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짠내나는 서울지앵 - 우리들의 짠한 서울기억법
서울지앵 프로젝트 팀 지음 / 리프레시 / 2018년 1월
평점 :
<우리들의 짠한 서울
기억법>
파리지앵이라는 말은
들어봣어요. 서울지앵이라는 말이 있던가? 작고 노란 책에는 <짠내나는 서울지앵>이라고 적혀있다. 서울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뭔가 더 애잔하고 진솔한 내음이 풍긴다. 그런 이유가 서울지앵이라는 단어 하나에 슬며시 스며들었기 때문이라고 여겼는데 책장을
펼치면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 더 진한 서울에 대한 기억이 스며들어 있었다.
서울에 대한 기억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이 사람들은 모두 서울에서 살았던가 혹은 서울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다. 서울에서 태어나서 자란 사람들이라기 보다는
우리가 더 쉽게 만날 수 있는 타향에서 혹은 타국에서 온 사람들의 서울이야기가 진짜 짠나나는 서울에 대한 기억을 우리에게 들려줄 것이다.
책에서 소개되는 짠내 이야기의 주인공은 모두 6명이다. 누구는 해외에서 공부하는게 꿈이어서 온 유학생도 있고 어떤 이는 좋아하는 꿈을 이루기
위해서 서울에서 사는 이도 있고 어떤 이는 공연을 하고 어떤 이는 책을 만들기도 한다. 이들이 보여주는 서울의 모습은 하나같이 골목문화를
떠올리게 한다.

사실 얼마전에
골목문화에 대한 강좌를 듣고 책을 찾아본 터라 더 골목이 담긴 일상과 생활에 주의가 기울여지는가 보다. 첫 이야기부터 등장하는 봉천동은 처음
살림을 차린 곳이기도 하고 시댁이 있어서 사진과 글을 통해서 연상이 되는 장소였다. 자취생들이 살고 있는 곳으로 유명하기도 하지만 골목골목
올라가야 쉴 수 있는 꼭대기의 집들이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그 속에 살면서 가졌던 애환, 혹은 혼밥이나 혼술을 하기 위해서 반갑게 기억하는
장소까지 소소히 들여다 보면서 서울지앵 맞다는 말이 절로 나왔다.

개인의 삶와 역사가
담긴 곳이 추억이 되지만 글을 읽는 나로써는 글쓴이의 추억을 듣고 거기에 나의 경험의 기억을 덧칠하게 된다. 가장 안타깝게 읽었던 장소 중의
하나가 바로 혜화동에 대한 기억일 것이다. 대학로 헤화동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억은 연극이 펼쳐지는 소극장들의 무궁무진함과 마로니에 공원의
자유일 것이다. 저자가 공연을 하면서 변화를 기대하는 대학로의 모습, 그리고 좀더 올라가면 만날 수 있는 해바라기 그림으로 유명한 이화벽화마을에
대한 사진까지 눈에 담아가면서 읽었던 거 같다. 지금은 그 해바라기 그림이 주민들에의해 지워질 수 밖에 없어서 안타깝기는 하지만 삶은 그곳에
살고 있는 주민을 위한 것이지 구경오는 사람들의 것은 아니기 때문에 충분히 이해는 간다.

홍대와 화양리에 대한
이야기는 미루어 짐작한 카페의 모습이 많이 등장하는 것도 끄덕이게 된다. 이쁜 상점과 카페, 그리고 변해가는 모습 속에 활기가 담기기도 한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듣는 것은 그곳에 대한 정보나 기억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다. 어느곳에서든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형성할 수 있는 공감대는 분명 있으니 말이다. 처음 듣는 서울지앵. 이 말이 더 좋아지는 서울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