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토 ㅣ 에디터스 컬렉션 10
장 폴 사르트르 지음, 임호경 옮김 / 문예출판사 / 2020년 12월
평점 :

구토
장 폴 사르트르
임호경 옮김 / 문예출판사
실존주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의 소설 [구토]를 읽었다.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고 책 좀 읽는다 자부하며 아무렇지 않게 작가 이름만 보고 뛰어든 나를 꾸짖고 또 꾸짖었다. 너무 어려웡 ㅠㅠ
사르트르는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고 생각한 사람이다. 인간의 실존에 대해 말하기 위해 이 소설을 썼다고. 쓰면서도 무슨 이야긴지 모르겠는 이 책은 내 인생 최대의 난제지만 그래도 안 읽을 수 없는 서평단의 존재론적 고찰에 입각해 열심히 읽어보기로 했다.
주인공 로캉탱은 역사학자로 여러나라를 여행한 후에 롤르봉 후작에 대한 역사적 연구를 위해 부빌에 정착해 지내고 있었다. 그가 하는 일은 카페에 앉아서 사색하는 일, 카페 주인이랑 자는 일, 도서관에 가서 책을 찾는 일 등 내 생각엔 그다지 생산적이지 않은 일이었다. 아니나 다를까, 바닷가에 돌을 생각하다가 구역질을 한다. 그 때부터 그의 구토욕구는 떠나질 않고, 그에 따라 이 책이 쓰여졌으니 이게 다 돌맹이 때문이다. (부들부들)
로캉탱이 구토욕구를 느끼는 순간은 본인을 포함한 인간의 실존에 의미가 없을 때인 것 같았다. 별 의미 없이 행하는 모든 것들에 어지럼증을 느낀다.
이 책은 로캉탱이 말하고 싶은 대로 말하는 서술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어지간한 애서가라도 속이 미식거린다는 구토유발 심리책이다. 그렇지만 소설이기 때문에 주요인물이 있다. 주인공 로캉탱에게 비중이 큰 두 명의 인물은 독학자와 안니. 독학자는 도서관에서 만난 사람으로 책을 무지하게 읽는 독서광이다. 로캉탱은 그에게 관심이 생겨 이야기도 나누고 밥도 먹는데 알고보니 그가 사회주의자인데다가 휴머니스트라는 것을 알게 된다.
안니는 로캉탱의 옛 연인이다. 우연히 그녀가 로캉탱을 호텔로 부른다. 두 사람은 관계를 이어가는 대신에 자신들의 이론을 펼친다. 그래서 완벽한 순간이 뭐라는건지, 특별한 상황이 어쨌다는 건지. 둘이 같은 이야기를 하는지 다른 이야기를 하는지 헷갈려서 읽는데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다.
로캉탱은 몇 번의 구역질로 인간은 왜 존재하는가, 존재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게 왜 중요한지 등을 밝히려 애를 쓴다. 특히 그는 공원에서 나무뿌리를 보면서 존재의 의미를 인식하게 되고 숨멎의 시간을 획득한다.
내가 신기했던 것은 (내 생각엔 알 수 없는) 구토의 순간들을 잠재우는 방편을 재즈음악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거였다. 사르트르가 음악을 좋아했나?
그리고 몇 번의 구토증세와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서 로캉탱은 이전에 본인이 생각했던 세계가 깨짐을 느낀다. 우선 휴머니스트라고 믿었던 독학자가 어린 고등학생(문학줍줍에서는 중학생이라고 하던데)들을 추행하는 장면을 목격하고 그가 망신 당한 후 얻어맞고 쫓겨나는 모습과 자기를 보호해 줄 거라고 믿었던 안니가 이집트 남자와 떠나는 장면들을 체험하는 것 등은 로캉탱에게는 생각의 전환을 이끄는 경험일 것이다. 그래서 그는 이전 세계와 헤어지는 결단을 하는데 롤르봉 후작에 대한 연구를 중지하는 것과 부빌을 떠나 파리로 가기로 한 것이다. 그리고 이 소설 [구토]를 시작한다.
사고가 깨어지는 것이든 생각이 전환되는 것이든간에 변화가 수반되는 것은 행동의 시작이다. 사르트르는 전후세계에서 지식인으로서 행동하기 위한 준비를 마치고 [구토]를 저술했다. 철학에 무지하여 다 알수는 없겠지만 그의 삶과 시대적 상황과 만나는 사람들을 망라해서 생각했을 때 무지 흥미로운 소설임에는 분명하다. 내게 더 능력이 있으면 좋을텐데!
20세기 프랑스 대표 지성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철학이 [구토]로 부터 출발했다는데 입문서라고 보기엔 너무 어려웠다. 하도 답답해서 유튜브 문학줍줍에서 정리 해 둔 걸 들어보기도 했다. 정리가 잘 돼 있고 무슨 말인지는 알겠는데 내 언어로 옮기기가 어려워서 정리는 여기까지.
궁금하신 분들은 유튜브나 다른 책들을 참고하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