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아름다운 이웃 - 박완서 짧은 소설
박완서 지음 / 작가정신 / 2019년 1월
평점 :
『나의 아름다운 이웃』에 실린 소설들은 1970년대에 쓰였다. 1981년에 『이민 가는 맷돌』로 책이 나왔고 절판되었다가 『나의 아름다운 이웃』이라는 다정한 이름으로 다시 출간되었다. 그 사이 소설가 박완서는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남긴 글은 여전히 빛을 발하고 있다. 책은 새 옷을 입고 두툼한 책으로 독자들 곁으로 찾아왔다. 새삼 나의 곁을 떠난 이를 추억하는 힘은 그가 남긴 글을 읽는 것으로 대신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한 시절을 같이 살았으나 내 곁에 없는 이를 그리움 대신 애틋함으로 보듬을 수 있는 힘은 그가 남긴 문장을 읽고 또 읽어 보는 것으로. 문학하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가장 큰 이유는 이 세상에 없는 나를 누군가는 문장으로 기억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 때문이 아닐는지.
나이 마흔이 되어 처음 소설을 쓰기 시작한 소설가 박완서의 삶을 한 번 더 추억해 본다. 아이들을 키우고 시어머니를 봉양하며 하루를 끝낸 선생은 늦은 저녁이 되어서야 오롯이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저녁 불빛 아래 한 글자 한 글자를 써 내려갔을 시간을 상상한다. 어머니가 간절히 바랐던 신여성의 꿈을 이루기 위해 공부해 서울대에 들어간 그해 6·25 전쟁이 터졌다. 학교에 가지 못하고 기울어진 집안을 일으키기 위해 미군 부대에 있는 PX에 취직했다. 그곳에서 초상화를 그리던 화가 박수근을 만났다. 생활에서 오는 피로감과 예술에 대한 열정 사이에서 갈등했을 그 사람을 잊지 않고 소설로 써 내려갔다. '여성동아' 장편 공모에 당선이 된 『나목』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선생의 딸 호원숙 작가가 쓴 서문에서는 소설가 어머니의 일상이 담겨 있다. 알라딘 난로의 불이 아깝다고 그 위에 카스텔라를 구워 주시던 저녁에 쓰인 『나의 아름다운 이웃』에 실린 소설들. 짧은 소설은 화장품 사보에 실려 적지 않은 원고료를 소설가의 손에 쥐여주었다. 그 돈을 아끼지 않고 가족에게 쓴 어머니를 기억하는 딸의 글을 읽는다. 선생이 직접 밝히는 『나의 아름다운 이웃』을 쓰게 된 계기와 더 이상 짧은 소설을 쓰지 않게 된 저간의 사정이 연이어 이어진다. 딸과 어머니의 글에서 가족이 누리던 따스함을 상상한다.
『나의 아름다운 이웃』에 실린 짧은 소설은 가족, 결혼, 이웃, 집이라는 단어로 묶이지만 그 안에 담긴 이야기는 놀랍도록 빛난다. 소설을 읽는 쾌감을 선사하고 70년대의 풍경이지만 지금의 시간과도 연결이 되어 공감과 탄성을 자아낸다. 한 편 한 편 모든 이야기가 그곳과 여기를 연결하고 있다.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사람들은 같은 불안을 가지고 현재를 살아간다. 결혼 생활의 고단함, 집을 구하는 어려움, 각박해진 현실을 그리는 작가의 애틋한 마음을 읽어가는 시간. 선생은 떠났지만 세계를 바라보는 물기 어린 시선이 담긴 소설을 읽으며 엘리베이터에서 만난 이름 모를 이웃에게 인사를 해 보는 것이다.
"아범아, 그리고 어멈도 듣거라. 여기처럼 좋은 학군은 다시없을 게다. 전번 학교도, 그 전번 학교도 너희들은 부잣집 아이만 반장 시킨다고 얼마나 불평이 많았니? 그게 너희들의 오해든 아니든 듣기 싫었었는데 이 학교는 얼마나 좋으냐? 조오기 들판에 무허가 오두막에 사는 아이가, 글쎄 길수 반 반장이라지 뭐냐? 길수는 그 아이를 깊이 좋아하고 있단다. 나도 그 아이가 좋다. 길수를 그 아이와 오래 사귀게 하고 싶고 그 좋은 학교에서 졸업시키고 싶다. 난 이사에 반대다."
할머니가 그때처럼 권위 있어 보인 적도 없습니다. 아빠, 엄마가 감히 반대할 엄두도 못 낼 만큼 권위 있어 보이는 할머니가 내 편이라는 건 너무도 든든한 일이었습니다.
(박완서, 『나의 아름다운 이웃』, 「할머니는 우리 편」中에서)
알라딘 난로 곁에서 쓰인 소설은 시대를 건너와 우리의 마음을 따뜻하게 만들어 준다. 화장품을 사고 받았을 책자에서 만난 소설들은 누군가에게는 위로로 용기로 다가왔을 것이다. 우리 이웃의 기쁨과 슬픔이 담겨 있는 소설을 읽으며 다음 호를 기다렸을 그이들의 얼굴은 작은 환호로 더욱 빛났을 것이다. 문학이 우리에게 주는 기쁨과 문학이 가진 힘의 위대함을 겨울의 시간이 흐르고 해가 지는 풍경을 건너다보며 느낀다. 한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단순한 기쁨은 박완서라는 작가가 남긴 문학을 읽을 수 있는 특별함으로 바뀐다. 탄생을 축복하고 소멸을 추억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는 문학으로만 가능하다. 이웃의 안부와 건강을 염려하는 선생의 소설 속 인물이 있어 겨울 하늘에 노을이 붉게 물드는 모습을 바라볼 수 있었다.
선생님, 그해 봄과 겨울의 시간을 잊지 않고 있습니다. 삶이 주는 아득함 때문에 더 이상 글을 읽을 수 없다고 생각이 들 때면 그때를 떠올립니다. 정직한 시간 앞에서 망각보다는 그리움의 힘으로 선생님이 남기신 글을 읽어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