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의 본성과 욕망의 한계는 어디까지이며 인간이 인간을 이해한다는 것은 가능한 것인가...'
이젠 너무나 유명한 한강의 이 작품을 읽고 든 생각이다.
이 작품은 책의 제목인 <채식주의자>,2005년 이상문학상 수상작인 <몽고반점>, <나무 불꽃>세 편으로 구성된 연작소설이다. 3편 각기 다른 시점에서 서술되는데 세 이야기의 중심에는 영혜가 있다. 영혜를 바라보는 세 인물-남편,형부,언니-의 시선을 통해 인간의 상처와 그로인해 분출되는 폭력성, 예술을 향한 끝없는 욕망과 집착, 그것의 적나라한 모습, 이런 인간의 이해할 수 없는 본성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한다.
1부 <채식주의자>, 세상이 자신에게 가한 폭력과 또 자기 안에 존재하는 폭력성에 육식을 거부하고 더 나아가 식물이 되고 싶어 온 몸으로 저항하는 영혜를 보며 카프카<변신>의 갑충으로 변한 그레고르 잠자가 생각이 났다. 어느 날 갑충으로 변한 그레고르와 어느 날 갑자기 육식을 거부하게 된 영혜가 겹쳐지면서 왜 영혜는 육식을 거부하게 되었을까를 계속 생각하게 된다. '왜 잠자는 벌레가 되었을까'를 생각하는 것처럼.
인간으로서 소외된 삶을 살았던 잠자가 벌레가 되었듯이 세상의 폭력과 자신의 내부에 잠재된 폭력에 거부하는 몸짓으로 육식을 거부하는 영혜, 잠자와 영혜의 삶을 향한 몸무림이 처절하지만 결국엔 죽음으로 귀결됨을 보며 인간 실존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한 순간 이 이미지는 그에게로 왔다."
2부 <몽고반점>의 영혜의 형부인 비디오 작가에게 한 순간 갑자기 다가온 그 이미지, 예술가에겐 정말 이런 순간이 있는 것인가. 얼마나 강렬하기에 그것이 아니면 절대 안되는 예술이란 도대체 어떤 것이기에 가족은 물론이고 자기 자신까지 추락하는 것일까! 예술이 불러오는 광기는 그 자체로 인정받아야 하는가, 아니면 한 순간의 허상인가.
예술을 향한 인간의 광적인 욕망과 윤리적 가치가 결여된 예술은 어떻게 봐야 하는지, 예술은 도덕적 평가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지 고지식하고 무식한 내가 예술과 인간에 대해 어쭙잖게 생각하는 시간이었다. 인간의 이성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예술을 향한 광기, 그러나 있을 수 있는 세계이기에 난 영혜의 형부는 그럴 수 밖에 없지 않았겠는가 조심스러운 생각이 들었다.
3부<나무 불꽃>에서는 언니인 인혜의 내면을 들여다 본다. 세상의 중심이 자신이 아닌 타인의 삶을 위해 살아왔던 인혜. 그런 인혜에게 남편과 동생의 불륜-어디까지나 인혜의 입장에서-은 충격 그 자체이다. 동생은 식물이 되겠다하고 남편은 모든 것을 포기하고 예술을 선택했다.
동생과 남편의 보통 사람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욕망과 행위로 인해 인혜는 상처받고 고통스럽다. 그러나 '동생 영혜와 남편은 가해자이고 이타적인 삶을 살아온 인혜는 피해자라는 이분법적인 사고는 과연 맞는가' 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타인을 위해 희생적인 삶을 산 인혜의 삶 또한 다른 각도에서 보면 일종의 삶이 주는 고통으로부터의 도피가 아니었나 싶은 것이다. 혼자 남은 인혜는 그들을 이해해 보려고도 노력하고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보지만 그 과정은 고통스럽고 살아가야 할 삶의 무게도 너무나 버겁다. 그저 이 모든 것이 꿈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만이 그녀를 일으켜 세울 뿐이다.
이 작품을 읽고 난 지금 어떻게 이 작품을 영상으로 만들 생각을 했을까...그 대담함과 무모함이 놀라울 뿐이다. 십여 년 전 영상으로 우연히 보게 된 여배우 몸에 그려진 화투 같은 꽃그림을 보며 예술을 가장한 음란 영화라는 생각을 했었고 그래서 이제야 읽게 되었다.
소문난대로 이 작품은 불쾌하고 역겨우며 끔찍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래서 호불호가 분명한 편이다. 그러나 나는 이 책을 읽길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문학이 좋은 점은 그 안에서 별의별 인간을 다 만나게 된다는데 있고 그러다 보면 이해하지 못할 인간도 없다는 점이다. 인간을 만나기 위해 소설을 읽는 것이 아닐까?
끔찍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이 아름답고 절제있게 느껴지는 건 한강 작가의 능력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