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해결을 낳고 해결은 문제를 낳는다

"무어의 법칙에서 말하는 집적회로의 성능 향상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그 속도가 둔화될 것이다. 다만 인간의 욕망은 영원하기 때문에 컴퓨터의 능력을 높이는 또 다른 기술이 이를 대체하게 될 것이고 폭발적인 진화는 계속 이어질 것이다."
-레이 커즈와일 《지능 기계의 시대> 중에서

"예측의 세부 내용을 진지하게 다루는 미래학자는 없다. 어떤 방향으로,
얼마나 빠르게 변화할지를 더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앨빈 토플러의 <미래쇼크> 중에서

"사이퍼펑크란 감시와 검열에 맞서 우리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방안으로 강력한 암호 기술을 활용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줄리언 어산지. <사이퍼펑크> 중에서

"비트코인은 화폐가 아니라 금을 대체하는 투기 자산에 가깝다. 가치저장수단이 될 수 없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2021년 국제결제은행 ‘서밋‘ 발언 중에서

"AI 기술이 바르지 못한 방향으로 사용되면 매우 잘못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싶습니다."
-샘 올트먼, 미 의회 연설 중에서

"우리는 이제 아무 생각 없이 단어를 생성할 수 있는 기계를 갖게 되었다. 하지만 그 뒤에서 기계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우리의상상을 멈추는 방법을 배우지는 못했다."
-에밀리 벤더, 워싱턴대학 언어학 교수

"AI 기술이 인류의 번영에 이롭게 쓰이려면, 사회·경제·정책·기술적인검토 시간이 더 필요하다."
-미국 미래의 삶 연구소

저자는 비트코인, AI, 공간 컴퓨팅 등 최신 기술 트렌드를 깊이 있게 분석하면서 기술이 우리의 인지와 경험, 사회구조를어떻게 변화시킬지 예리하게 포착한다. 특히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인지능력과 경험의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통찰은 매우 흥미롭다. 또한 저자는 기술결정론에 빠지지 않고 인간의 주체성과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기술이 인간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엑스트로피‘ 철학은 기술 발전의 방향을 인간 중심으로 설정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다.
인간은 기술을 만들었다. 그 기술은 다시 인간을 새롭게 만들었다. 인간과 기술의 미래가 궁금하다면 이 책을 통해 미리도착해보기 바란다.
김상균 인지과학자, 경희대 교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줄씩
들어간다
나의 시 속으로


그리고 
계속 계단 

정육점 쇠갈고리에 붙은분홍한 점

나의 순진하고 어린 신이죽은 사람들의 이마에 장미수를 뿌린다흐르는 눈물은 닦지 않은 채고통의 마음에 들고 싶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은 이런 시를 만났다...

자라나는 손톱을 깎아내며
시간에게 기도를 한다

사라진 목소리가
나뭇잎이 색을 바꾸는 것처럼
더 아름다워진다
한 번도 내 것인 적 없던
너의 얼굴이 더 아름다워진다

어둠도 빛이다
변하지 않는 합창


-----박시하, 《가을》中





어느덧 시월 하고도 9일이다.
오늘은 한글날!
세월은 기다려 주지 않는다.
올 여름 유난히 열대야가 많아 더웠는데
어느 새 쌀쌀함을 느끼는 하루 하루이다...

환절기 감기 조심들 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절정이 지나간 백장미는
오래전 옛날을 지나온 얼굴이고

당신은 한 톨의 소금도 집어먹지 않고
싱겁게 웃었습니다

투석을 마치고 돌아와서는
무서운 꽃밭에서 풀어졌습니다

장미가 맹렬히 붉기를 거부할 때
모든 색에서 멀어져다만 흰빛으로만 희미해질 때

속눈썹이 붉은 아이가
검은 입을 크게 벌리며 오고 있습니다
양팔을 벌리며 당신을 데리러 오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대뇌는 1초에 4천억 비트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지만, 우리가 의식하는 부분은 2천 비트에 불과하다. 결국 우리는 선택적으로인식한 정보만으로 주변의 사람, 사물, 사건을 경험한다. 우리가어떤 선택을 하는지는 어려서부터 주입된 다양한 관념, 신념, 규범, 가치관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사람마다 차이가 크다. 우리가 매일 보고 듣는 것들은 사실 자신이 보고 듣기를 원하는 것이고 나머지는 대뇌가 자동으로 걸러낸다.

"세상의 모든 존재는 고유한 에너지 파동을 가지고 있고, 관찰자는 피관찰자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치죠. 그래서 우리는 스스로자신의 세상을 만들 수 있답니다."

작은 불행은 무시하라

신체와 대화하기

걱정은 최악의 선물이다

세상엔 오직 자신뿐

마음이 원하는 대로

먼저 감사하라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고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 방법은
‘나를 만나는 시간 속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