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뚜깐뎐 ㅣ 푸른도서관 25
이용포 지음 / 푸른책들 / 2008년 10월
평점 :
[이제는 우리가 뚜깐이 되어 해문이슬로 태어나야 하지 않을까?]
정말 마음에 드는 표지옷을 입은 책 한권이 있다. 머리에 광주리를 이고 있는 뒷태가 수수한 한 여인을 담고 있는 뚜깐뎐이라는 제목의 이 책은 오래전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뒷방 여인네들이 썼을 법한 책 한권의 이미지도 함께 있다. 제목만으로는 어떤 이야기인지 통 감을 잡을 수 없었는데 첫 페이지를 접하고 황당함은 더했다. 과거의 이야기가 흘러나오겠지 싶었는데 이건 생뚱맞게도 2044년 태어날 때부터 영어를 상요하고 국어시간에 의미적으로 낯선 한글을 배워야만 하는 미래를 다루고 있다.
한글이 너무나도 쓸모없는 종이조각처럼 버려진 듯한 기분이 드는 미래, 그 미래에서도 한글을 지키기 위해, 실은 우리 정신을 지키기 위한 사람들과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고 설정된 작품이 하나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뚜깐뎐'이다. 작가의 이런 설정이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고 부정하기 보다는 지금 대학문만을 바라보면서 영어에만 매진하고 있는 우리 모습과 별반 다를 게 뭘까 싶은 생각이 밀려왔다.
늘 가까이 있기에 공기의 소중함을 모르듯 우리가 늘 사용하는 우리 말과 글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는 작품이었다. 똥뚜깐에서 태어나서 뚜깐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주막집의 처자. 뚜깐의 선머슴 같은 행동에서는 우리 옛소설에서 느껴지는 풋풋함이 은연중에 베어나왔다. 연산군 때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야기 속에서 선머슴같던 처자가 한 사내를 사랑하고 배신 당하고 그리고 천대받는 자신의 처지를 조금씩 인식하면서 한 무리의 사람들을 따라 배움의 길을 떠나게 된다. 글이라는 게 뭔지도 모르면서 일련의 사건을 통해서 마음의 고통만큼 성장하고 한글을 한자씩 깨우치면서 글을 통해서 마음을 표현하고자 하는 꿈을 지니게 된다. 해문이슬...해를 머금은 이슬로 다시 태어나는 뚜깐을 보면서 마지막 미래의 주인공의 시점으로 돌아오는 순간 책을 읽는 이들은 모두 또 하나의 뚜깐으로 다시 태어나지 않는가 싶다.
영어교육의 필요성에만 목소리를 높이고 국제중학교까지 가세를 하면서 우리의 정신과 삶을 지탱해주고 있던 한글의 부재를 더욱더 느끼게 만드는 요즘.. 우리 글과 말에 대해서 좀더 의미심장하게 생각할 시간을 갖게하는 작품이었다. 작가의 이런 발상에 놀라면서 그 준비기간이 10년, 결코 짧지 않은 시간 우리 말과 글에 대한 그의 고민의 흔적을 작품 곳곳에서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나와 너,,우리 모두 어쩌면 이 시대의 또 하나의 뚜깐이 되어 해문이슬로 태어나야 하지 않을까? 우선 내 글의 정신부터 제대로 입은 후에 영어든 중국어든 받아들여야 뿌리가 흔들리지 않을 거라는 ...그런 생각이 더 깊이 자리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