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드기는 송장벌레 등에 타고 옮겨 다녀요 - 이동공생.도둑기생 ㅣ 공생과 기생 4
키어런 피츠 지음, 김승태 옮김 / 다섯수레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과학과 사회를 한번에~]
다섯수레의 왜그런지 궁금해요 시리즈는 아이들과 함께 즐겨보는 책이다. 집에 소장을 하고는 궁금한 과학적 사식을 많이 얻는데 이번에는 정말 새로운 시리즈를 만나보게 되었다. 바로 사회과 과학을 접목시킨 책이라고 한다. 가만히 살피니 공생과 기생시리즈로 과학적 상식을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살핌도 겸하는 책이다. 정말 새로운 과학과 사회를 접목시킨 책이라고 여기면서 낯설 공생과 기생의 세계로 풍덩~
우선 공생에 대한 새로운 정의부터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 이 책을 읽는 첫단계의 할 일이다. 공생이라 함은 서로 다른 생물이 서로 관계를 맺으면서 사는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기생도 공생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한다. 이 책에서는 이동공생과 도둑기생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이동공생이라 하면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동물이나 곤충이 운반동물의 몸에 붙어서 이동을 하는 관계의 공생을 말한다. 이동공생의 관계에서는 대부분 운반동물은 득이 없는데 이른 편리공생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커다란 상어의 몸에 붙어서 이동하는 빨판상어와의 관계를 들 수 있다.
이렇게 이동을 하면서 운반동물의 새끼를 노리는 편승동물도 있다고 한다. 운반동물의 몸에서 끈질기에 기다리다가 이동을 하는 틈에 운반동물의 새끼나 애벌레를 먹는다고 하니 정말 양심없는 관계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이것이 자연의 이치임을 아이들과 함께 느끼게 된다. 이런 관계에 있는 생물로는 열대지방의 코스타리카올빼미나비와 수중다리좀벌레를 들 수 있다. 이름도 처음 들어보는 수중다리좀벌레는 올빼미나비의 다리에 붙어서 이동을 하고는 이내 올빼미나비의 애벌레를 먹는다고 한다. 이런 상태를 커다란 사진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책을 읽으면서 찾을 수 있는 즐거움 중의 하나이다. 이 책 속에는 이렇게 낯설면서 처음보는 사진이 큰 컷으로 담겨 있어서 어려운 내용이지만 읽으면서도 신기해하면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뤄지는 다른 동물의 먹이를 훔치는 도둑기생동물은 참으로 흥미로운 동물들이 포진하고 있었다. 다른 동물의 먹이를 가로챈다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게 뭘까? 바로 대표적인 것이 동물의 왕이라고 하는 사자를 들 수 있다 .사자의 경우도 다른 동물이 잡아놓은 먹이를 가로채는 도둑기생을 한다니 참으로 신기하고 놀라웠다 .이 외에도 큰 펠리컨의 입이 열리기를 기다렸다가 먹이를 가로채가는 검은제비갈매기, 대놓고 퍼핀이 잡은 먹이를 가로채가는 도둑갈매기, 주인도 모르게 먹이를 훔쳐가는 자칼파리 등도 도둑기생의 보기 좋은 예이다
사실 이 책을 읽다보면 새롭게 접하는 용어가 많이 나와서 정리할 필요를 느끼는데 책의 뒷부분에서 낱말풀이를 따로 해 놓아서 다시 한 번 살피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강추하는 큰 이유는 생소한 부분에 대한 접근이면서 커다란 사진을 이용해서 낯선 생태계의 공생관계를 살필 수 있다는 점이다. 처음 접하는 시리즈인데 다른 책도 살펴봐야겠다 싶다. 생태계의 서로 얽히는 공생과 기생관계를 과학과 사회로 연결시키는 기획의도가 참으로 센스있다고 생각하면서 간만에 멋진 과학책을 발견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