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 줍는 개미 미래그림책 72
마테오 테르자기 글, 오희 옮김, 마르코 쥐르혀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배움의 가치를 느끼게 해주는 책]

처음에는 유아들에게 글자를 가르쳐주는 정도의 책이 아닐까 했는데 기대치 이상의 가치를 발견한 책이다. 글자를 배우는 것, 배움을 갖는 것의 가치를 생각하게 해주는 책이었기 때문이다.

빵부스러기를 모으는 다른 개미들과는 달리 이나는 늘 글자를 주워온다. 다른 개미들과 다르기에 따돌림을 당하던 이나는 어느날 전쟁을 하러 탱크를 몰고 행진하는 군인들에게 자신이 모은 글자들로 이렇게 이야기 한다.

"왜 화난 것처럼 장화를 신고 쿵쿵 거리며 오나요? 무엇때문에 전쟁을 하러 가는 건가요?"

이나의 물음에 군인들은 정작 자신들이 왜 이렇게 성난 모습으로 전쟁을 하러 가는지 곰곰히 생각하게 되고 모두 군복과 군화를 벗어던지고 자유를 찾아 평화를 찾아 환호하면서 떠난다. 그렇게 해서 불안해하던 개미들도 인간들도 모두 평화를 맞이하게 된다. 심지어 이나가 만든 글자들에게 모두 발이 생기면서 개미같은 모습으로 환호하는 장면을 정말 그림책에서 만나는 최고의 웃음을 선사하는 장면이 아닌가 싶다.

이나가 그동안 모아온 글자들은 아무런 의미없는 것들이 아니라 사람들도 개미들도 생각을 하게 하는 하나의 도구였던 것이다. 그런 배움의 기쁨을 깨달은 다른 개미들도 이제는 글자를 모으고 심지어 시를 쓰는 개미까지 나왔다는 결말에 빙그레 웃음짓게 만든다.

언어를 배우고 지식을 쌓는다는 것은 단순히 머리를 키우기 위함이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낀다. 너무 많은 배움으로 머리가 커가는 아이들은 많지만 진정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들로 마음이 채워지는 것이 더딤에 늘 안타까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 책은 배움은 기본은 바로 소통이고 그것은 모두의 평화를 키워나가기 위함이라는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렇기에 배움의 큰 가치를 더 깨닫게 하는 책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3대 환상동화 - 오즈의 마법사/피노키오의 모험/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라이먼 프랭크 바움.카를로 콜로디.루이스 캐롤 지음, 강은슬 옮김, 그레그 힐더브랜트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멋진 일러스트에 반한 책]

너무나 익숙하게 알려진 명작을 다시 만날 때는 두 가지 이유가 있는 것 같다 .한 가지는 완역본으로 작품을 만나기 위함이고 또 한가지는 명작동화에 그려진 멋진 일러스트에 반할 때이다. 이 책은 후자로써 딸 아이의 마음을 홀딱 빼앗아간 책이다.

이미 잘 알려진 오즈의 마법사, 피노키오의 모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세 작품은 그림책에서부터 동화책에 이르기까지 정말 다양한 출판사의 책을 접하게 되는 것 같다. 그렇지만 4학년인 딸 아이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임에도 세밀하고 사실적인 아름다운 일러스트에 반해서 이 책을 읽었다. 단순화된 그림이 아니고 정말 사람이 튀어나올 것처럼 섬세하게 표현하고 채색을 해서 읽으면서 더 즐겁게 되는 것 같다.

초등 저학년 정도 아이들이라면 충분히 그림과 함께 책의 내용을  즐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오즈의 마법사에서는 각 등장인물들이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하나씩 채워가는 지혜로운 모험을 경험하게 되고 피노키오의 모험을 통해서는 정말 자신에게 소중한 것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배우게 되고 그리고 마지막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는 아이들이기에 가능한 상상의 세계를 맘껏 경험하게 될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영원한 명작으로 남은 세 가지 판타지동화를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만날 기회를 놓치지 않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에 하늘을 날았어요 미래그림책 75
에벌린 하슬러 지음, 케티 벤드 그림, 유혜자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마법같은 겨울이 지나면 꿈이 이루어져요]

 

"이건 마법이야, 마법~~"

처음으로 애벌레가 고치를 틀고 나비로 변신한다는 사실을 알고 아이는 그렇게 소리쳤었다. 이건 마법이라고..정말 자연의 세계는 신비하다. 긴 고통의 시간이 지나면 정말 마법같이 신기한 일들을 만들어내는 자연은 말이다.

큰 아이가 11살..아마도 6살 즈음에 이것과 같은 책을 전집에서 읽었었나 보다. 이미 엄마인 내 기억에서는 잊혀졌는데 아이가 책 표지를 보자마자 자신이 읽었던 그림책에서 이것과 같은 책을 골라와서는 호들갑니다 . 그러면서 이제는 이 책을 자신의 7살짜리 동생에게 읽어주는 재미를 맛보는 것같다.

땅 속나라의 겨울은 마법의 싹을 틔우는 때이다. 겨울을 나는 애벌레와 지렁이와 굼벵이, 딱정벌레. 겨울을 땅 속에서 나는 이들은 이웃사촌이다. 조금만 가면 모두의 집이 연결되는 신기한 미로같은 땅 속에서 늘 함께 만나서 즐거운 시간을 갖는다. 그러다가 예기치 못한 변화를 맞게 된다. 친한 친구인 애벌레 나리가 어느날 더 이상 함께 시간을 보내지 않고 고치 속에서 잠을 자고  겨울 비상 양식으로 남겨둔 양파가 죽어버리고...고치를 뚫고 사라진 나리를 그리워 하는 친구들은 슬픔에 젖어 마지막 겨울을 보낸다. 그리고 이내 따뜻한 봄기운을 느끼면 땅 위로 올라왔을 때, 그 때에 비로소 겨울동안 땅 속에서 벌어진 마법같은 일들을 깨닫게 된다.  친구인 나리는 고치를 뚫고 나가서 아름다운 나비가 되고, 죽은 줄만 알았던 양파는 바로 아름다운 튜울립 꽃을 피워낸 뿌리였다는 사실을 말이다.

마법같은 자연의 변화를 아름다운 동화 한 편으로 만날 수 있는 시간이었던 것 같다. 유아들은 자연현상을 딱딱하게 설명하는 것보다 이런 동화 한 편으로 만나면서 관심을 갖는게 더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서 자연에 대한 관심과 함께 자연의 아름다운 이치를 마음에 담는 감성도 함께 키우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할까요? 미래그림책 73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원작, 야나가와 시게루 지음, 길지연 옮김, 고바야시 유타카 그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채워도 모자란 인간의 욕심]

채워도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 인간의 욕심을 들여다 볼 수 있었던 그림책이었다. 원작자가 러시아 대문호인 톨스톨이라고하니 그 무게감을 느끼면서 책을 펼쳤다. 사람에게는 얼마만큼의 딸이 필요한가?라는 제목만으로도 그가 무엇을 말하려는지 알고 있었지만 부모가 일일이 설명하지 않아도 아이들이 읽음으로써 충분히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남의 땅을 소작하면서 사는 시골의 농사꾼 파흠은 자신의 작은 땅을 갖고자 하는 바램이 있다. 우연히  작은 땅을 갖게 되고 열심히 일해서 그 땅을 일구어 가면서 파흠은 행복해 한다. 그러나 문제는 땅에 대한 만족이 자꾸만 커져간다는 것이다. 이렇게 땅을 가꾸니 조금만 더 넓은 땅을 원하게 된다. 처음에 작게나마 자신의 땅을 갖고 행복해 하던 파흠이 점차 땅을 넓혀 가면서는 행복과 만족보다는 늘 땅을 지키고자 혹은 넓히고자 하는 불안감으로 채워진다. 그런 파흠의 모습을 보면서 책을 읽는 아이들 역시 불안감을 느낀다. 그것은 한없이 커져가는 파흠의 욕심을 감지하면서 갖게 되는 불안감이었다. 욕심이 커져가는 파흠이 결국에서 행복하지 못한 결말을 맞게 될 거라는 예감 때문에 귀를 곤두세우고 파흠의 땅넓히는 과정을 유심히 지켜보게 된다.

그렇게 땅을 넓히던 파흠에게 해가 지기 전까지 다시 되돌아 올 수 있을 만큼의 땅을 주겠다는 사람의 말에 파흠은 무작정 걷기 시작한다. 자신이 걷는 만큼이 자신의 땅이 된다니 이 얼마나 기막히 횡재가 아닐까? 그러나 역시 문제는 욕심이다. 파흠은 걸으면 걸을수록 조금만 더 넓히고자 하는 욕심때문에 되돌아오기 힘들 정도로 먼 길을 걷는다. 죽을 힘을 다해 원점으로 되돌아온 파흠은 그동안의 자신의 욕심을 이루게 해 준 것이 바로 악마임을 알고는 힘에 겨워하면서 죽음을 맞이한다. 결국 인간에게 필요한 땅은 죽음을 맞아 자신의 몸을 누일만큼의 땅이라는 것을 알지도 못한채 말이다.

아이들의 그림책이지만 함께 읽다보면 어른들도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다. 사람의 끝없는 욕심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 모르지만 올바른 사람이라면 그 욕심을 조절하는 힘도 함께 키워야 할 것이다. 그런 힘을 키우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 아닌가 싶다. 채워도 모자란 인간의 욕심을 들여다 보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으로 간 코끼리 보림창작그림책공모전 수상작 5
하재경 지음 / 보림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 코끼리는 정말 숲으로 간거야?]

 

아이들의 그림책을 보면서 어른들의 마른 감성에 단비가 뿌려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면...아마도 동감하는 사람들이 적잖을 것 같다. 아이들의 그림에는 그림을 통한 감성과 설명이 아닌 느낌으로 받아들여지는 여백이 많기에 엄마가 되고서야 아이들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면서 그 가치에 눈을 조금씩 뜨게 된다. 그 눈떠짐이 내 삶에 얼마나 따스한 빛이 되는지 모르겠다.

우거진 수풀 속에서 눈을 감고 있는 코끼리 한 마리의 모습이 그려진 표지.  밝음보다는 어딘지 모르게 조용한 슬픔이 전해진다. 색채가 조금은 어둡워서 그렇기도 하겠지만 하얀꽃과 대조되는 눈을 감은 코끼리의 모습이 평온함과 묘한 슬픔을 담고 있는듯하다.

어려서 서커스단에 들어온 코끼리. 그곳에서 코끼리는 자신의 의사와는 다른 삶을 살게된다. 늘 연습을 하고 사람들 앞에서 재주를 선보이고 ...그렇게 지내던 코끼리가 늙고 더 이상 쓸모없게 되자 서커스 단장은 코끼를 동물원으로 보내려 한다. 코끼리는 동물원으로 떠나기 전날 엄마와 자유롭게 지내던 숲을 단 한 번만이라도 가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진다. 바로 그 때 요정이 거짓말처럼 눈앞에  나타나 코끼리는 철창 밖 세상으로 나가게 된다. 요정과 함께 아름다운 꽃이 만발한 곳에서 숨바꼭질도 하고 숲속에서 맛난 열매도 따먹고 그리곤 조용한 연못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씻고 조용히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한다. 그동안의 힘들었던 생활을 모두 잊고 정말 행복한 미소를 짓고 말이다..

마지막 순간에 자신이 그리던 곳을 상상하고 꿈꾸면서 죽음을 맞이하는 코끼리의 모습이 너무도 안타깝다. 책을 읽던 7살 아들은 코끼리가 왜 숲에서 놀다가 갑자기 철창에서 죽냐고 갸우뚱한다. 그러면서 정말 코끼리는 숲으로 돌아간게 맞느냐고 한다. 정말 코끼리는 숲으로 돌아갔을까? 너무도 간절히 원하던 자유와 따뜻한 자연의 품으로 말이다.

작은 배려와 사랑이 서로를 따뜻하게 보듬을 힘을 주지만 그렇지 않을때는 상대에게 커다란 상처로 남음을 너무도 잘 안다. 그렇지만 인간에게는 즐거움을 주고 스스로는 상처받는 많은 동물들을 생각하면 정말 마음이 아프다. 우리가 만나는 동물들 하나하나에 고마운 마음을 갖고 미안한 마음을 갖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