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록달록 공화국 1 - 아이들만 사는 세상
알렉상드르 자르뎅 글, 잉그리드 몽시 그림, 정미애 옮김 / 파랑새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아이들만 남겨진 세상에서는 어떤 일이?]
책제목만 보고는 아이들만 사는 알록달록하고 아름다운 세상을 생각했다. 그렇지만 막상 책을 읽으면서는 상상이 아닌 현실 속에 아이들만 남겨진 알록달록한 왕국을 경험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아름다운 환상의 세계가 아닌 아이들만 남겨진 현실의 세계를 들여다 보았다고 할까?
책 속에 등장하는 아이들은 상당수가 어른들의 세계에 상당한 반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주인공이자 어른들이 없는 알록달록공화국을 이끄는 아리는 더더욱 그렇다. 아리가 이렇게 비뚤어진 감정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은 비뚤어진 가정과 학교에서 모두 보여진다. 원치 않는 부끄러운 아이를 낳았다고 해도 자신의 아이를 이렇게 냉대할 수 있는 것인지 책을 보면서도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아리의 어머니와 그의 의붓아버지, 그리고 학교에서는 아리 뿐 아니라 모든 학생을 자신의 발아래 무릎꿇리고 사악하게 권위를 휘두르려는 따귀선생이 바로 그렇다. 책의 전반에 등장하는 대표적인 어른으로 이들은 정말 어른 꼬리표를 단 것이 부끄러울 정도의 인물로 등장한다 .
피해를 입은 이웃섬을 도와주기 위해 따귀 선생만 남고 모든 섬의 어른들은 배를 타고 떠난다. 그러나 이들은 영영 돌아오지 않고 이제 남겨진 어른의 대표선수 따귀 선생과 아이들의 대표선수 아리의 한판 대결이 펼쳐진다. 처음에는 따귀선생의 교활함에 맞서 당당히 떠나는 아리가 이해가 되기도 했지만 따귀선생을 처단하는 대목에서는 섬뜩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아무리 많은 원한이 있다고 해도 권총으로 선생을 쏘고 그의 머리를 축구공으로 사용하는 대목에서는 소름이 끼쳤다. 이렇게 이루어진 아이들의 왕국이 정말 알록달록한 것인지..
책속의 아이들은 기존 사회의 모든 틀을 거부한다. 이들이 가장 거부하는 것은 어른들의 권위이다. 그래서 남녀가 서로에게 관심이 가도 가정을 이룬다거나 서로를 구속하는 따위는 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설령 알 수 없는 감정(아마도 느끼지는 못하지만 사랑이겠지)에 마음이 아파와도 말이다.
아이들의 환상적이고 아름다운 맘대로의 세상을 꿈꾸었다면 책을 읽으면서 약간 당황하게 될 것이다. 아이들만 남겨진 알록달록 공화국에서는 옷을 벗어던지고 모두 온몸에 자신의 원하는 색칠을 하고 간섭을 받지 않고 살지만 이들도 성장하고 서로를 워하기도 하고 그리고 자신과 생각이 다른 무리들과 전쟁놀이?도 해야하기 때문이다.
아이들만 남겨진 알록달록 공화국에서 성장한 아이들은 과연 성장하기를 멈춘 아이들일까? 이들이 이렇게도 어른이 되기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면서 어른의 한 사람으로 마음이 아파온다. 그동안 좋은 모습을 더 많이 보여주지 못한 미안함과 의무감이 동시에 느껴진다고나 할까? 다음 편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전개되는지 좀더 긴장하고 살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