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준의 이너스페이스 - 나노로봇공학자, 우리와 우리 몸속의 우주를 연결하다
김민준.정이숙 지음 / 동아시아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적 로봇하면 로봇 태권V나 마징가 Z 같은 거대한 이족 보행 로봇 정도만 생각했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몇 년 전 대식세포(macrophage)를 활용한 나노 로봇에 대한 뉴스를 보면서 로봇에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가 있을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였죠. ( http://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1424 ) 이 뉴스에서 언급한 나노로봇은 대식세포를 자성을 이용하여 목표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활용하여 항암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이후 후속 기사를 찾을 수 없어 관심을 접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이번에 “김민준의 이너스페이스 (김민준, 정이숙 共著, 동아시아)”를 읽어 보았습니다.

 


먼저 저자인 김민준 교수( https://www.smu.edu/Lyle/Academics/Departments/ME/People/Faculty/KimMinJun )에 대한 소개를 해야 할 것 같네요. 현재 미국 텍사스 소재 서던메소디스트 대학교 기계공학과 석좌교수로 재직 중인 김민준 교수는 마이크로 엔지니어링 중에서도 특히 미소생체로봇(Microbiorobotics)을 연구 분야로 하는 과학자입니다. 인터뷰 기사에 보면 그는 기계공학, 생물학 및 의공학을 융합한 연구로 정통 기계공학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 http://www.hanuribiz.com/news/articleView.html?idxno=35580 )

그가 개발한 마이크로로봇은 2016년에 넷엑스플로상 (Netexplo Award - 프랑스 의회, 프랑스 디지털경제부, 유네스코 공동주최, 선정된 혁신기술 수여하는 상)을 수상하였는데 이때 ‘우리가 SF소설의 소재로나 알고 있었던 것을 현실의 과학으로 만들어낸 것이다. ‘이라는 심사평이 인상깊습니다.

 

책의 프롤로그를 지나 1장에서 나노 로봇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느닷없이 김민준 교수의 난독증 고백을 읽어야 했습니다. 최첨단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과학자가 난독증이라니 이건 무슨 소리인가? 김민준 교수는 융합적 사고와 연구를 하고자 하고, 실제로 하고 있는 본인의 이야기를 1장에서 들려주기 위해 어찌 보면 본인의 핸디캡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책에서 김민준 교수는 나노 로봇에 대해 ‘스스로 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머리카락 굵기 10만 분의 1 크기의 작은 기계’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말에 왜 1장부터 개인사로 시작하여 융합적 사고 혹은 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지가 숨어 있습니다. 김민준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나노로봇공학은 기계공학, 의공학, 전기공학, 컴퓨터공학, 재료공학, 수학, 화학, 물리학, 미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의 공동연구로 결과를 하나하나 만들어가는, 로봇에 관한 인문학이자 기술학’이기 때문에 특정 한 분야의 성과로만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덮으면서 독자에게 나노 로봇를 알리고 이해시키려는 것도 있겠지만 김민준 교수가 스스로 본인의 학문적인 행로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비망록이자 동료 연구자에 대한 헌사로써 집필하였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나노 로봇 개발의 역사나 현재 연구되고 있는 여러 나노 로봇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도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이 책을 읽고 난 다음 관련 기사들을 검색해봤는데 출간 이전에 김민준 교수의 연구에 대한 기사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매경 기획기사와 넷엑스플로상 수상 당시 로봇신문 기사 정도만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김민준의 이너스페이스” 출간 이후 관련한 기사들이 나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책 출간을 계기로 나노 로봇에 대한 대중의 이해가 깊어지고 관심이 지속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덧붙이는 말 : 이 책의 제목은 과거 헐리우드 영화인 ‘이너스페이스(1987년, 조 단테 감독)’에서 따온 것 같았는데 책의 서문에서 김민준 교수가 해당 영화를 언급하는 것을 보니 짐작이 맞는 것 같습니다.


#이너스페이스, #김민준, #정이숙, #동아시아, #나노로봇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용기의 땅 1부 3 : 피와 뼈 용기의 땅 1부 3
에린 헌터 지음, 신예용 옮김 / 가람어린이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기의 땅 3 : 피와 뼈 (에린 헌터 著, 신예용 譯, 가람어린이, 원제 : Bravelands #3 - Blood and Bone)”를 읽었습니다.


“용기의 땅(Bravelands)” 시리즈는 에린 헌터 (Erin Hunter)의 동물 판타지 시리즈로  아프리카 대초원을 배경으로 사자 피어리스, 개코원숭이 쏜, 코끼리 스카이 등 동물 영웅들의 모험을 다루고 있으며 2020년 기준으로 6권까지 출간되었고 우리나라에는 3권까지 번역 출간되어 있습니다. 


에린 헌터 (Erin Hunter)는 ‘전사들(Warriors)’ 시리즈, ‘살아남은 자들(Survivors)’ 시리즈, “모험을 찾아 떠나는 자들(Seekers)’ 시리즈 등 동물을 주인공으로 하고 그들이 겪는 모험을 다룬 판타지 시리즈 작가로 유명한 작가입니다. 사실 1명의 작가가 아니라 편집자이던 빅토리아 홈즈(Victoria Holmes)가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작가 집단*입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는 않지만 해외에는 하나의 필명을 공유하는 작가 집단이 공동 작업을 통해 책을 펴내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소개된 작가로는 ‘익스팬스 (The Expanse)’ 시리즈로 유명한 제임스 S.A. 코리 (James S. A. Corey)가 있습니다. 이 팀은 다니엘 애이브러햄(Daniel Abraham)과 타이 프랭크(Ty Franck) 두 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들이 출간한 대부분의 작품은 Goodreads.com에서의 평점 역시 출간작 모두 4점 이상을 기록하고 있을 만큼 대단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그들 작품이 아동용 판타지 동화임에도 불구하고 연령대와 관계 없이 많은 팬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2권, 혹은 시리즈에 해당하는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스팅어를 믿는 피어리스는 쏜을 배신자로 단정하고 공격합니다. 피어리스에 의해 살해당할 뻔한 쏜을 스카이가 구해줍니다만 쏜은 피어리스를 원망하지 않습니다. 모든 악의 원인은 스팅어에게 있으니까요. 그리고 이제 그는 위대한 아버지라 사칭하며 초원의 모든 동물을 속이려 합니다. 


쏜은 이제 스팅어에게 응당의 대가를 치루게 하려고 합니다. 그에게 소중한 모든 것을 그가 뺏어갔기 때문입니다. 그의 지도자를, 연인을, 그리고 친구를 말이지요.


한편 피어리스는 자신의 무리를 만들어 마침내 우두머리가 됩니다. 이제 타이탄에 대한 복수의 첫걸음에 드디어 성공한 것입니다.   


스카이는 위대한 영혼을 담을 위대한 부모를 찾아 고난의 수탐을 계속하다 드디어 위대한 아버지를 만납니다. 그 위대한 아버지는 바로…


아동용 판타지임에도 불구하고 자극적인 장면이 다소 많다는 평가가 있는 “고양이 전사들” 때문에 “용기의 땅”을 선택하여 아이들과 읽는 것에 다소 망설였지만 동물 주인공들이 영웅으로 각성하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촘촘하고 다양한 악역의 음모, 배신 등의 이야기 구조가 매우 훌륭합니다. 살해, 배신 등 부정적인 이야기도 나오긴 하지만 충분히 소화 가능한 수준으로 보이며 이야기가 가지는 재미의 탁월함은 성인 독자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였습니다. 4권 출간을 제가 더 기다릴 것 같네요.


 


#용기의땅, #에린헌터, #신예용, #가람어린이, #용기의땅3, #피와뼈, #책과콩나무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랜스퍼시픽 실험 - 중국과 미국은 어떻게 협력하고 경쟁하는가
매트 시한 지음, 박영준 옮김 / 소소의책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련의 붕괴 및 연방 해체(1991)라는 역사적 이벤트를 통해 미소 양극의 냉전 시대가 종식된 다음 한동안 국제 정세는 미국의 일강 체제 하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세계의 공장의 역할을 하며 꾸준히 성장을 해온 중국이 이제 미국의 일강 체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진핑 (习近平, 1953~) 집권 이후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근대 이래로 ‘모든 중국인들이 꾸고 있는 가장 위대한 꿈’이라는 중국몽(中國夢)의 기치 아래에서 아시아 및 태평양의 질서를 중국을 중심으로 재편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동북공정(東北工程)’이나 ‘일대일로 (一带一路)’, ‘과학굴기 (科學崛起)’ 모두 이러한 중국몽의 일환으로 생각하여도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중국의 중국몽은 아시아 태평양을 둘러싼 주도권 쟁탈전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현재의 미중 무역분쟁은 향후 국제 질서의 헤게모니를 둘러싼 쟁탈전의 전초이라 보는 견해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신 양극체제의 출현을 목전에 두고 있다고 보는 것이죠. 


“트랜스퍼시픽 실험 (매트 시한 著, 박영준 譯, 소소의책, 원제 : The Transpacific Experiment)”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중 양국 관계를 이러한 갈등의 관점이 아닌 태평양을 사이에 둔 거대 국가 간의 협력, 교류의 현장을 실제적으로 독자에게 보여주고 세계의 평화와 지속적인 번영을 위해 필요한 것은 극단으로 치달아가는 경쟁인가, 아니면 국제 평화를 바탕에 둔 협력과 교류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참신한 답을 제시하고 있는 책입니다. 

미국 태생인 매트 시한(Matt Sheehan)은 마르코 폴로 연구소의 연구원이자 언론인으로 ‘2018년 젊은 중국 연구자상’의 후보에도 오를 정도로 중국에 정통한 중국 전문가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저자가 말하는 트랜스퍼시픽 실험(Transpacific Experiment)이란 무엇일까요? 저자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미국과 중국, ‘두 초강대국 사이에서 완전히 새로운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민간 차원의 외교적 교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습니다. 저자는 이의 예로 중국 학생이 미국으로 유학을 오거나, ‘실리콘 밸리의 스타트업 창업자가 중국에서 투자자를 찾’거나 ‘캘리포니아 여러 도시 시장이 중국으로부터 공장을 유치하기 위해’ 일련의 노력을 하는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민간 차원의 ‘긴밀하고도 다면적인 교류’는 이미 양국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국제 체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저자는 주장하며 이 책으로 그 사례와 성과를 통해 자신의 주장을 흥미롭게 증명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미국 서부와 중국 간의 관계는 노예제도가 폐지된 이후 부족한 노동력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중국인 노동자가 대량으로 미국으로 이주해오는 과정에서 처음 맺어졌습니다. (쿨리, 苦力) 


과거 노예나 다름없던 중국인 노동자에 의해 맺어진 중국과 미국과의 관계는 점차 글로벌 협업의 형태를 갖추게 되나 최근 트럼프의 등장으로 인해 이 관계가 상당히 무너지는 모습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트랜스퍼시픽 실험을 통해 목도한 많은 성과들은 일시적인 효과에 불과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자는 아직 트랜스퍼시픽 실험은 초기에 불과하며 그동안 이루어진 모든 형태의 교류는 결국 하나하나가 씨앗이 되어 두 나라에 모두 골고루 뿌려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그는 ‘새옹지마, 언지비복 (塞翁之馬 焉知非福)’이라는 중국 고사를 인용하며 예측 불가한 국제 정세 속에서도 국제 협력이라는 명분 및 대의를 위해 상대에 대한 존중을 잃지 않으면서 묵묵히 해야 할 일(트랜스퍼시픽 실험)을 해나가야 한다고 마무리합니다. 


#트랜스퍼시픽실험, #매트시한, #박영준, #소소의책,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통의 우리가 알아야 할 과학 - 세상 돌아가는 걸 알려주는 사회학자의 생존형 과학 특강
윤석만 지음 / 타인의사유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을 왜 알아야 할까요?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은 “재미있다”입니다. 인간은 호기심의 동물이라고도 하죠. 지적 호기심을 채워줄 수 있는 많은 분야 중의 하나입니다. 


또 한가지는 내 지갑을 지킬 수 있습니다. 현대 과학이 발달하면서 일반인은 이해하지 못하는 영역까지 과학이 발달하다 보니 이를 활용한 사이비 과학도 판을 치고 있습니다. 최근 지문으로 적성이나 개인의 정체성까지 알려준다고 하기도 하는 사업자도 있고, 일반적인 물질인데 이를 가지고 특정 질병을 고쳐준다고 하기도 합니다. 속이려고 맘 먹고 덤비는 사람은 많은데 개인이 가질 수 있는 지식은 한계가 있다 보니 일일이 찾아서 검증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평소에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보면 이러한 사이비 과학에 대해 접했을 때 ‘회의적’ 태도로 접근하여 검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21세기를 살아가는 민주 사회 시민의 의무라는 것입니다. 과학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과학적 추론과 검증입니다. 좋은 대중과학서의 대부분은 이러한 과정을 빼놓지 않고 있습니다. 과학은 믿음(belief)이나 신앙(faith)의 영역이 아니라 회의(skepticalness)의 과정을 통과한 지식에 대한 신뢰(trust)의 영역입니다. 그렇기에 좋은 대중과학서를 지속적으로 읽는다는 것은 과학적 사고방식에 대한 훈련이기도 합니다. 더구나 최근의 과학연구는 대규모의 예산이 필요한 거대 과학(big science)화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세금으로 이루어진 정부 예산이 많이 투여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 비전문가인 시민들에 의한 통제(civilian control)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이런 훈련의 반복은 가짜 뉴스를 개개인이 검증할 수 있는 능력도 키울 수 있습니다. 결국 민주주의와 시민에 의한 사회 통치라는 제도와 이념을 지키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과학적 사고방식을 지속적으로 훈련해야 합니다.



“보통의 우리가 알아야 할 과학 (윤석만 著, 타인의사유)”에서 저자 역시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저자인 윤석만 중앙일보 기자는 이 책을 통해 (보통의 우리가) 과학을 한다는 것을 단지 과학적 지식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일’이라고 프롤로그에서 정의하면서 ‘현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이성적으로 가설을 세우며 합리적으로 실험, 검증하는’ 것이 바로 과학을 하는 것이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과학자가 아니며 자연과학이나 공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뉴턴 역학, 상대성 이론, 양자 역학, 블랙홀과 빅뱅을 비롯한 우주론, 판 구조론, 바이러스, 유전공학, 트랜스 휴먼 등의 내용을 차근 차근 따라가다 보면 저자가 과학에 가지는 관심의 폭과 깊이가 예사스럽지 않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독자에게 그 것들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쉬운 글쓰기를 통해 전달해줍니다. 




사실 과학 지식을 채워주는 대중과학서를 좋아하지만 과학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입장에서는 어느 정도까지 알아야 하는지, 어떤 책을 사서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감을 잡기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로저 펜로즈 (Sir Roger Penrose, 1931~)의 책은 대중 친화적인 제목에 비해 내용은 절망만 안겨 주더군요. 

(지금 제 서가에는 로저 펜로즈의 여러 책들이 장식하고 있습니다. 언젠가 다시 도전을 해야겠지요.) 

과학에 흥미는 많지만 어려울 것이라는 편견 (진짜 어느 수준 이상부터는 정말 어려운 것이 맞습니다만, 시중에 쉽게 설명하고 있는 과학책도 많습니다)을 조금만 벗어나면 매우 흥미로운 세상이 눈 앞에 펼쳐질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해 과학에 입문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의우리가알아야할과학, #윤석만, #타인의사유, #과학입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용기의 땅 1부 2 : 자연의 법칙 용기의 땅 1부 2
에린 헌터 지음, 신예용 옮김 / 가람어린이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기의 땅 1권 “흩어진 무리”를 읽고 난 다음 과연 아이들에게 이것을 읽게 해도 괜찮을지 약간 고민을 했습니다. 동물 세계의 음모와 영웅 주인공들의 역경은 마치 “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를 연상하게 하여 (비록 순한 맛이지만) 내용 자체는 매우 재미있습니다만 살해, 음모, 배신 등 다소 부정적일 수 있는 이야기들을 아이들이 감당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시리즈의 적정 연령대는 8~13세로 분류되어 있어 전문가와 아이들을 믿고 읽는 것을 허락했습니다. 



(1권을 포함한 시리즈 전체의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으니 유의바랍니다.)





1권은 위대한 어머니가 살해당하는 장면에서 마무리 되고 “용기의 땅 2 : 자연의 법칙 (에린 헌터 著, 신예용 譯, 가람어린이, 원제 : Bravelands #2 - Code of Honor)”은 그에 이어서 시작됩니다.


피어리스는 아버지의 복수와 더불어 무리를 되찾기 위해 타이탄의 무리에 들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그는 아직 갈기털도 없는 어린 사자에 불과합니다. 그가 진짜 사자가 되려면 아직 한참 멀었습니다. 적당한 때를 기다려야 합니다. 하지만 시간은 그의 편이 아닙니다. 타이탄이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는 무서운 결정을 내려 용기의 땅을 위험에 처하게 하고 있습니다.


쏜은 스팅어의 비밀을 알게 되었지만 그 비밀을 누구에게도 털어놓지 못합니다. 스팅어가 만든 새로운 계급, 튼튼한 가지에 속한 쏜은 오히려 스팅어의 경호원이 되기까지 합니다. 또한 베리와 함께 하고 싶지만 차마 그녀의 아버지, 스팅어의 비밀을 그녀에게 말하지 못해 점차 사이가 벌어집니다. 하지만 용기의 땅에는 점차 위기가 커져가고 있는데 쏜은 비밀을 언제까지 혼자만 알고 있어야 할까요?  

 


 

스카이는 위대한 어머니가 누가 왜 어떻게 살해했는지 그 비밀을 밝히려 하지만 그녀의 능력은 위대한 어머니의 엄니에는 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위대한 부모와 세상을 떠난 수많은 코끼리들의 뼈가 펼쳐진 조상의 평원으로 여행을 떠나고 고난을 겪은 이후 새로운 능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살아있는 동물의 기억도 읽을 수 있게 된 것이죠. 스카이는 혼란스럽지만 아마도 스스로의 힘을 긍정하고 아프리카 대초원 용기의 땅의 새로운 위대한 존재가 될 것입니다.



1권에서도 느꼈지만 “용기의 땅”의 이야기 구조와 재미는 정말 놀라울 정도입니다. 층층이 겹쳐진 음모와 배신, 그리고 주인공들이 영웅으로 각성하기까지의 과정들이 촘촘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악역과 영웅, 그리고 조력자들의 활약이 3권에서는 어떻게 펼쳐질지 정말 궁금해지는군요. 


 

 덧붙이는 말 하나 : ‘용기의 땅 (Bravelands)’ 시리즈는 아프리카 대초원을 배경으로 사자 피어리스, 개코원숭이 쏜, 코끼리 스카이 등 동물 영웅들의 모험을 다루고 있는데 2020년 기준으로 6권까지 출간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3권까지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덧붙이는 말 둘 : 저자인 에린 헌터 (Erin Hunter)는 ‘전사들(Warriors)’ 시리즈, ‘살아남은 자들(Survivors)’ 시리즈, “모험을 찾아 떠나는 자들(Seekers)’ 시리즈 등 동물을 주인공으로 하고 그들이 겪는 모험을 다룬 판타지 시리즈 작가 집단으로 편집자이던 빅토리아 홈즈(Victoria Holmes)가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덧붙이는 말 셋 :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는 않지만 해외에는 하나의 필명을 공유하는 작가 집단이 공동 작업을 통해 책을 펴내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소개된 작가로는 ‘익스팬스 (The Expanse)’ 시리즈로 유명한 제임스 S. A. 코리 (James S. A. Corey)가 있습니다. 이 팀은 다니엘 에이브러햄(Daniel Abraham)과 타이 프랭크(Ty Franck) 두 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용기의땅, #에린헌터, #신예용, #가람어린이, #용기의땅2, #자연의법칙,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