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진과 유진 ㅣ 푸른도서관 9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0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속의 큰 유진, 작은 유진이와 같은 또래 아이를 둔 아이의 엄마. 그래서인지 읽는 내내 그 아이들이 내 아이 같다는 생각에 마음이 아파온다. 있어서도 안되고 있을 수 없는 이야기. 난 이제서야 이 책을 읽었지만 이금이 작가의 왕팬이라고 늘 말하는 아이는 예전에 이 책을 읽었다. 사실 아이가 이 책을 읽고 책에 대해 이야기할때 내가 미처 읽지 않았기에 아이가 말하는걸 건성으로 들었었다. 그때 건성으로 들었던 내 자신이 왜이리도 화가 나는지...
한참이 지나서야 이 책을 읽고 아이의 마음을 진심으로 들여다보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친구들보다 늦게 생리를 시작한 아이. 큰 유진이의 엄마처럼 나도 아빠에게 속옷과 생리대를 사오게 하고 케이크와 음식을 준비하여 파티(?)를 하였다. 심지어 할머니, 이모까지 모두 모여서..우리는 축하해준다 모였는데 뚱한 아이의 표정을 그때는 미처 읽지 못했으니...그런 행동도 어쩜 아이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내 입장에서 아이를 위하는 것이라 생각하며 했던건 아닐까?
성폭력.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하고 있다. 뉴스의 사건사고에서도 너무 자주 나오는 이야기들이다.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다. 두 딸을 가진 엄마이기에 더 화가 나고 울분까지 느끼는 사건이기도 하다. 도대체 왜? 그들은 나이도 어린 아이들에게 그런 반인륜적인 행동을 할 수 있을까?
얼마전 떠들썩했던 나영이 사건. 그 어린 아이는 마음뿐만 아니라 몸까지 장애를 가지게 되었다, 한 사람의 옳지 않은 행동으로 너무도 어린 아이와 그들의 가족까지 평생 피눈물을 흘리며 살게 한 그 사람을 용서할 수 있을까?
유치원 때 받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큰 유진과 작은 유진. 그들은 다른이들에게 받은 상처이지만 스스로가 낸 상처마냥 죄인이라는 생각까지 하게 만든 우리 어른들. 우린 어쩜 가면을 쓰고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시회적 지위가 있는 건우의 엄마의 이중성있는 모습을 보면서 손가락질할 자격이 나에게 있을까하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게 된다.
비로서 날개를 완성한 이카로스가 몸을 추스르는 것이 보였다. 상처를 모아 지은 날개임을 알고 있는 나는 온 마음으로 그가 날아오르기를 기도했다. - 본문 中 277쪽
두 유진이가 이제는 더 이상 그 상처로 인해 또다른 상처를 갖지 않았음 한다. 용기있게 스스로 그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두 아이를 보며 더이상 우린 부끄러운 어른이 되지 않기를 바랄뿐이다.
이 책은 어른들이 읽어봐도 좋은 책인것 같다. 아이들에게 그런 일이 있어도 죄책감을 갖지 말고 슬퍼하지 말고 자신감을 가져야한다.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다그치는 것이 아니라 격려해주고 위로를 해주어야한다. - 아이가 읽고 쓴 독서록에서 일부분을 살짝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