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 신윤복
백금남 지음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번뇌하는 천재 화가 신윤복,그를 통해 보는 우리 작품 ]
얼마 전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봤던 드라마 중에 김홍도와 신윤복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 있었다. 드라마화 되기 전에 이미 베스트셀러를 기록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원작을 나 역시 읽었기에 구지 텔레비전 작품은 시청하지 않았다 .김홍도에 대한 많은 자료가 있는 반면 그와 동시대에 살았다는 혜원 신윤복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다고 한다. 사실 학교에서 작품을 보면서도 별다른 생각을 하지 않았는데 그에 대한 자료가 그렇게도 없는지는 몰랐다. 그렇기에 신윤복을 여성으로까지 상상하는 작품이 나오기까지 했는가 보다. 사실 여성 신윤복을 생각하면서 정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알려진 사실이 없기때문에 이런 상상까지 가능한 것일까? 그렇기에 김홍도와 신윤복의 사랑도 가능하게 되는 것일까?하는 혼란이 없지 않았었다.
이 작품의 저자는 여성으로써 당시에 인정받지 못하는 천재화가 신윤복이 아니라 시대의 고지식함으로 자신의 작품세계를 인정받지 못하는 화가 신윤복에 더 많은 중점을 두었다. 그렇기에 마치 신윤복의 스승 최북처럼 혹은 장승업과 같은 화가처럼 시대에 편승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자신을 질책하면서 살게되는 신윤복의 삶이 더 처절하게 그려졌는지도 모르겠다.
조선의 유교 중심 사회에서는 통용되지 않는 것들이 많았었다. 신분제도의 벽이 그러했고 여성과 남성에 대한 차별, 원하는 것을 마음대로 말하거나 그릴 수도 없는 폐쇄성이 그러했다. 혜원 신윤복이 가장 힘들어했던 것은 원하는 것을 마음대로 표현해내지 못하는 시대의 폐쇄성이 가장 큰 이유였으리라. 자신이 원하는 것과는 달리 그려야만 하는 강요된 순간이라면 이를 무심하게 받아들이고 그림을 팔아 부를 누리던가 혹은 아에 절필해 버릴 수도 있다. 그렇지만 그림이 인생의 전부였던 혜원에게는 절필도 혹은 원치 않는 그림을 그려 파는 부의 축적도 선택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작품 간간이 보여지는 당대 화가의 그림을 살펴보는 것은 이 작품을 읽는 또 하나의 묘미가 된다. 같은 주제를 가지고 그리게 되는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을 살펴보는 것도 재미있지만 이들의 작품 외에 생소한 작품을 더 엿보게 되는 부분이 마음에 든다. 김득신, 김응환, 강세황, 안견, 윤두서, 정선 등의 작품도 소소하게 보게 된다. 책에 실린 그림들은 수록목록리스트를 통해서 다시 한번 찾아 볼 수도 있다.
서양의 내노라 하는 미술작가의 작품전이나 혹은 박물관 전등에 유아부터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고 한다. 막상 가서 보면 주요 작품은 모두 빠지고 몇 안되는 작품을 배열해 놓은 것에 실망을 하면서도 사람들은 그 유명세를 쫓아 전시회를 다니기도 한다. 나 역시 아이들과 그런 작품전을 찾기는 하지만 늘 아쉬운 것이 우리 작품을 근사하게 만날 수 있는 전시회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박물관에서 소개되는 몇점, 혹은 간송미술관 처럼 몇몇 전시관이 아니면 쉽게 만날 수 없는 것이 너무 안타깝다. 우리도 우리 미술가를 테마로 전시회를 한번 열 만도 한데...처절하게 한평생을 살다간 시대의 반항아, 신윤복을 통해서 우리 미술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도 함께 해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