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 종말론적 환경주의는 어떻게 지구를 망치는가
마이클 셸런버거 지음, 노정태 옮김 / 부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마이클 셸런버거 著, 노정태 譯, 부키, 원제 : Apocalypse Never: Why Environmental Alarmism Hurts Us All)”을 읽었습니다. 


사람들은 조금씩 기후위기에 동의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환경운동가들의 활동이 비로소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데다 기상 이변이나 태평양에 나타난 쓰레기 섬처럼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증거들이 나타났기 때문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기후위기에 대응한 현재의 환경 운동이 과연 올바른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의문을 나타내는 운동가가 있습니다. 


바로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의 저자이자 논쟁적인 환경운동가인 마이클 셸런버거 (Michael Shellenberger, 1971~)입니다. 그는 환경 문제는 중요하고 우리가 당면한 이슈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리 가능하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치 지구 혹은 세상이 종말을 곧 맞이할 것처럼 경고하는 이들의 방향성이 잘못되었다고 비판합니다. 또한 종말론적 환경주의자들이 취하는 자세 중 하나인 반인간주의에 분명히 반대한다고도 그는 이야기합니다. 

그는 NASA의 기후학자인 개빈 슈밋의 말을 빌어 많은 언론이 세상에 내놓는 많은 경고들 중 ‘시간을 정해 두고 하는 모든 이야기는 다 헛소리’라고 이야기합니다. 기간을 정해 놓으면 사람들이 쉽게 알아들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일부러 섹시하게 문장을 뽑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환경 운동의 방향성을 오도할 수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그는 플라스틱 빨대를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 물론 플라스틱을 더 적게 쓰면 좋겠지요. 하지만 해양 오염의 주범을 플라스틱 빨대로 지목해서는 안된다고 이야기합니다. 왜냐하면 매년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900만톤의 플라스틱 쓰레기 중 단 0.03%만이 빨대이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그 많은 예산과 시간, 그리고 많은 사람들의 불편을 통해 줄이는 양으로는 너무나 작은 변화이고 실제로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쓰레기의 양을 극적으로 줄이지도 못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플라스틱이 해양 생물에게 큰 위협이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해양 쓰레기는 바로 수산업에서 배출되는 쓰레기가 대부분이며 자원 재활용 시스템 역시 제 구실을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즉, 우리는 고통 받는 바다거북에 공감하여 플라스틱 빨대에 주목했고 열심히 배출량을 줄이려 하지만 실제 배출량은 줄어들지 않았고 문제의 핵심은 바로 산업과 시스템이 있다는 것이죠. 


그는 환경 문제에 있어 패닉이나 좌절이 아닌, 타인에 대한 돌봄과 침착함, 그리고 사랑을 통해 차분히 현상을 들여다보고 모두를 위한 번영에 필요한 시스템과 가치를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이 책에서 저자가 주장하는 부분은 약간 어리둥절한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환경극단주의자에 대한 내용이나 환경 인본주의 같은 이야기는 지금 시점에서 매우 유효한 시사점을 주는 주장이기도 하고 환경 문제에 대해 균형잡힌 시각을 갖기 위해서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지구를위한다는착각, #마이클셸런버거, #노정태, #부키, #환경영웅, #환경종말론, #기후변화, #기후위기, #정치사회, #종말론적환경주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숲은 고요하지 않다 - 식물, 동물, 그리고 미생물 경이로운 생명의 노래
마들렌 치게 지음, 배명자 옮김, 최재천 감수 / 흐름출판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통해 생명이 얼마나 경이로운 존재인지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숲은 고요하지 않다 - 식물, 동물, 그리고 미생물 경이로운 생명의 노래
마들렌 치게 지음, 배명자 옮김, 최재천 감수 / 흐름출판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은 고요하지 않다 (마들린 치게 著, 배명자 譯, 최재천 監, 흐름출판, 원제 : Nature Is Never Silent: how animals and plants communicate with each other)”를 읽었습니다.


책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제목만 보고 판단하기로는 숲과 나무에 대한 생태 과학에 대한 책으로 착각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큰 착각이었습니다. 이 책은 경이로운 바이오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책이더군요. 그래서 실망했느냐고 물어보신다면 전혀 아닙니다. 동물과 식물을 포함한 생명체들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생명을 이어나가는지에 대해 이렇게 명확하게 이야기해주는 책은 처음 접했거든요. 정말 만족스러운 독서였습니다.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여러 커뮤니케이션 사례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사례는 바로 돌고래와 인간의 협업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큰돌고래 (Tursiops truncatus)는 특이한 사냥 기술을 가지고 있는데 바로 인간과의 협동을 통해 사냥한다는 점입니다. 브라질의 라구나 지방에서는 큰돌고래 수십 마리가 동시에 해변을 향해 물고기 떼를 몰고, 그 지역 어부들은 큰돌고래들이 물고기 떼를 몰고 올 때까지 끈기 있게 꼼짝 않고 기다립니다. 마침내 물고기를 잡아야 할 때가 되면 큰돌고래는 머리와 지느러미를 움직여 어부들에게 신호를 줍니다. 바로 지금 그물을 던지라구요. 그러면 어부들은 풍족하게 물고기를 잡고 그 답례로 그물에서 빠져나간 물고기들은 그대로 두어 돌고래들에게 양보합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종끼리 서로 협동하여 사냥하는 방법은 인간 뿐 아니라 돌고래까지 전통으로 내려오는데 심지어 생후 4개월된 돌고래 역시 이렇게 독특한 사냥에 동참하고 인간과 소통하는 방법을 이미 배웠다고 하네요. 

그런데 이러한 큰돌고래가 협동하여 물고기 떼를 몰기 위해서는 각 개체를 통제하여 운용해야 하는데 충격적이게도 정말 돌고래끼리는 서로의 이름을 붙이고 그것을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즉, 인간만이 서로 간의 이름으로 부르는 것이 아니라 돌고래 역시 그렇다는 것이죠. 


모든 생명은 기본적으로 구조체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개체 내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도 필요하고 개체간의 커뮤니케이션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인간은 인간만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존재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식물이, 동물이 시도하는 소통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점차 과학이 발달하고 인간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난 과학자들이 조금씩 밝혀낸 바에 따르면 인간만이 자의식을 가진 것도, 인간만이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는 것도, 인간만이 소통을 하는 것도 아닌 것을 알아내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생명이 얼마나 경이로운 존재인지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마들린치게, #배명자, #최재천, #흐름출판, #숲은고요하지않다, #생명과학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차원이 다른 세계사 - 3D 이미지로 완벽히 되살린 생생한 역사
DK 지식백과 편집위원회 지음, 강창훈 옮김, 필립 파커 자문 / 책과함께어린이 / 2021년 4월
평점 :
절판


“차원이 다른 세계사 (DK 지식백과 편집위원회 著, 강창훈 譯, 책과함께어린이, 원제 : Knowledge Encyclopedia History!: The Past as You've Never Seen it Before)”를 읽었습니다.


저자가 DK 지식백과 편집위원회라고 되어 있는데 DK는 바로 펭귄랜덤하우스 산하의 돌링 킨더슬리(Dorling Kindersley, https://www.dk.com/kr/) 출판사를 의미합니다. 과학, 역사 등에 걸쳐 화보 중심의 백과사전으로 유명한 바로 그 출판사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이 출판사에서 출간된 많은 책들이 번역 출간되어 있습니다. 

책은 인류의 기원부터 시작합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6~7백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나타난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 약 3백만년 전에 나타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약 2백만년 전에 나타난 호모하빌리스 등부터 시작해서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네안데르탈인), 호모 사피엔스까지의 호미닌의 역사를 단 한 장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글로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DK 백과사전의 특징인 압축적인 그림까지 동원하며 설명하니 글로만 읽을 때와는 크게 다릅니다. 

또한 지금으로부터 10만년 전, 기후 변화로 인해 사하라 사막을 건널 수 있게 되자 인류는 20만년 동안 정착해 있던 아프리카를 벗어나 전 세계 곳곳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아마도 최초의 대이주 시대의 개막이겠지요. 이때 유럽에서 선주하여 살고 있던 또다른 호미닌, 네안데르탈인을 만나게 되고, 동쪽으로 계속해서 이동한 인류는 아시아로,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동하여 정착하게 됨으로써 지금으로부터 약 1만 5천년 전에는 남극을 제외한 전 대륙에 널리 퍼져 거주하게 됩니다. 네, 바로 이 내용도 단 한 장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초기 인류가 어떻게 살았는지, 농경 혁명은 어떻게 일어나고 야생 동물을 언제 가축화했는지 등등을 차근차근 시대순으로 설명하면서 독자들의 머리속에 인류사의 연대표를 하나 하나 채워줍니다. 


일반적인 판형보다 훨씬 큰 판형, 엄청난 퀄리티의 화보, 3D 이미지, 최신 연구 결과를 반영한 충실한 설명 등으로 읽는 내내 압도당하면서 감탄이 이어졌습니다. 더구나 아이들 눈높이에 맞추어 한 장에 하나의 역사적 이벤트를 설명함으로써 집중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책을 읽어 나가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인류의 발생부터 현대세계까지 지도, 연표, 화보 등을 통해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인류의 거대사이자 세계사. “차원이 다른 세계사”. 아이들과 함께 읽어보면 좋은 책입니다.  





#차원이다른세계사, #DK, #강창훈, #책과함께어린이,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오늘의 화학 - 엉뚱하지만 쓸모 많은 생활 밀착형 화학의 세계
조지 자이던 지음, 김민경 옮김 / 시공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의 화학 (조지 자이던 著, 김민경 譯, 시공사, 원제 : Ingredients: The Strange Chemistry of What We Put in Us and on Us)”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흔하지 않은 화학 관련 대중과학서입니다. 대중과학서는 물리, 천문, 생물학 쪽은 자주 출간되는 편이지만 화학은 아무래도 접근성 때문인지 자주 출간되지는 않는 것 같아요. 

 

사실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화학 물질 투성이죠. 심지어 우리가 안심하고 마시는 물조차 화학물질이니까요. 하지만 우리는 화학 물질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지내고 있습니다. 모른 채 일상을 살아도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하니까요. 그냥 남들이 나쁘다고 이야기하면 나쁜 줄 알고,좋다고 하면 좋은 줄 알고, 그냥 그렇게 살아가고 있어요.

하지만 사회적 참사 중 하나인 가습제 살균제 사태만 보더라도 그냥 그렇게 믿고만은 살 수가 업습니다. 당장 우리 이웃, 우리 가족에 큰 피해를 끼칠 수도 있는 것이 화학물질이니까요.


하지만 화학에 대해 알고 싶어도 비전공자에게는 너무 어렵고 지루한 학문인 것은 사실이잖아요,. “오늘의 화학”은 그렇지 않아요. 우리가 알고 싶어하는 사실, 정말 가공식품이 몸에 해로운 것인 것, 담배가 어떤 작용을 통해 우리 몸에서 암을 일으키는지, 자외선 차단제를 계속 사용해도 되는 것인지 등등에 대해 아주 자세하고 쉽게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일상 생활에서 필요한 화학적 지식을 재미있게 알려주는 책이라는 것이죠. 


하지만 마냥 가볍게만 화학이나 과학을 설명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교양 과학서적을 읽는 것은 과학적 지식을 알고자 하는 이유도 있지만 과학적 사고방식을 얻기 위해서 읽는 이유도 있기 때문이이죠. 이 책에서는 가설 검증에 있어 중요한 통계적 유의성에 대해서 많은 장을 활용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COVID-19와 관련하여 통계 결과를 교묘히 비틀거나 왜곡한 가짜뉴스들이 창궐하고 있는데 이를 구분하는데 필요한 사고방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합니다. 물론 교과서처럼 딱딱하게 설명하고 있지 않고 특유의 유머스런 문장으로 재미있게 설명하니 너무 겁먹지 않아도 됩니다. 


책의 내용 중 가장 충격을 받았던 내용은 수영장 냄새의 원인에 대한 이야기였어요. 


“오, 안돼.

아니, 아니야.

아니, 아니, 아니, 아니, 아니, 아니, 아니.”


라고 절규하는 저자에 완전히 공감하게 되었지요. 


무슨 이야기냐구요? 직접 책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세상을 안전하게 (?) 살아가려면 한번쯤은 읽어봐야 하는 책으로 추천드립니다.







#오늘의화학, #조지자이던, #김민경, #시공사,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