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국 양치기의 편지 - 대자연이 가르쳐준 것들
제임스 리뱅크스 지음, 이수경 옮김 / 북폴리오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자신이 속한 곳에서 머물기 위한 사람들의 이야기>
자연을 이야기 할 때는 늘 겸손해진다. 사실 어렸을 때는 역동적인 것을 추구했다면 나이가 들면서는 자연의 앞에 순응하면서 인간이 넘보지
못하는 긴 세월이 지닌 것에 감사를 표하게 된다.
표지의 사진만으로도 가슴이 떨렸다. 가보지 못한 미지의 장소이지만 그곳에는 대자연을 벗삼아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영국 레이크 디스트릭트는 국립공원에는 양치기가 있단다. 양치기라고 하면 교과서에서 배우던 양치기 소년이 떠오르는 것은 그만큼 우리
문화에서는 익숙하지 않은 때문이기도 하다. 레이크 디스트릭트는 산과 언덕으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대자연을 자랑하는 곳이란다. 이 곳에 살고 있는
사람이 고작 43000명이지만 외지 방문객은 연간 1600만명에 달하니 살고 있는 사람보다 구경오는 사람들로 더 북쩍이는 장소인 게다.
외지인들이 찾는 이유는 분명 이곳에는 자신이 살고 있는 곳과는 다른 무엇이 있기 때문이다. 피터레빗의 작가로 유명한 포터가 후원한
지역이기도 한 레이크 디스트릭트의 수려한 경관과 이곳에 살고 있는 양치기들의 모습이 외지인들에게는 신선한 볼거리였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삶이 아니라 자연에 순응하면서 살고 있는 그냥 삶 자체인 것이다. 우린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에 걸친 레이크 디스트릭트의 3대에 걸친 양치기 부자의 삶을 엿보게 된다.
레이크 디스트릭트에서 현지인이라고 불리려면 적어도 3대에 걸쳐 살았어야 한단다. 할아버지와 아버지, 그리고 아들. 이들에게 디스트릭트는
단순히 양떼를 몰기만 하는 곳도 아니다. 양떼를 몰고, 건초더미를 정리하고 양털을 깍는 이런 일상에서 이들이 얻고 배우는 것은 훨씬 많다. 내가
중심이 아니라 땅과 양이 중심이 되고 그리고 무엇보다 맘대로 되지 않는 자연을 배우면서 상황에 맞게 살아가는 방법을 배운단다. 한마디로 자연에
순응하면서 사는 삶이 아닐까?
소년에게는 큰 산과도 같았던 할아버지의 죽은 이후, 아버지와 함께 양을 키우면서 갈등을 빚기도 하던 저자 제임스는 세상밖과의 소통을
위해서 옥스포드 대학에 진학하기도 하지만 결국 지금 그는 옥스포드 출신의 양치기의 삶을 택했다. 양을 치는 일만으로 살아가기는 힘들기에 다른
일도 겸하지만 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세상을 향해서 레이크 디스트릭트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전하는 것이었나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오는게 필요하기도 하지만 이곳을 찾는 이들에게 흙과 하나되어 삶아가는 사람들의 진솔한 삶을 전하고 싶었던
것이다. 단순한 경치 구경 외에 이곳에 더 많은 사람들의 역사가 녹아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대자연의 경관만 보이던 사람들의 눈에 양떼를 몰고
있는 목동의 동작 하나하나에 얼마나 많은 인생의 의미가 녹아있는지 알게 되지 않을까?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서 생전 경험하지 못한 양치기의 일상을 경험하기도 하고 과거의 것을 고집하는 아버지의 세대와의 갈등, 그 속에서 또
다른 방법을 모색해가는 신구의 갈등도 간접경험했다. 그러나 사실 내내 머릿속에 맴도는 것은 레이크 디스트릭트 그곳에서 생업을 하면서 살아가고
싶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의 갈등이었다.
언젠가 북촌 한옥을 탐방하면서 그 아름다운 한옥에 취했서 호들갑을 떨었는지 그렇게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 되어 버리니 이제는 현지인들은
그곳에 살고 싶어도 집값이 높아 살지 못하고 오히려 외지인들이 별장처럼 사용한다는 말을 들었다. 그리고 언제나 호들갑스럽게 찾아오는 관광객만
늘어가는 현실도. 레이크 디스트릭트의 일부지역은 60퍼센트 이상이 외지인의 소유라고 한다. 그러니 이곳의 상황도 어떤지 짐작이 가지
않는가?
대자연의 가르침을 전해준 영국 양치기의 편지에서 한편으로는 자연의 순리대로 살면서 자연 앞에서 겸손함을 배운 그들이 삶도 전하면서
한편으로는 자신이 속한 곳에 머물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의 삶도 전하고자 함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600년 동안 변함없이 레이크 디스트릭트
목장을 운영한 저자의 가문 외에도 이곳을 오랜동안 지키고 있는 사람들이 사라지지 않고 더 오래 살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