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탐험가
다카노 히데유키 지음, 박승희 옮김 / 부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혹시 의학 서적이 아닐까하는 착각이 들 정도로 요통 환자들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이다. 예전에 허리를 다친 후 찾아온 요통 때문에 늘 힘들어하고 있기에 이 글을 읽으며 그 아픔을 겪지 못한 사람은 알지 못한다는 생각이 든다. 유머로 들려주는 이야기이지만 요통 환자인 나는 쉽게 웃을 수 없는 이야기.

 

요통으로 괴로워하는 사람은 사랑으로 괴로워하는 사람과 비슷하게 고독하다. 그리고 사랑으로 번민하다 인간이 변하는 것처럼, 요통이 생겨도 인간이 변한다. 눈앞의 세계도 급격하게 변한다. - 책 11쪽

 

'아무도 가지 않는 곳에 가서, 아무도 하지 않는 일을 하고, 아무도 쓰지 않는 책을 쓴다'는 모토를 가진 탐험가 다카노. 그가 요통이라는 병을 가지게 되었으니 그의 모토는 계속 이어질 수 있을까? 한시라도 몸을 움직이지 않으면 안되는 그가 허리 때문에 제대로 할수 있는 것이 없게 되었으니. 누구나 그런 상황이라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일 것이다.

 

물론 요통이라는 것이 죽을 병은 아니다. 하지만 죽을만큼 아픈 병은 맞다. 몸을 움직일 수 없을 정도의 고통으로 실제로 허리가 아프면 움직이지 못하니 ㅠㅠ 무리를 하면 영락없이 허리가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모든 일을 멈추고 허리가 진정될때까지 기다리는수 밖에 없다. 물리치료도 그때뿐이니..이 녀석이 좀 참아주기만을 기다릴뿐. 

 

다카노는 요통을 고치기 위해 좋다는 곳은 다 다녀보지만 가는 곳마다 원인도 다르고 치료법도 다르다. 우리는 그 과정을 보면서 웃지 않을 수 없다. 이제 보니 나도 그런 일들을 겪었지만 내가 그 중심에 있을 때는 그 상황들을 맹신하며 시키는 대로 할뿐. 하지만 책을 보며 그 상황에서 한발자국 떨어져서 보니 내가 참 바보스럽다. 하지만 그 바보스러움을 알면서도 어쩔수 없는듯. 

 

요통은 사랑. 나를 붙잡고 좀처럼 떨어질 줄을 모른다. - 본문 316쪽 

이 녀석 나를 많이 사랑하나보다. 나에게서도 떨어질줄 모르니. 이 글을 쓰면서도 아픈 허리를 부여잡고 있다. 하지만, 웃음이 나온다. 이제 그 사랑을 받아들여야 하나보다. 부정하려하면 더 다가오니. 그래, 사랑한다. 나의 요통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달 1 - 세 명의 소녀 고양이달 1
박영주 지음, 김다혜 그림 / 아띠봄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꿈속을 걷는건 아닐까? 책을 읽으며 환상의 세계를 여행하는 느낌이다. 책을 읽는 내내 어린왕자가  떠올랐다. 노아의 모습에서 어린 왕자가 보이기도 한다. 바라별에서 온 신비한 소년 노아. 그  순수한 소년의 이야기가 궁금하여 책에서 쉽게 손을 놓지 못한다.

 

책을 보는데 아이가 힐끔힐끔 쳐다본다. 아이는 글자 크기가 작고 두꺼운 책이라며 읽을 생각은 하지 못하지만 책 속의 그림에는 관심이 많다. 노아가 귀엽다고 말하는 아이. 아이의 눈에는 귀여운 친구로 보이나보다. 아이가 관심을 보일만큼 책 속의 인물이나 배경은 이야기 못지않게 우리를 꿈꾸게 한다.

 

노아가 만난 고양이 아리. 몸은 하나이지만 머리가 셋인 고양이. 일반적으로 이런 몸을 가졌다고 하면 괴물이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아리는 너무 사랑스러운 존재이다. 검정 눈은 모나, 파랑 눈은 마레, 노랑 눈은 루나라는 이름을 가진 아리. 이런 몸을 가진 친구를 사랑스럽게 그려 나가고 노아와의 관계를 생각하면 참으로 신비스럽기까지 하다.

 

처음에는 이야기를 따라가지 못해 혼자서 헤매고 있었다. 미처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아서일까? 아니면 나에게 순수함이 없어서일까? 노아를 따라 떠나지 못하고 혼자서 생각만 많았으니. 우리의 상식을 깨는 아리뿐만 아니라 치매에 걸린 앵무새, 빅과 스몰, 엄지족 등의 인물을 보면서 우리의 상식을 깨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작가가 만들어낸 인물들을 보면서 이런 인물들이 있을까? 라는 의문을 가지기도 하고 이런 상상을 한다는 것이 부러울 뿐이다.

 

누군가 그랬어. 사랑이란 거 동전의 양면 같은거라고. 상대에 대한 연민이 앞면이라면, 뒷면에는 날 위한 마음이 자리잡고 있는 거래. - 본문 241쪽

 

노아를 통해 사랑의 눈을 뜨는 아리. 마레, 모나, 루나. 처음 사랑하는 모습을 보니 설레이기도 하고 아직은 감정에 서툴러 오히려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도 한다. 사랑과 우정 속에서 아직은 서로의 감정에 서툴기만 한 이들이 2권에서는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궁금하다. 몽환적인 책을 읽으며 꿈 속에서 노아가 찾아오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책속 인물이라는 것을 알지만 언젠가 우리도 노아를 만날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아직 끝나지 않은 노아의 이야기, 다음 이야기도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00 해법수학 기본 5-2 - 2012 1000 해법수학 기본
최용준.해법수학연구회 지음 / 천재교육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방학은 짧아지고 해야할 일은 많아졌습니다. 기간이 짧아져서인지 마음만 급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이 해야할 일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수학이 아닐까 합니다. 아무래도 학원을 다니지 않는 아이가 방학동안 선행은 아닐지라도 다음 학기 내용을 한번은 보고 가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30일 단기완성. 방학이 그리 길지 않기에 30일동안 아이가 할 수 있다고 하니 마음이 놓입니다.

 

 

표지를 보니 우리아이에게 1000 해법 수학이 필요한 이유를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아이는 짧은 방학기간 동안 단기간에 다음 학기를 준비하려 합니다.

 

 

다른 친구들은 모르겠지만 우리 아이처럼 공부를 시작하기전 계획을 세운다고 시간을 많이 허비하는 친구들. 그런 친구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것 같네요. 계획을 세우느라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30일 단기완성 스케줄표에 나와 있는대로 진도에 맞추어 공부를 하면 됩니다.

 

 

아이들이 학습을 하고 난 후에는 스스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고학년이 되다보니 이제는 스스로 하려는 마음이 조금씩 생기니 채점을 하고 어떤 문제들이 틀렸는지 확인을 합니다. 다른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평가를 하니 부족한 점을 알아가고 해결해가려 합니다.

 

 

각 단원이 들어가기 전 만화를 보며 어떤 내용인지 개념확인을 합니다. 만화라고 해서 재미만준다고 생각하면 오산. 그 재미속에 아이들이 알아야할 개념이 있으니 놓치지 말아야할 것입니다.

 

 

아이가 공부를 하다보면 지난 것들을 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면서 배웠던 것 되살리기를 보면서 배운 내용을 다시한번 확인하며 다음 학기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예습을 하면서 복습도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짧은 방학이라 그리 걱정하지도 않아도 될것 같네요. 다음 학기를 부담감 없이 아이들이 스스로 준비하고 문제를 해결하면서 자신감을 키울수 있답니다. 배우지 않은 내용이지만 확실한 개념 정리를 보며 그리 어려워하지 않으며 공부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커졌다! 사계절 그림책
서현 글.그림 / 사계절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현작가의 <눈물바다>를 인상깊게 보았기에 이번 작품도 기대가 컸습니다. 아이와 그 책을 읽으며 아이의 마음을 좀더 이해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책을 보며 작가의 상상력이 부러웠고 그 상상력 속 이야기를 보며 웃을수만은 없었습니다. 아이보다는 우리들이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책이였는데 이번에는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궁금하네요.

 

늘 그렇듯 작가의 그림은 우리에게 친근하게 다가옵니다. 제목을 보니 왠지 우리 아이의 마음을 담고 있는듯 합니다. 이 친구의 익살스러운 표정을 보니 우리도 절로 웃음을 짓게 됩니다.

 

 

나는 작아요. 이 친구 표정이 슬퍼보입니다. 우리 둘째도 유난히 작은 키 때문에 걱정입니다. 아이가 키가 작다고 속상해 할때마다 늘 미안한 마음입니다. 엄마, 아빠 키가 그리 크지 않으니 아이의 키가 작은 것이 우리 때문인것 같아 마음이 무겁습니다. 별거 아닐거라 우리는 생각하지만 아이는 키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생각보다 클수도 있을겁니다.

 

 

키가 크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하는 아이. 우리 아이의 모습과 많이 닮았습니다. 일찍 자고 많이 먹고 집안에서 물구나무 서기를 하지만 눈에 띄게 키가 자리지 않네요 ㅠㅠ

 

 

 
키가 크고 싶은 아이의 마음이 잘 담겨 있습니다. 키가 크기 위한 아이의 상상력. 나무처럼 뿌리 내리고 자란 아이가 경험한 세계를 보면서 참으로 귀엽기만 합니다. 누구나 한번쯤 손을 뻗으면 하늘에 닿을것 같다는 생각을 하는데. 그 생각을 글과 그림으로 만나니 새로운 느낌입니다. 키가 크면 하고 싶은 일이 많은 아이. 누구도 경험해보지 못할 일들이 벌어지니. 이 친구와 함께 그 경험을 하며 아이도 자신의 키가 부쩍 자란것 같다고 합니다. 누구도 알지 못한 세계를 다녀왔으니 키가 작다고 슬퍼하지만은 않을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의인성 숲 속 이야기 - 천재성과 상상력을 키워 주는
김동훈 지음 / 한언출판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는 생각의 유연성을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인지 어떠한 문제가 주어지면 주어진 틀 안에서만 생각을 하니 발전을 하지 못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의 뇌는 스폰지와 같다고 하니 책을 보며 다양하게 생각을 하며 창의성을 키워갈 수 있습니다.

 

'생각하지 않고 살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 본문 11쪽

프랑스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폴 발레리가 한 말이라고 합니다. 가끔은 생각없이 사는 저를 보게 됩니다. 우리들은 사는게 바쁘다는 핑계 아닌 핑계를 하게 됩니다. 또한 아이들도 학원을 다니며 바쁜 시간들을 보내니 자신만의 생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말을 듣는 순간 생각없이 사는 모습을 반성하게 됩니다.

 

창의성이 중요하다고 하니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아이들이 접근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학원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그런 기술적인 측면보다는 평소 생각을 넓혀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책 속에는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이 이야기들을 보며 재미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통해 스스로 생각을 하게 됩니다. 짧은 이야기이지만 그 안에는 많은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같은 이야기이지만 어떤 생각을 하느냐에 따라 그 의미는 다를거라 생각합니다.

 

똑같은 사물도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느껴집니다. (중략) 이처럼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낙관적으로 해석할 때 삶은 생기를 얻습니다. - 본문 81쪽

자주 나오는 이야기이지만 컵에 물이 반이 남았을때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삶도 다를거라 생각합니다. 반밖에 남지 않았다는 생각을 하는 순간 모든 일에 짜증이 나고 의욕도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반이나 남았네라는 생각을 하면 그 긍정의 힘으로 남은 시간들도 행복하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듯 생각 하나로 우리의 삶은 달라질 것입니다.

 

아이들은 책 속의 재미있는 이야기를 읽으며 그 의미를 생각해보고 자신만의 생각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기도 합니다. 또한 제시된 Quiz를 보며 좀더 깊이 있게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아이와 함께 읽으며 조금은 고착화된 생각으로 아이들보다는 다양성 있는 해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네요^^ 아이와 함께 읽으며 저도 창의성을 키워보려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