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산의 아버님께 ㅣ 진경문고 1
안소영 지음, 이승민 그림 / 보림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들의 눈으로 바라본 다산의 삶]
집에는 너덜거리는 책 한 권이 거실에 있다. 책읽기를 별로 달가워하지 않는 남편도 여러번 손에 잡고 읽었고 시집에도 둘러둘러 여러사람을 거쳐 거실 한 편에 자리잡은 책은 책만 읽는 간서치, 이덕무의 책이다. 이덕무를 통해서 보림의 진경문고를 알고 이 시리즈에 남다른 애착을 갖게 되었다. 그러면서 이덕무를 가르쳐주었던 안소영 작가의 또 하나의 작품을 진경에서 만나게 되었으니 바로 다산의 삶을 다룬 책이다.
다산 정약용..난 그를 따로이 생각했던 적이 없었던 것 같다. 늘 누구와 무엇과 연결되 정약용을 그렸다. 수원화성을 설계한 정약용, 정조와 연결된 정약용..온전한 그의 삶을 생각하기에 앞서 조금만 돌아다니면 정약용과 연결된 것이 너무도 많아서 늘 그를 건네 들은 것 같다. 이번에는 그 무엇과 연결된 것이 아닌 다산 자체만을 볼 수 있다는 생각을 먼저 해보게 된다.
다산의 아버님께...제목만으로도 목에 무엇이 걸린 듯한 느낌이 든다. 나룻배를 타고 먼 곳의 누군가를 그리며서 가는 나그네의 뒷모습과 뱃사공의 모습이 한층 애잔함을 담아내는 표지 그림에 한층 더 목이 메이게 된다. 이미 다산의 삶이 순탄하지 않았음을 알기에 그를 만나러 가는 아들의 마음을 느끼게 되니 어찌 목이 메이지 않을까?
다산의 아버님을 찾아가는 이 책의 화자는 바로 정약용의 둘째 아들인 학유이다. 아들의 눈에 비친 아버지의 모습으로 다산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천주교를 믿는 사람이 많았던 정약용의 집안은 그의 형제들과 조카들이 문초를 당하고 유배생활을 하게 된다. 그런 친척과 가족을 바라보는 학유의 눈을 통해서 정약용과 주변 사람들에 대한 적잖은 이야기를 듣게 된다. 만약 인물중심서라면 딱딱한 사실 전달이 주가 되겠지만 이 책은 정약용의 아들 학유의 눈을 통해서 한층 서정성을 담아내는 방식을 취했기에 읽는 이의 마음을 더 애잔하게 만드는 것 같다. 아들의 눈에 비친 아버지..
유배생활을 하면서도 아들들이 학문에 대한 배움을 게을리 하지 않기를 당부하고 자신도 늘 글을쓰면서 정진하는 생활을 했던 다산을 다시 한 번 만날 수 있다. 유배생활에서 풀려난 아버지를 맞는 학유의 기쁨도 잠시..자신의 환갑잔치에서 옛날을 회고하면서 자신의 아버지가 쓴 많은 저서를 떠올리고 그 저서들이 훗날 많은 사람들이 알아 볼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아들 학유의 마음이자 바로 저자의 마음이었으리라..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그 마음에 동조하는 독자들의 마음도 보태어지리라...
아들의 눈으로 바라 본 다산은 범접하지 못하는 학자이기 전에 인간이면서 정진하는 학자이고 동시에 두 아들의 아버지였던 사람이었다. 이제는 무슨 책을 쓴 지은이나 정조 임금을 도왔던 혹은 수원화성을 설계한 사람이 아닌 다산 정약용으로 그를 더 많이 기억하게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