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진짜 나일까 - 제6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ㅣ 미래의 고전 5
최유정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3월
평점 :
[자~이제 다시 바라볼 준비를 하자]
잠자리에서 잠깐 손에 잡은 책인데 끝을 보고야 말았다. 아이가 학교를 들어가고 학년이 올라가면서 청소년 대상의 작품을 보면서 많이 배우고 도움을 받는 것 같다. 6학년이 된 아이들의 반에서 벌어지는 왕따, 비방, 교사의 일방적이고 그릇된 편견이 작품 속에 묻어났다.
너무도 거칠어서 아무도 곁에 가지 않으려는 한 친구가 있다. 너무도 거친 말투와 행동에 아이들은 그 친구를 꺼려한다. 공부는 뒷전이고 늘 누워있거나 선생님들께 대드는 것도 일상인 아이. 그래서 어느 선생님 하나 다정하게 이 친구를 대해주지 않고 '문제아'로 주홍글씨를 새겨버린 듯하다. 건주는 그런 아이였다. 학교에서도 다정한 친구 하나 없고 선생들에게는 눈 밖에 난 문제아. 그렇지만 건주의 시선으로 그 속마음을 들여다 보면 이 아이를 비방할 수 있는 자격은 아무에게도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사랑을 받지 못한 탓인지 폭력을 일삼는 아버지와 매맞고 기한번 펴지 못하는 엄마, 그 가운데서 두려운 나날을 보냈기 때문인지 선주는 늘 거친 행동을 일삼게 된다. 사랑과 따뜻한 시선에 목마른 선주를 바라보면 마음 한 구석이 아려온다.
건주 만큼이나 마음 속에 아픔을 가지고 있는 또 한 명의 아이가 있다. 너무도 내성적인 성격인 시우는 늘 엄친아만 칭찬하고 부러워하는 엄마가 있다. 그래서 칭찬보다는 누구와의 비교를 당하기 일수이다. 주눅들어 있고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시우가 친구가 많은 아이들과 어울리고자 하는 마음이 드는 건 당연한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자신이 아닌 남에게 기대려는 그 모습은 건주를 괴롭히는 은찬의 허수아비 친구로 나타나고 만다.
시우와 건주를 보면 어른들의 틈바구니에서 상처를 받았지만 이 상처를 쉽게 내보이지 못하고 속으로 곪아가고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아파온다. 학교라는 공간에서는 오로지 성적순 내지는 엄마의 파워에 의해 학생을 평가하는 선생들의 모습도 보여 안타깝기만 하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담임은 인정하고 싶지는 않지만 학교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보통 선생의 모습이기도 하다. 그러나 상처입은 건주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상담선생님 같은 분이 있으니 정말 다행이다. 아이들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색안경을 쓰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여 줄 수 있는 사람이 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된다. 상담선생님을 통해서 건주는 그동안 억누르고 있던 분노와 설움을 커다란 울음으로 표현한다. 물론 상담선생님을 통해서 건주 뿐 아니라 시우나 건주의 부모까지 변화하는 과정이 담겨서 정말 게운한 마음으로 책장을 덮게 된다. 물론 현실에서는 이런 문제가 쉽게 행복하게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지만 작품에서나마 행복한 결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기쁘다.
아이들이 보여주는 모습은 그게 전부가 아니다.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몰라서, 혹은 감추기 위해서 자신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그런 것을 감지하지 못하고 아이들을 몰아세우는 어른들은 이 작품을 보면서 반성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아이들이 올바른 자아를 찾아갈 수 있도록 곁에서 제대로 지켜봐 주는 것도 어른들에게는 의무사항이 되는게 아닐까?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고민하는 수많은 아이들, 그 가운데 한 자리를 메우게 될 나의 아이를 포함해서 모두를 다시 바라볼 준비를 해보게 하는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