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도 세상도 아는 만큼 보인다 - 철학자가 들려주는 서양 미술 이야기
이하준 지음 / 이숲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명화를 보면서 그 당시의 화가들의 삶에 대해 생각은 못하고 그 그림의 당시의 배경과 화가의 의도만 생각하고 감상을 하곤 하는 것 같습니다. 화가들의 기고한 삶들 속에서 그들이 느꼈던 그 당시의 감정들과 느낌들이 이 그림들 속에 담겨있다고 생각하니 어떻게 그들의 삶들을 살아 왔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 화가들 하나하나들의 삶들을 찾기 위해서는 그 분들의 위인전들이나 책 한권한권을 읽어야하는 어려움이 있는데 이러한 불편함 없이 책 한권 만으로도 한 눈에 알 수 있다니 너무나 행복한 것 같습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그분들의 삶을 비추어서 그림도 해석해보고 나름 공감도 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이 도서 <그림도 세상도 아는 만큼 보인다>를 통해서 세상을 볼 수 있는 힘을 키워보고 싶어 읽기 시작했습니다.

"나치주의자들은 농부를 단순히 농부가 아니라 위대한 아리안족의 원조라고 강조했다는 점과 한때 그의 친구였던 카를 야스퍼스가 나치의 등장으로 고생하던 시절에 나치에 봉사했던 하이데거가 고흐의 낡은 구두를 농부의 구두로 규정하며 존재의 진리를 읽어내려 했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고흐의 삶은 원래 괴팍하거나 유별나지 않았지만 어느 한 순간에 의해 그의 생각들이 많이 달라졌음을 이 도서의 저자는 설명해 주고 있었습니다. 성품을 누그러뜨리기위한 방법으로 화가의 길을 선택했지만 그의 성격때문에 쉽지않음을 그의 인생을 통해 배우게 되었고, 아를르에 와서는 조울증에 걸리게 되어 어느 하루는 고흐가 고갱 앞에서 귀를 잘랐다는 추측스런 이야기들이 나오던 시점이긴합니다. 이러한 그의 슬프고 기고한 성격탓에 좀처럼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지 못하는 그였기에 이러한 명작이 탆생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래서 천재는 괴팍하다는 말이 나오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작가는 이러한 사랑만 하는 경제적인 관점에 더해졌을 때 잔느와 모딜리아니의 사랑에 관해 준비된자가 아니더라도 어느 누구에게나 온다는 것을 잔인하게 설명할 때 사랑보다는 현실이라는 요즘 우리의 단면인 풍토를 빚대어 설명해주고 있었습니다. 또한 자신의 과거를 희안하게 만들지 말고 현실에 충실해서 떳떳하게 자신에게 돌아올 수 있도록 항상 준비해야 한다는 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이 도서를 읽으면서 정말로 전기를 읽더라도 화가에 대한 삶은 잘 들려주지 않는데 이렇게 기고한 삶을 살았던 한명한명의 화가들의 삶을 들어보니 그림과 그들의 삶이 연관이 하나 부터 열까지 얽혀있었고, 그림들 하나를 볼 때 그들의 당시의 상황을 잘 알고 감상을 한다면 한층 더 성숙한 감상을 할 수 있을 꺼란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지금까지 몰랐던 많은 부분에 있어서 널란부분들도 많았고, 역시 그들의 삶은 그림들 하나하나에 혼을 다해서 그렸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많은 화가들의 삶을 비추어서 그림도 해석해보고 나름 공감도 할 수 있는 좋은기회를 가졌던 것 같아서 즐거운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