그런 할아버지가 어느 순간부터 손녀와 놀아줄 수 없다. 시름시름 앓고 결국은 병원에 간 할아버지를 그리워하면서 반짇고리 속의 빨간 비단 주머니의 수놓인 학을 만지작 거리다가 십장생들을 만나게 된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오래 살거나 변하지 않는 열가지를 십장생(해,소나무,학,바위,산,거북,불로초,물,구름,사슴)이라 부르고 가족들이 건강하게 오래 살기 바라는 마음으로 생활 주변에 십장생 무늬를 많이 활용했다고 한다. 이 책에서는 소녀가 학과 함께 십장생들을 만나서 비단 주머니에 담는 과정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십장생은 무엇인지 알 수가 있다. 그렇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소녀와 함께 십장생을 만나면서 할아버지가 건강해지기를 바라는 마음도 함께 담아간다는 점이다.
소녀와 책을 읽는 독자들이 함께 담은 십장생과 그 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할아버지와 그 헤어짐에 꺼꺼 설운 울음을 토해내면서 잠자는 손녀의 모습에 눈시울을 적시지 않을 수 없다.
말끔히 치워진 할아버지 방에 가 보았습니다. 손가락을 베이고 무릎이 까졌을 때처럼 마음도 그렇게 아플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습니다. (본문중)
이런 표현을 읽으면서 절제되고 섬세한 작가의 표현에 다시 한번 가슴이 짠해짐을 느낀다. 그렇지만 작가는 이별을 슬픔으로 끝맺지 않았따. 소녀가 할아버지와 닮은 제 눈매를 보고 늘 할아버지가 곁에 살아계셔서 슬프지 않다는 맺음말이 더 큰 감동으로 와 닿지 않았나 싶다.
아이들과 책을 읽으면서 그림 곳곳에 숨은 십장생들을 찾아보고, 소녀와 함께 할아버지의 건강도 기원하면서 동시에 직장다니는 엄마를 대신해서 늘 아이들을 돌봐주시는 할아버지, 할머니께 감사하는 마음도 배로 늘었다. 나 역시 책을 읽으면서 바쁘다는 이유로 그동안 소홀했던 부모님에 대한 고마움과 건강을 바라는 마음이 가득해졌다. 아빠, 엄마 오래오래 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