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배워야 산다: 금융시장 편 - 생각하는 금융, 지적인 시장분석
최일.박경화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움에 늦음은 없다. 모르면 손해 보는 세상이라 실물경제
위기 시기에 가볍지만 알찬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해는 시사회 티켓 당첨이 벌써 세번째네요! ^^ 내용은 다 아는 얘기지만 교훈은 외적인 외모보다는
내적인 아름다움이라는 것이겠죠!
누구랑 비교되죠 지금도 자택에서
올림머리 하느라고 매일 미용사 부르는
사람하고 말입니다.
굳이 메르켈 총리나 이정미전 헌법재판관을 비교 하지 않더라도
나이들면 주름 생기는게 자연현상
아닌가요? 외적인데만 신경쓰고
내적인 아름다움에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이 삼성동 자택에서 이제는 제발
모든 것을 밝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세월호 7시간도 말입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yureka01 2017-03-17 10: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에니메이션으로 봣는데..실사영화가 나왔군요,

우민(愚民)ngs01 2017-03-17 10:20   좋아요 0 | URL
네 요즘 헐리우드 뜨는
여배우 엠마 왓슨이 주인공이네요..
전체관람가여서
가족단위로 봐도 괜찮을 듯 싶습니다...^^

겨울호랑이 2017-03-17 12: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ngs01님 축하드려요^^: 즐거운 영화 감상 되세요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수학 2 & 미적분 1 (2017년) - 2018학년도 수능 연계교재 EBS 수능특강 (2017년)
EBS(한국교육방송공사) 편집부 지음 / 한국교육방송공사(중고등) / 201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가 고3이 되니 교과서 말고 Ebs교재로 학교 수업을
한다고 하더군요! 그러려면 교과서를 구입하지 말던가?
그건 아마도 안되겠지요. 학교별로 교과서를 채택하게
되어 있으니! 공교육의 정상화는 공염불인가 봅니다.
입시제도의 문제는 늘 얘기 하지만 아이들을 실험용 쥐로
여기듯 변화만 시도하다 문제가 터지면 땜방식인 교육정책
이 문제입니다. 탁상행정보다 실제 교육 현장에 계신 분들의 의견이 더 반영 되어야 함에도 지금 같은 정시보다 수시를 많이 뽑는 방식의 폐단이 여러 곳에서 터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교육부가 제일 문제
입니다. 사학법 개정과 더불어 비리 사학에 혈세를 주는 바보같은 짓은 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고려대처럼 장학금을 성적우수자 보다는 등록금 낼 돈이 없어 공부할 시간도 없이 아르바이트 두세개 하는 학생에게 주는 이런 방향으로 나아 가야 하겠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3-14 21: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수능쳤던 시절에 언급되던 교육 문제가 지금도 여전하군요. 대학교 교육 수준은 더 심각해졌고요.

우민(愚民)ngs01 2017-03-14 2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첫째아이인 딸아이가 고3이 되고 담임선생님과
상담 후 전 학력고사 세대인데 좋은 대학 가기가
더 힘든 것 같다고 하니 담임선생님도 우스면서 하시는 말씀이 자신도 요즘 같으면 그 대학에 못 갔을 것 같다고 하더군요!
어떻게 점점 힘든 세상을 만들어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yureka01 2017-03-14 22: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ebs 교재 모두 사달라해서 저도 알라딘에서 구입했습니다. 특히 공감되는 글이네요. 대입체재가 너무 복잡하더군요..ㄷㄷㄷ.

우민(愚民)ngs01 2017-03-14 22:04   좋아요 0 | URL
각 학교 고3담임 선생님들 힘드시겠더라구요! 대학 가는 방법의 경우 수가 정말 복잡하더라구요....ㅠㅠ
 

역사에 길이 남을 사이다 판결을 두고
김평우라는 김동리 아들이 신문에 폄하
광고를 냈다. 이런 이들이 기득권층으
로 대한민국의 상류층으로 그동안 누려
오던 혜택이 줄어들 것을 염려하는 바
는 짐작이 되지만, 결과적으로 선동하
는 말로 인해 세명이나 사망했다.
좋은 지식을 갖고 나쁜 쪽으로 쓰면 얼
마나 큰 피해가 오는 지를 생각해야 한다. 제발 지금이라도 상식을 저버리고
사기꾼 같은 말솜씨로 국민들을 현혹
해서는 안된다. 과격해지는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드는 사람들이 걱정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03-11 22: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03-11 23:5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여전히 침묵하고, 청와대에 나가지 않은 박근혜가 나쁩니다. 탄핵 반대하는 친박 세력과 태극기 집회 사람들을 타이르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침묵이 길어질수록 과격 시위가 장기화될 수 있어요.

겨울호랑이 2017-03-12 18: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ngs01님 그간 고생하셨습니다^^: 탄핵 축하드립니다 ㅋ
 
폭력적인 세계 경제 - 우리는 불확실한 미래의 충격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인가?
장에르베 로렌치.미카엘 베레비 지음, 이영래 옮김, 앤서니 기든스 추천 / 미래의창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2017년은 금융경제 위기가 아닌 실물경제의 위기라고
한다. 산업공동화가 만든 위기... 오프쇼링으로 인해 대부분 일자리가 사라진다. 양극화의 문제는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사회복지정책으로
노력하고 있다. 누가 60일 후에 대통령이 되든지 제발 복지사각지대에 놓여 송파 세모녀사건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3-11 21: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우민(愚民)ngs01 2017-03-11 21:44   좋아요 1 | URL
은행들의 행태
도 제재해야 합니다. 수신금
리는 그대로 놔두고 여신금
리는 아무런 말
도 없이 다달이 올리고 각종 수수료도 올립
니다. 문제는 서민들이 피해가 더 크다
는 것입니다.
마이너스 통장
금리도 신용등
급이 좋으면 창
구직원한테 따지면 깎아 주더군요! 올리는 것은 지들 맘대로 내려 주는 것은
따져야 하는 구조. 이것이 문제입니다.
그래서 힘들더
라도 스스로 금융 공부를 해야 하는 시대
가 된 것 같습니
다. 돈이 돈을 버는 시대라서
양극화는 더더
욱 심해 질 것
같습니다.... ㅠㅠ

우민(愚民)ngs01 2017-03-11 21:49   좋아요 1 | URL
참고로 그동안 자동이체 걸어
놓은 것 때문에
주거래은행을 안 바꾸었는데
계좌이동제도가
생겨 혜택 많은 곳으로 옮겼더
니 매월 수수료
가 절약되더라구
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