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 중 아이들과 읽어 볼 ..
미술이 궁금할 때 피카소에게 물어봐 궁금할 때 물어봐
오주영 지음, 위싱스타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미술에 대한 궁금증을 시원하게 풀어주네요]

 

 

책을 읽기 전에 표지를 대하는 것은 사람을 대할 때의 첫인상과 비슷하다. 사실 이 책의 표지는 별로 끌리지 않았다. 식상한 제목에 흰 표지가 다소 딱딱하기도 하고 신선감이 떨어졌다고나 할까? 사람도 얼굴만 보고 판단하면 실수하듯 이 책도 겉표지만 보고 시큰둥했었는데 책을 읽고나니 요런 생각이 싹 바뀌었다.

 

미술가 중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친숙한 사람 중의 하나로 피카소를 들 수 있다. 그의 작품을 아이들이 좋아한다기보다 워낙 유명한 분이라서 미술하면 피카소라는 등식이 성립할 수 있기에 미술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가는 캐릭터로 피카소를 택했나 보다.

책을 읽다 보면 궁금한 부분에 대한 부연설명에 피카소 캐릭터가 등장해서 풀어준다. 그리고 책 사이사이에 있는 '한 걸음 더'에서는 질문과 연관성이 있는 상식을 주는 덤의 기쁨이 있는데 이 부분을 장식하는 것도 역시 피카소 캐릭터이다.

 

목차를 살피면 34가지의 질문이 나열되어 있다. 질문을 통한 답변 형식의 내용을 취하고 있고 그 질문들이 평소 궁금증을 갖던가 혼동되기 쉬운 부분에 대한 질문이어서 골라서 읽기에 좋도록 구성되었다. 순차적인 읽기가 아니고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집에 두고 보면서 필요할 때 수시로 찾아 보면 좋겠구나 싶다.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이 가는 부분은 역시 동양화에 대한 설명이었다. 수묵화를 그릴 때 산이나 바위 등을 표현하기 위한 특별한 붓놀림이 있는데 이것을 준법이라고 한다. 뾰족한 바위산을 표현하는 부벽준법, 낮은 구릉을 부드럽게 표현하는 피마준법, 정선의 [금강전도]에서 보이는 수직으로 죽죽 내리 긋는 수직준법까지..준법에 대한 이야기와 더불어 먹을 어떻게 만드는지에 대한 상식을 '한걸음 더'에서 배운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는 피카소 보다는 김홍도 할아버지에게 설명을 들으면 더 좋겠다 하는 아쉬움이 남으면서 다음편에는 우리나라의 사람을 등장시켜서 이 시리즈를 제작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우주에서 살아남기 1 서바이벌 만화 과학상식 18
코믹컴 지음, 네모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에는 우주에서 생존하는 비법 전수?]

 


 
살아남기 시리즈는 만화라는 점을 제외하고라고

아이들에게 학교에서는 배울 수 없는 재미난 상식을 들려준다는 점에서 인기있는 시리즈이다.

공부를 잘 하면 사막에서도 곤충세계에서도 공룡세계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을까?

대답은 당연히 no이다.

학교 공부만 잘 하는 것보다 두루 상식이 많은 아이들이

커서도 현명하게 세상에 대처하면서 살아간다는 것은 불보듯 당연한 사실인데

우린 가끔 이런 상식보다도 학교 성적에 너무 좌지우지 될 때가 많다.

그러니 어른들도 때로는 아이들 눈높이에 맞추어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책을 성의껏 읽고

아이들이 좋아하는 마음을 배우고 느껴야 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만화책 한 권이지만 오랜만에 만난 [우주에서 살아남기]시리즈 책은

읽으면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요소들과 아이들이 배우게 될 상식적인 부분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보았다.

 어른의 잣대를 빼고 말이다.

역시 가볍게 읽히면서도 재미있고 쏙쏙 흡수되는 상식이

아이들 구미에 딱 맞다.

만화책만 보는 것은 그렇지만

가끔은 생활 속에서도 들려주기 어려운 이런 상식들을 쉽게 접하는 이런 책이 있어서 다행이다 싶기도 하다.
 


우리 나라 최초의 우주 비행사로 선발된 사람들의 일로 아이들이 우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우주 비행사가 받게 되는 훈련에 대해서도 궁금증이 많았는데

그런 부분의 흥미 충족이 되는 사항이 많아서 좋았다.

1편에서 우주 비행사 훈련을 받는 과정을 많이 배웠으니

다음 2권의 내용은 어떤 것일까 벌써부터 기대된다.

아마도 우주에서 생기는 다양한 비상사태에 대한 훈련은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동물들도 집이 있대요
르네 라히르 지음, 김희정 옮김 / 사계절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동물의 다양한 집을 한눈에 살펴요]

 

여름 방학이 얼마 남지 않았다. 여름 방학이 되면 아이들과 들로 산으로 체험학습을 많이 다니게 되는데 이 시기에 아이들은 여유롭게 자연을 만끽할 기회를 갖는 것 같다.

방학에 앞서 자연과 연관된 책을 다양하게 보여주는데 이번 책은 동물의 주거문화에 대해서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책이 나와서 기대가 되었다. 사람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집은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곳이다. 편하게 쉬면서 생활할 수 있는 곳 ,비바람을 막아주는 곳..

그것은 동물들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자신이 생활하는 곳에서 가장 적의 눈에 뜨이지 않는 곳, 새끼를 보호하고 쉴 수 있는 곳, 바로 그곳을 집으로 선택하게 된다. 책에서는 포유류의 집이나 새들의 집, 곤충들의 집 등을 다양하게 그림으로 소개해 주고 있다. 특히 곤충의 집소개, 땅 속 개미들의 집 구조, 벌집의 구조, 동물 가운데 최고의 건축가로 꼽히는 비버의 집 구조를 소개하는 장면은 보고보고 또 보면서 아이들이 즐기는 부분 가운데 하나이다.

책의 중간 접이 페이지에는 숲 속 그림과 함께 동물의 다양한 집을 찾을 수도 있다. 이 부분은 동물의 이름도 익히면서 숲에서 이들의 집이 어느 부분인지 직접적으로 찾아봄으로써 실제 체험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의미가 있다. 자연 속에서 동물의 집을 찾아보고 사는 장소별로 분류를 하거나 집의 종류에 따라서도 분류해 볼 수 있다. 동물 몇가지가 아니라 전체적인 안목을 가지고 동물의 다양한 주거생활에 관심을 갖게 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된다.

올 여름에는 이 책을 읽고 숲 속에서 동물들의 집 탐색을 한 번 떠나보면 어떨까? 주제 탐구로 동물들이 사는 집이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소금 세계사를 바꾸다 고인돌 역사그림책
마크 쿨란스키 글, S.D. 쉰들러 그림, 안효상 옮김 / 웅진주니어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리장성도 소금이 세웠다??-재미난 소금의 역사]

 

얼마전에 인기리에 방송되던 모 프로그램을 보다가 아이가 한 말이 생각난다.

"엄마, 옛날에는 소금 가지고 싸웠어??"

지금이야 슈퍼에 가면 너무도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소금이 예전에는 전쟁의 원인이 될 만큼 귀했다는 사실을 아이들은 모른다. 아무리 설명을 해 주어도 글씨??라는 생각이 더 지배적인 것은 공기가 너무도 흔해서 꼭 필요함에도 그 존재가치를 모르듯 소금도 우리 생활에 너무도 흔해버린게 그 이유일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아이들 눈높이에 맞게 출간된 소금의 역사 이야기가 너무도 반갑게 느껴진다. 인류의 역사 가운데 소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렇게 컸다는 사실은 어른이 나도 아이와 함께 책을 보면서 새롭게 알게 되는 사실이다.

소금은 인류가 섭취하는 유일한 암석이라고 하는데..사실 암석이라는 이 단어도 너무 생소했다. 가장 쉬운 것은 바닷가 염전에서 채취하는 소금인데 이 소금이 암석이라고 표현되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바다 이외에 소금을 채취할 수 있었던 여러가지 방법과 과정들이 책 속에 잘 설명된다. 특히 중국에서는 지배자들이 이 소금의 값을 고가로 책정했고 그런 돈으로 지금의 만리장성도 지을 수 있었다는 사실은 너무도 흥미로웠다. 만리장성을 쌓는데 비용이 모두 소금에서? 책을 읽던 중에 아이와 함께 발견한 가장 재미있는 사실 중의 하나였다.

소금의 발견은 인류의 무역범위를 확장시킨 주요한 원인이기도 했다. 소금을 이용해서 식품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먼 곳까지 무역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것은 세계사 변화에 분명 주요한 부분이다.

소금이 얼마나 중요했는지 그로 인해서 만들어지 지명과 소금으로 인해 생겨난 햄, 피클, 간장 등 다양한 음식 ,그리고 이집트의 미라 역시 소금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거라는 사실까지 아이들에게 소금이 세계사에 끼친 작고 큰 영향들을 맛보게 할 수 있는 기회이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소금의 역사 연대표를 이용해서 인류가 소금을 처음 발견했을 때부터 어떻게 이용되었는가를 살피면서 책의 내용을 정리할 시간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중요했던 소금이 그 빛을 잃게 된 계기가 궁금하지 않은가? 그것은 바로 땅 밑의 소금돔에서 발견된 이것때문이다.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 이것에 대한 이야이까지 책속에서 찾는 기쁨을 맛보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80일간의 세계문화기행 - 아빠와 딸 세계로 가다
이희수 외 지음 / 청아출판사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아빠와 함께 세계 여행을 꿈꾸게 하는 책]

 

아빠~와 아버지의 차이는 분명하다. 그렇지만 마음을 나눈다는 점에서는 별반 차이가 없을 듯하다. 아버지든 아빠든 우리 사회에서는 다정 다감보다는 아직도 권위적인 면일 많거나 혹은 사회생활로 녹초가 된 모습이 쉽게 떠오르는 것은 조금은 서글픈 일이다.

 

80일간의 세계 문화여행? 구지 문화 여행이라고 제목에 넣은 만큼 문화에 대한 경험이 많이 담겼으리라 추측하면서 책을 보았다. 사실 문화에 대한 감동도 있었지만 실은 아버지와 딸이 함께 여행을 하면서 이런 감흥을 함께 남겼다는 점에서 계속 마음이 설레였다.

 

아버지와 딸이 세계 여행을 계획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심상치 않은 부녀이다. 부녀지간이라기 보다는 친구이자 동료같은 느낌이 더 강하게 드는 것은 그동안 이들이 서로에게 약자나 강자가 아닌 존중하는 관계였음을 짐작케 한다.

 

이 사이좋은 두 동료와 함께 80일간의 문화 여행을 함께 하는 시간은 내 즐거웠다.

이 사진은 누가 찍었을까? 이 글은 누가 썼을까? 생각하면서 말이다.

 

여행을 하면 보통 멋진 풍경이나 고풍스러운 성을 찍기에 바쁜데 길가에서 연주하는 사람, 장에서 물건을 파는 사람 등 그 도시에서 볼 수 있는 생활 모습을 투박하게 담아내 주어서 좋았다.

분명 투박한 느낌은 딸이 만들어 내고 지나치지 않는 섬세함은 아빠가 제공했을 것이라고 추측하면서..이 책을 덮는 순간 다음에 책을 읽을 사람을 정했다. 바로 우리 신랑이다.

책을 읽으면서 앞으로 10년 뒤에는 딸아이와 세계 여행을 꿈꾸는 멋진 아빠가 되길 은근히 종용해 보기로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