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한 자연사 박물관 ㅣ 미래그림책 10
에릭 로만 글 그림, 이지유 해설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1년 10월
평점 :
[시공을 넘나드는 상상에 흠뻑 빠져]
누군가 그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그림 있는 책을 보면서는 그림때문에 상상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말이다. 물론 아이들 그림책이 아니라 만화를 꼬집어서 한 말이기는 하다. 줄글 중심의 책에서 때로는 그림이 상상을 방해한다는 것은 일부 동감이 가기도 한다. 역으로 이런 경우도 있다. 그림만 풍성한 그림책에서 글없음이 오히려 상상력을 무한대 증가시키는 경우. 바로 이 책이 그런 경우이다. 글자 없는 그림책에서 그림만으로 느낄 수 있는 이야기 전계와 상상력의 극대화의 묘미를 찾을 수 있는 책이었다.
이미 너무도 유명한 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난 참으로 뒤늦게 만난 책이다. 표지에 나오는 새 한마리와 눈을 뜬, 분명히 살아있는 공룡의 모습이 이 책 속에서 벌어지는 시공을 넘나드는 부분을 단적으로 담고 있다.
폭풍우가 치는 밤, 새 한마리가 비를 피해 자연사 박물관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전면에 보이는 자연사 박물관에는 발굴된? 혹은 모형으로 만든 뼈만남은 공룡의 조형물이 가득하다. 살아있는 공룡이라면 감히 상상할 수도 없을 법한데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기에 새는 공룡의 입안에 앉는 여유까지 보인다. 새는 살아있지 않은 공룡의 뼈로 된 조형물 사이를 유유히 날고 그런 가운데 묘한 변화가 포착된다. 일부가 공룡이 살고 있던 그 시대로 변하고 공룡의 뼈에 서서히 살이 붙어 살아있는 공룡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날아다니던 새가 만나게 되는 자연사 박물관의 공룡들이 살아움직이고 그 가운데 시가 조롱하듯 입안에 앉았던 티라노사우르스는 새를 덥썹 삼켜버리기까지 한다. 과연 새는 어떻게 되었을까?
바로 공룡이 새를 삼킨 다음에 작가의 더 절묘한 상상력이 발휘된다. 공룡에게 삼켜진 새는 앙상한 공룡의 뼈를 통해서 다시 밖으로 나오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살아 움직이는 공룡은 상상의 세계이고 통하게 되는 뼈는 자연사박물관의 현실인 것이다. 현실과 상상이 묘하게 결합되면서 독자는 한 마리 새를 통해서 과거의 모습이 담긴 자연사 박물관은 살아있지는 않지만 그만큼의 생동감을 가진 과거의 흔적들로 채워진 곳임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난 아이들이 다시 자연사 박물관에서 공룡을 보게 된다면 단지 죽어있는 모형?이라고만 생각할까? 새 한마리가 생생한 박물관을 느끼고 도망치듯 다시 박물관을 떠났을 때 처럼 아이들도 살아있는 공룡과 그 과거의 생명력을 충분히 상상하고 느끼게 되지 않을까 싶다.
유명한 화가이기도 한 에릭 로만이 펼치는 세계는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 같다. 아이들을 위해 처음으로 쓴 책이 칼데콧 상까지 받았다고 하는데 역시 상을 받을 만한 작품이라데 동감하게 된다. 참, 이 책을 보면서는 여배이 주는 효과와 의미도 놓치지 않기 바란다. 흰 테두리 여백이 있는 장면과 없는 장면이 주는 시간의 차이, 상상의 차이를 아이들과 꼭 한 번 짚고 넘어간다면 한층 흥미있는 그림책 여행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