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옴두꺼비 장가간 이야기 ㅣ 방방곡곡 구석구석 옛이야기 4
박영만 지음, 이미애 엮음, 김세현 그림, 권혁래 감수 / 사파리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겉만 보고 판단하면 큰일나지~]
[방방곡곡 구석구석 시리즈]일명 방구시리즈라고 불리는 우리 옛이야기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우리 둘째에게 맛깔스러운 이야기로 기억된다. 몇 편의 작품을 읽고 다음 작품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이번에 나온 책은 <옴두꺼비 장가간 이야기>란다. 책을 보던 아들이 옴두꺼비가 뭐냐고 묻기에 우선 사전부터 찾아봐야 했다. 두꺼비 중에서도 몸이 더 우툴두툴하고 볼품없는 두꺼비를 옴두꺼비라고 표현한 듯하다. 개구리보다 더 못생긴 두꺼비. 표피의 우툴두툴한 부분에는 독소가 나오니 쉽게 만지지도 못하는 두꺼비이지만 우리 옛이야기에 자주 등장하는 친근한 동물이 아닌가 싶다.
<준치각시>의 그림으로 익숙한 김세현 님의 삽화에 이미애 님의 글이 어우러진 이번 책은 맛깔스러운 구어체 글에 그림 속에 우리 정서가 솔솔 묻어난다. 개인적으로 이런 그림을 좋아해서 그런지 읽어주면서 아이보다 내가 더 옛이야기 속으로 빠져드는 느낌이다.
옛이야기에는 아이를 갖지 못하는 부부의 이야기가 종종 등장한다. 이들의 정성으로 하늘이 감동하여 점지해 준 아이는 꼭 비범함 내지는 특이함을 안고 태어난다. 이들 부부에게도 사람이 아닌 못생긴 옴두꺼비가 태어난다. 내가 낳은 자식이 보통 사람과 다르면 혹은 자라면서 만족스럽지 못하면 이를 탓하는 부모도 적지 않으나...이들 부부는 사랑과 정성으로 옴두꺼비를 보살핀다. 옴두꺼비의 비범함은 양반집 셋째딸과 결혼을 하면서부터 시작되는데~착한 셋째와 결혼한 첫날, 두꺼비는 자신의 껍질을 벗고 멋진 청년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본모습을 모르는 다른 사위들은 옴두꺼비를 업신 여기지만 사냥터에서 옴두꺼비는 자신의 실제 모습과 비범함을 보여주고 이내 자신을 아껴주던 부모와 자신의 믿고 따라온 색시를 데리고 하늘로 올라간다는 내용이다.
이 책을 보면 어린 아이들도 못생긴 옴두꺼비의 외모를 벗고 늠름한 청년이 되는 대목에서 히죽거리면서 웃는다. 그동안 조마조마했던 감정이 반가움으로 바뀌는 순간이라고 할까? 연예인이 되려면, 아니 평소에도 이쁜 외모가 먼저가 되는 외모 지상주의에 일침을 가하기고 하고 못난 자식이라도 믿고 아끼는 부모의 사랑과 이에 화답하는 자식의 사랑도 함께 가르쳐주는 작품이 아닌가 싶다.
그런데~~간혹 옛이야기를 들으면서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부모가 옴두꺼비를 잘 보살피는데도 옴두꺼비는 당치않게 최고의 양반딸과 결혼하겠다고 한다. 그것을 말리는 부모에게 "그러면 저는 촛불을 켜 잡고 검을 들고 제가 나온 곳으로 도로 들어가겠습니다"라는 대목이 나온다. 과연 이 대목은 왜 들어가야 했는지? 의문이다. 읽어주는 어른으로써는 협박?조로 들리는 대목임이 틀림없으니 말이다. 우리 옛이야기의 의미?적인 부분, 혹은 해학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나 역시 아직도 이해가 부족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