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밤 학교에서 생긴 일 ㅣ 작은도서관 30
조영희 외 5인 지음, 신형건 엮음, 임수진 그림 / 푸른책들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올해의 작가상 수상작가들이 또 뭉쳤다!]
아이들에게 학교는 어떤 곳일까? 딸 아이에게 학교는 어떤 곳이냐고 물으니 공부를 배우는 곳이란다. 그렇지만 자기는 친구들을 만나서 좋은 곳이란다. 이렇게 학교는 배움을 전하는 곳이면서 그런 배움을 찾아든 아이들이 만남을 통해 사회를 배우는 곳이다. 그런 부딪힘이 긍정적일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모습일 때가 더 많다는 것은 구지 말하지 않아도 알고 있다.
아이들이 배움에서 즐거워야 할 곳임에도 시험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받고, 그런 가운데 친구들은 하나 둘 경쟁자가 되고, 나와 다른 아이를 이해하기 보다는 왕따를 시키는데 아무렇지도 않게 변해가는 아이들..물론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학교를 생각하면 조금은 무거운 마음이 드는게 사실이다.
올해의 작가상 1회 수상자들이 "학교에서 생긴 일"이라는 주제로 뭉쳐 낸 이번 작품집은 학교가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모습을 참으로 기발한 발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 많아서 읽는 내내 즐거웠다. 아이스크림 통을 열었더니 한 통에 색색의 다른 맛이 가득한 것과 같다고나 할까?
학교에서 시험보는 것에 대한 부담을 어떤 아이는 컨닝으로 해결하는데 어라~~자신의 말하는 책받침의 명령으로 짝꿍의 시험지에 있는 답들이 내 답안지로 옮겨오고 친구들이 글자들은 뒤죽박죽되는가 하면 어떤 아이는 학교를 불지르겠다, 시험지를 유출하겠다면서 과감하게 학교에 잠입하지만 세종대왕과 유관순 언니의 제지로 한바탕 소동이 벌어지기도 한다. 아이들이 한번쯤은 상상해 보았음직한 이런 부분을 담아내는 작가들의 기발한 글솜씨에 읽는 내낸 웃음이 났다. 시험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이렇게 왁자지껄하게 풀어낸 작품이 또 있을까?
그런가 하면 뱀장수 할아버지의 일일교사 연설을 들어보는 작품도 있었다 .할아버지의 사투리를 읽어내느라 진땀 꽤나 흘렸지만 마지막에 정말로 뱀박물관 선상이 된 아들 이야기는 학교라는 곳과 선생님이라는 위치에 대해서 갖고 있는 우리들의 생각을 다시 되짚어 볼 수 있었다.
그렇지만 책을 읽으면서 내 눈물샘을 꼬옥 짜버린 한 작품은 역시 명랑스님의 러브레터 한 장이다. 동자승으로 학교에 다니는 명랑스님과 뇌종양으로 쓰러져 입원한 선생님의 편지는 마음 한 구석을 저리게 만드는 작품이었다. 평범하지 않은 아이와 그 아이를 보듬어 주는 선생님을 우리 주위에서도 많이 만나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한 권의 책 속에 담긴 여러 작가의 작품을 보면서 단편읽는 재미을 다시금 느꼈던 것 같다. 작년에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한 사람들이 모였다고 해서 다시 '수선된 아이'를 펴들고 작가의 이름을 하나하나 대조하면서 말이다.^^ 책의 내용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이런 작가들의 한 가지 주제로 다시 재결합 시켜 작품집을 낸 출판사의 기획력이 돋보인다고 말해주고 싶다 . 독자로써 이런 우리 작가의 작품들, 이런 작품집을 자주 만나는 건 행복한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