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주사를 처음 갔을때가 19살이었나보다.
대학 1학년때였으니.
절에 대한 정보도 거의 없고
천불천탑. 와불에 대한 간단한 내용만 있었던것 같다.
윗 선배가 나름 조사해와 후배들에게 브리핑했던 기억이 난다.
와불에 대한 전설도 듣고 와불앞의 머슴불에 대한 이야기. 운주사만의 천불이 다른 절과 다른 이유등등..
시절이 그래서 그런 사연을 가진 곳을 일부러 찾아갔었던것 같다.
어째든 그때의 운주사는
아무것도 없이 허허벌판에 절만 달랑..
여기 저기 석상들은 널부러져? 있고
탑들도 어수선하게 서 있었던것 같은데..
와불위에도 올라가고 칠성바위에도 올라가 놀았던것 같다. ㅎㅎ
절 밖으로 나와 옆 길가에서 고기도 구워먹고 버스를 타러 나오는 길이 길어 한참을 걸어나오면서 한 선배가 풀피리 불어주던 일도 기억이 난다 ㅎㅎ
그때의 사진들은 다 어디에 가버렸는지..
그때의 고즈넉하고 작고 아담하고 소박했던 운주사만을 기억하고 있었는데 작년에 가보고 허거덕~ 왜 이리 바뀐거야..
초록잔디가 깔리고 산책길이 만들어지고..석상들은 한데 고이 모셔지고~~ 없던 일주문도 만들어지고.. 어이구야~~
여타의 사찰과 다름없음에 실망했었는데..
생각해보니 몇년전 불이 크게 나서 보수를 할 수밖에 없었던 적도 있었었지.. 어쩔수가 없는 건데..
크게 실망했던것은 사실이었다.
올해 다시 가본 운주사는 작년과는 다른 느낌을 준다.
잘 만들어졌구나. 그래도 주변 환경에 튀지 않으려고 애썼구나 하는 느낌을 받게 한다.
이곳 저곳 다녀보면서 이전의 변해버린 모습을 이야기하면서..
아쉬움과 어쩔수 없음을 생각하게되는 하루다.
<장길산> 제4부 ‘역모’ 끝부분
황석영
세상의 천민들이여 모여라, 천불천탑을 세우자.
그들은 보리밭 밭고랑에 돌을 눕혀 새기기도 하고, 산비탈에서 쪼으기도 하고 암벽 중간에 매댤려서 정과 망치를 두드리기도 하였다. 늙은 노비가 일러서 계곡이 끝나는 곳에 새 절을 세웠으니 운주사(運舟寺)라 하였다. 젊은 노비가 물었다.
할아버지. 절 이름이 어째서 운주사요?
배를 부린다는 뜻이란다. 배가 물에 떠서 움직이게 된다는 뜻이니라.
젊은 노비는 더욱 궁금해졌다. 이 깊은 산골에서 배는 무엇이고 물은 또 무어요. 우리가 이제는 다시 죽지 못해 살던 섬으로 쫓겨 간다는 뜻이우?
늙은 노비는 햇빛에 그을린 주름살 많는 눈을 감을 듯이 가늘게 뜨고 웃으면서 말하였다. 그게 아니란다 얘야. 새로운 우리 세상이 바로 배가 되는 게야. 미륵님 세상의 배가 된다. 배는 물이 없으면 뜰 수가 없지 않느냐?
그럼 물은 또 무엇이우?
물은 우리 같은 천것들이고 만백성이란다. 우리 중생이 물이 되어 고이면 배가 떠서 나아가게 되는 게야. 이제야 배가 되어 움직이는 절의 의미를 알겠느냐.
노비들은 다시 정신없이 돌을 쪼아 미륵상을 세웠다.
<구름바다 위 운주사(運舟寺)〉
황지우
비구름 끼인 날
운주사(運舟寺), 한 채 돛배가
뿌연 연초록 화순(和順)으로 들어오네
가랑이를 쩌억 벌리고 있는 포구(浦口)
천불천탑이 천만 개의 돌등(燈)을 들고 나와 맞는다
해도, 그게 다 마음 덩어리 아니겠어?
마음은 돌 속에다가도 정(情)을 들게 하듯이
구름 돛 활짝 펴고 온 우주를 다 돌아다녀도
정들 곳 다만 사람 마음이어서
닻이 내려오는 이 진창 비구름 잔득 끼인 날
산들은 아주 먼 섬들이었네
<산경(山經)을 덮으면서〉
황지우
1
적설 20cm가 덮은 운주사(雲舟寺),
뱃머리 하늘로 돌려놓고 얼어붙은 목선(木船) 한 척
내, 오늘 너를 깨부수러
오 함마 쇠뭉치 들고 왔다
해제, 해제다
이제 그만 약속을 풀자
내, 정(情)이 많아 세상을 이기지 못하였으나
세상이 이 지경이니
봄이 이 썩은 배를
하늘로 다시 예인해가기 전
네가 지은, 그렇지만 작용하는 허구를 작파하여야겄다
2
가슴을 치면
하늘의 운판(雲板)이 박자를 맞추는
그대 슬픔이 그리 큰가
적설 20cm,
얼음 이불 되어
와불 부부의 더 추운 동침을 덮어 놓았네
쇼크로 까무라친 듯
15도 경사로 누워 있는 부처님들
석안(石眼)에 괸, 한 됫박 녹은 눈물을
사람 손으로 쓸어내었네
3
운주사 다녀오는 저녁
사람 발자국이 녹여놓은, 질척거리는
대인동 사창가로 간다
흔적을 지우려는 발이
더 큰 흔적을 남겨놓을지라도
오늘밤 진흙 이불을 덮고
진흙덩이와 자고 싶다
넌 어디서 왔냐?
< 풍경 달다>
정호승
운주사 와불님을 뵙고
돌어오는 길에
그대 가슴 처마 끝에
풍경을 달고 돌아왔다
먼데서 바람 불어와
풍경소리 들리면
보고 싶은 내 마음이
* 흐흐 올만에 관광객 모드 ㅎㅎ
사진 배우는 스님들..
어두워요~ 다시 찍어보세요.
플래쉬 터트려도 어둡나요?
확인해보세요~
선생님인듯한 분은 후래쉬 터트리면 빛이 강할까봐 흰색 우산으로 반사판으로 만들어 주고 계셨고
사진 찍는데 너무 진지해보이는 스님들 모습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