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지막 대결 우리말 왕중왕 ㅣ 속담왕 시리즈 3
김하늬 지음, 주미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09년 1월
평점 :
[순수한 우리말 얼마나 알고 있니?]
일년에 단 하루 우리말의 소중함을 언급하는 날이 바로 한글날이다. 일년 내내 우리말을 사용하면서 그 말의 소중함을 모르다가 이 날이 되어서야 우리말의 소중함을 말하곤 한다. 마치 늘 마시는 공기나 물의 소중함을 모르듯이 우리 말의 소중함도 늘 가까이 하기에 잊고 사는 것 같다.
아토피 때문에 도시에서 산골로 들어온 태백이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마치 우리 집 둘째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활달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것에는 자신감이 강한 아이. [속담왕 태백이]에서는 속담에 일가견이 있는 태백이를 통해서 우리말 속담을 재미있게 읽었었다. 태백이와 더불어 사자성어의 달인이라고 할 홍익이 ,그리고 우리말의 숨은 재주꾼이라고 할 은지가 등장하는 1권과 2권에 이어서 3권에서는 본격적인 우리말의 왕중왕을 뽑는 대결이 펼쳐진다. 1권에서는 속담이 주를 이루고 2권에서는 사자성어가 주를 이룬다면 3권에서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하던 순수하고 소중한 우리말이 줄줄이 등장하고 있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우리말을 보면 그 가지수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태백이와 홍익이가 벌이는 3가지 대결은 순우리말 잠, 비, 바람에 대해 말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낱말이 60여 개가 있는데 동화가 등장하면서 순우리말까지 합하면 그 수가 훨씬 더 많아진다. 그래서 작가는 순우리말을 적당한 상황에 등장시키면서 괄호를 통해서 말뜻을 풀어주면서 자연스럽게 우리말을 쓸 수 있는 상황을 전해주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는 누가 우리말의 왕중왕이 될까라는 스토리 구조보다는 이 책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우리말에 더 집중하게 되는 것 같다. 솔직히 이 책 속에 등장하는 우리 말을 보면 어른들이라 하더라도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이 얼마 안될 정도로 많은 순우리말이 등장한다. 그래서 누가 왕중왕이 되는가가 문제가 아니라 이 아이들이 수많은 순우리말을 사용할 수 있다는데 더 많이 놀라게 되는 것 같다.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책이라고는 하지만 솔직히 읽으면서 어린이보다는 어른들이 더 많이 알았으면 좋겠다 싶었다. 아이들에게 "너 알아?"라고 하기 전에 나에게 익숙한 것이 아이들에게 마음으로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인 듯하다. 책 속의 주인공 태백이, 홍익이, 은지 를 통해서 순수한 우리말에 대한 정보를 많이 접하게 되는 것 같다. 처음에는 책읽기가 매끄럽지 않지만 책을 읽어나가다보면 반복해서 나오는 말들, 혹은 특이한 말들에 대해 관심을 보이면서 조금씩 익숙해 지는 것 같다. 우리말 왕중왕은 공부를 통해서가 아니라 생활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익혀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