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사 탐험대 6 - 테마로 보는 우리 역사_ 음식
서현정 지음 / 웅진주니어 / 2006년 5월
평점 :
이제 우리의 음식도 세계 속에 자리 잡아가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기내식으로 비빔밥이 등장하고 세계 유명인들이 불고기, 비빔밥 등 우리 나라 음식의 맛에 빠져들기 시작했으니..매일 음식을 먹고 있는 우리들. 아이들은 그 음식에도 역사가 숨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까?
한국사 탐험대 6권의 주제는 음식이다. 아이와 함께 우리도 탐험대를 따라 역사 속으로 모험을 떠난다. 우리 나라는 쌀이 주식이다. 그렇다면 벼농사는 언제 부터 시작했을까? 우리 나라가 벼농사를 시작한건 신석기 시대부터이지만 쌀이 주식이 된건 삼국시대부터이다. 하지만 이때도 풍부하게 재배되지 않아 소수 귀족들만 먹었다고 한다.
우리가 밥을 먹을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김치이다. 고구려를 비롯한 삼국에는 김치의 조상뻘이 되는 여러 가지 채소 절임음식이 있었다. 고사리, 죽순, 순무, 마늘 등을 소금, 식초 , 장에 절인 것이였다. 고려 시대에 미나리, 부추 등의 야채를 이용한 국물이 있는 김치가 등장한다. 물에 담긴 나물이라는 뜻으로 김치를 ’침채(沈菜)’ 라고 부른다, 배추가 들어오고 고춧가루를 넣어 버무린 김치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조선 후기의 일이다. 그러나 그때부터 고춧가루가 들어간 김치를 즐겨 먹은 것은 아니고 지금처럼 빨갛고 매운 배추 김치는 6.25전쟁 이후의 일이라고 한다.
아이가 가끔 햄버거나 피자 등을 먹기는 하지만 그래도 할머니가 끓여주신 된장 찌개에 밥을 쓱쓱 비벼 먹을때가 제일 좋다고 한다. 요즘 어린이들은 점점 인스턴트 음식에 길들여지고 있다고 한다. 김치가 없으면 밥을 먹지 못하는 우리 아이가 이해하지 못하겠지만,,,심지어 김치를 먹지 않는다는 친구들도 있다.
책 속에는 우리의 전통 음식들이 많이 나온다. 물론 아이들이 먹어본것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것도 있을 것이다. 우리의 것을 잃는것처럼 슬픈 일은 없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음식에 대해 조금 더 관심을 갖고 지켜야나간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