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고양이를 봤다 그래비티 픽션 Gravity Fiction, GF 시리즈 14
전윤호 지음 / 그래비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두 고양이를 봤다 (전윤호 著, 그래비티북스)”를 읽었습니다. 


대한민국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수십, 수백만의 사람이 고양이 환각을 동시에 봅니다. 대낮에 발생한 이 대규모 환각으로 인해 많은 사고가 일어나고 큰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속출하게 됩니다. 데이터 엔지니어인 채수진은 빅데이터와 자연어 처리를 활용해서 환각의 진원지를 파악하여 인터넷에 공개합니다. 


‘모두 고양이를 본’ 이 환각 사태가 귀신의 장난 같은 영적, 초자연적 현상이 아니라면 밝혀지지않은 기술과 사람의 개입에 의한 사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이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민관 합동조사단이 꾸려지게 됩니다. 환각의 진원지를 파악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채수진도 이 민관 합동조사단에 합류하고, 이후 하나 하나 사건의 진상을 파헤쳐 나갑니다. 


그러나 진상에 가까이 접근할수록 환각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국가 비상에 준하는 상황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결국 국정원까지 개입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이후 미국과 중국까지 끼어들게 됩니다. 또한 환각 사건을 일으킨 조직은 점차 비밀결사의 형태로 바뀌어 테러에 가까운 행위까지 저지르게 되면서 해결의 실마리는 점차 요원해집니다.



사실 저자 소개를 처음 읽었을 때 작품에 대해 크게 기대하지 않았습니다.  전기공학과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자로 AI와 로봇을 연구한데다 SK플래닛이라는 회사의 CTO로 일하셨다고 하니 AI나 IT의 전문가임에는 틀림이 없겠지만 소설은 또 다른 영역이잖아요. 그래도 그래비티북스에서 출간된 SF 소설이다 보니 반쯤은 의무감에 읽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플래쉬포워드 (로버트 J. 소여 著, 정윤희 譯, 미래인, 원제 : Flashforward)”를 연상케 하는 강력한 도입부부터 푹 빠져들 수 밖에 없었습니다. 더구나 실제 현업에서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창조한 세계의 핍진성(逼眞性, Verisimilitude)은 거의 완벽하여 작품 내 세계에 쉽게 몰입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액션, 미스터리, 로맨스 등 이야기를 재미있고 맛있게 만들어주는 양념도 풍부해서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작년부터 글을 처음 쓰셨고 이게 첫 장편소설이라는 게 믿어지지 않을 정도의 완성도로 전윤호 작가님의 다음 작품도 기대할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SF 작가진이 굉장히 풍성해지는 것 같아 매우 기분 좋은 독서였습니다. 





덧붙이는 말 하나 : 표지 일러스트는 전윤호 작가님의 따님이신 전주은님의 작품이라고 하네요. 


덧붙이는 말 둘 :  찾아보니 전윤호 작가님이 참여한 엔솔리지 “페트로글리프 (전윤호, 김성진, 우정하, 정윤선, 구본진, 반야, 황인선, 이도 共著, 동아엠앤비)”도 이미 출간되어 있네요. 꼭 읽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덧붙이는 말 셋 : 제가 좋아하는 작가 중 한 분인 해도연 작가님이 서평을 쓰셨더라구요. 꼭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덧붙이는 말 넷 : 작중 기술은 아니더라도 양자의식(quantum mind, quantum consciousness)은 실제로 물리학계에서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라고 합니다. 


덧붙이는 말 다섯 : 책 뒷표지와 권두 추천사는 다 읽으신 후에 보시기 바랍니다. 

 

#모두고양이를봤다, #전윤호, #그래비티북스, #하드SF, #장르소설, #가장재미있는텔레파시물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즈니스 아이디어의 탄생 - 혁신적 아이디어 설계와 테스트, 팀 디자인, 마인드셋까지 44가지 아이디어 실험법
데이비드 블랜드.알렉산더 오스터왈더 지음, 유정식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디어를 뾰족하고 날카롭게 만들수록 시장은 쉽게 뚫인다!’


“비즈니스 아이디어의 탄생 (데이비드 블랜드, 알렉산더 오스터왈더 共著, 유정식 譯, 비즈니스북스, 원제 : Testing Business Ideas: A Field Guide for Rapid Experimentation)”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설계하고 검증하여 실행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방법론을 설명하고 실습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입니다.


공저자 중 한명인 알렉산더 오스터왈더 (Alexander Osterwalder)는 전작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 (알렉산더 오스터왈더, 예스 피그누어 共著, 유효상 譯, 타임비즈, 원제 : Business Model Generation)”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라는 방법론을 제시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점검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한 바 있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얼핏 보면 칸반(Kanban)과 유사하게 보이지만 비즈니스 모델의 실현 가능성, 수용 가능성, 생존 가능성에 대한 요소들을 총 9개의 블록으로 구성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PMBOK에서 이야기하는 프로젝트 관리 대상 10대 영역을 BM 검증을 위한 방법론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한 느낌을 물씬 풍기죠.)


그리고 ‘가치 제안 캔버스’라는 도구가 나옵니다. 바로 “밸류 프로포지션 디자인 (알렉산더 오스터왈더, 예스 피그누어, 그렉 버나다, 앨런 스미스 共著, 조자현 譯, 생각정리연구소, 원제 : Value Proposition Design: How to Create Products and Services Customers Want)”에서 제시한 방법론에서 활용하는 탬플릿입니다.


 



‘가치 제안 캔버스’는 가치 맵 (Value Map)과 고객 프로파일 (Customer Profile) 두 영역과 6개의 요소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정의하고 고객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설계, 검증, 실행하는 방법론은 알렉산더 오스터왈더의 전작에서 정리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와 ‘가치 제안 캔버스’를 축으로 비즈니스를 디자인하고 테스트함으로써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실제 사업화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어떤 비즈니스 계획도 고객과의 첫 만남에서 살아남지 못한다.”

(스티브 블랭크*, Steve Blank. 1953~)


* 4스텝 17단계 64항목으로 구성된 ‘고객 개발’ 모델을 창안하였으며 린 스타트업의 마법사로 불리우는 경영혁신가 중 한 명임.



그리고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테스트하는 각 단계별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템플릿 등을 제공하여 실습도 해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사업기획 및 전략 업무를 맡고 있다 보니 이 책은 일람 일독으로 끝낼 게 아니라 참고서 (reference book) 삼아 지속적으로 들여다 보고 활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비즈니스아이디어의탄생, #데이비드블랜드, #알렉산더오스터왈더, #유정식, #비즈니스북스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으로 생각하는 힘 - 일상의 모든 순간, 수학은 어떻게 최선의 선택을 돕는가
키트 예이츠 지음, 이충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으로 생각하는 힘 (키트 예이츠 著, 이충호 譯, 웅진지식하우스, 원제 : The Maths of Life and Death - 7 Mathematical Principles That Shape Our Lives)”을 읽었습니다. 최근 수학과 관련한 대중 과학 서적이 많이 출간되고 있는데 이 책 역시 수학을 주제로 한 대중과학서적 중 하나입니다. 


저자인 키트 예이츠 (Kit Yates)는 옥스포드 대학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배스 대학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는 수리생물학자이면서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분이라고 합니다.  


이 책이 다른 수학 관련 대중 과학서와의 가장 큰 차이는 수학적 개념을 실제의 사례에 녹여 내어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례와 이야기들을 통해 독자가 수학적 개념, 도구, 사고 방식에 보다 익숙해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러면 이 책에서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몇 가지만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염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수학’


최근 COVID-19가 아주 기승입니다. 덕분에 이러한 전염병에 대한 학문은 의학의 영역이기도 하지만 수학의 영역에도 걸쳐 있다는 사실을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기도 했습니다. 그동안 이러한 수리역학은 HIV를 비롯한 수많은 감염병의 확산에 대항하는 싸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 왔고 지금도 COVID-19를 비롯한 감염병의 확산 패턴을 읽어내기 위한 수학자들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질병 확산 모델 S-I-R 모형’


스코틀랜드 출신의 의사인 앤더슨 매켄드릭 (Anderson Gray McKendrick, 1876~1943)은 인도 봄베이의 페스트 발병 데이터에서 영감을 얻어 질병 확산에 관한 수학 모형을 만들었는데 이것을 바로 S-I-R 모형이라고 합니다. 

S-I-R 모형은 개인의 질병 상태에 따라 인구 집단을 세가지 범주로 구분하는데 아직 질병에 걸리지 않은 ‘감염대상군 (Susceptibles)’, 질병에 감염되어 감염대상군(S)에 질병을 옮길 가능성이 있는 ‘감염군 (Infectives)’, 그리고 질병에 걸렸다가 회복되어 면역을 획득하였거나 사망한 ‘제거군 (Removed)’이 바로 그 범주입니다. 이러한 모형은 질병의 감염 경로 및 확산 상황에 대해 설명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지만 무엇보다 예측 능력이 뛰어나다는 점에 더 큰 장점입니다.  특히 돌발 발벙의 폭발적 동영학을 예측하고 불가사의해 보이는 질병의 진행 패턴을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주었다고 합니다.  


저자는 수학 모형은 일상적인 상황의 이해에 도움을 주지만 반드시 방정식이나 코드의 형태가 피요한 것은 아니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는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수학은 패턴이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세계를 지배하는 규칙을 이야기하고 이해하는 것으로 수학적 영향력을 체감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는 이 책에 수학 공식이나 방정식을 최소화하여 비수학적 서술을 통해 독자를 이해시키려고 한 것 같습니다. 물론 수학책에 수학 공식이나 방정식이 없는 것이 꼭 좋은 서술 방식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들이 있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수학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중과학책으로서는 이러한 방식을 채택할 수 밖에 없는 사정도 있을 것입니다. 더구나 저자인 키트 예이츠는 수학적 개념의 비수학적 서술에 대한 우려를 날려버릴 정도의 훌륭한 탁월한 스토리 텔링으로 재미있게 풀어내 주고 있습니다.  


#수학으로생각하는힘, #키트예이츠, #이충호, #웅진지식하우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더 나은 반쪽 - 여성의 유전학적 우월성에 대하여
샤론 모알렘 지음, 이규원 옮김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의 더 나은 반쪽 (샤론 모알렘 著, 이규원 譯, 지식의날개, 원제 : The Better Half: On the Genetic Superiority of Women)”을 읽었습니다.


저자인 샤론 모알렘 (Sharon Moalem)은 캐나다 출신 의사, 유전학자입니다. 또한 그는 그동안의 저작을 통해 논쟁적인 주제를 우리에게 던져 준 대중과학서 작가이기도 합니다.


 “아파야 산다 (김소영 譯, 김영사, 원제 : Survival of the Sickest: A Medical Maverick Discovers Why We Need Disease)”질병은 유전자의 생존 전략 중 하나라는 독특한 주장을 펼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진화의 선물 – 사랑의 작동 원리 (정종욱 譯, 상상의숲, 원제 : How Sex Works: Why We Look, Smell, Taste, Feel, and Act the Way We Do)”에서는 (온건하게 번역한 국내판 제목과는 달리) 진화의 관점에서 살펴 본 성적 본능, 성적 매력, 성적 취향 등 성(sex)의 작동 원리에 대해 파헤친 적이 있습니다.

또한 “유전자, 당신이 결정한다 (정경 譯, 김영사, 원제 : Inheritance: How Our Genes Change Our Lives—and Our Lives Change Our Genes)”에서는 저자가 진료해온 유전병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의 일상적인 경험이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주고 그 영향이 자손에까지 미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스스로가 유전적 운명을 결정할 수 있음을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 출간된 “우리의 더 나은 반쪽”은 그의 저서 중 우리나라에도 소개된 4번째 저작이며 가장 신간이기도 합니다.  이 책은 부제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강력한 면역체계와 생존 능력을 가지게 해주는 “여성의 유전학적 우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성은 2개의 X 염색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전적으로 더욱 다양성을 갖게 마련이고, 이를 통해 유리한 생존성을 확보한다고 합니다. 남성과 여성, 두 성별이 동일한 생물학적 종에 속하지만 여성은 타고난 유전적 우월성을 갖고 있기에 인류의 생존은 여성에 의해 보장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저자는 의대생 시절부터 X 염색체가 위험하다고 배워 왔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가 의사로 활동하면서 임상 현장에서 발견한 것은 X 염색체가 2개가 모여 있을 경우 ‘선택과 협력’을 통해 강력한 결과물을 도출하는데 이것에 우리가 무지한 이유는 현대 의학은 여전히 남성만을 연구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여성이 유전적으로 우월하다는 이야기만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를 인정하고 심화 연구를 해야 보다 건강한 삶을 인류에게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밝히고 있습니다.


덧붙이는 말 하나 : 저자인 샤론 모알렘은 이름에서 풍기는 느낌과는 다르게 남성 과학자입니다.


덧 붙이는 말 둘 : 이 책에서 현대 의학이 남성만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는데 이는 “의사는 왜 여자의 말을 믿지 않는가 (마야 뒤센베리 著, 김보은, 이유림 共譯, 윤정원 監, 한문화, 원제 :  Doing Harm)”, “보이지 않는 여자들 (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著, 황가한 譯, 웅진지식하우스, 원제 : Invisible Women: Exposing Data Bias in a World Designed for Men)”에서도 동일한 주장을 하고 있으므로 함께 읽어 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우리의더나은반쪽, #샤론모알렘, #이규원, #지식의날개, #유전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이 부서지기 전에 에버모어 연대기 1
에밀리 킹 지음, 윤동준 옮김 / 에이치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가 시작할 때, 시간은 존재하지 않았다.

세상 어디에도 괴물이나 남자는 어슬렁거리지 않았다.

바다가 대륙과 만나는 곳에서 상앗빛 암말이 태어났다.

바다의 거품이 그녀의 갈기가 되었고, 따개비들이 뭉쳐 몸이 되었다.

그녀는 창조주였다.

모든 관념의 여신이자 일곱 세계를 관장하는 최고 지배자였다.’



“별이 부서지기 전에 (에밀리 킹 著, 윤동준 譯, 에이치, 원제 : Before the Broken Star)”를 읽었습니다. “별이 부서지기 전에”는 “모래시계 속으로 (원제 : Into the Hourglass)”, “멈추지 않는 노래 (원제 : Everafter Song)”로 이어지는 ‘에버모어 연대기 (원제 : The Evermore Chronicles)’ 시리즈의 처음을 열어주는 작품입니다.


이 책의 저자인 에밀리 킹 (Emily R. King)은 데뷔작인 “백 번째 여왕 (에밀리 킹 著, 윤동준 譯, 에이치, 원제 :  The Hundredth Queen)”을 통해 우리에게 잘 알려진 캐나다 출신의 판타지 작가입니다. 에밀리 킹은 “불의 여왕”, “악의 여왕”, “전사의 여왕” 등 ‘백 번째 여왕 시리즈’를 통해 칼린다의 매력에 푹 빠지게 만들더니 이번에도 매력적인 새 주인공과 세계를 우리에게 소개해주고 있습니다.  


그 주인공은 자신의 영역을 넓히려는 탐욕에 사로 잡혀 있는 여왕이 다스리는 왕국에 살고 있는 시계 가게의 견습생, 에벌리 도노반입니다. 언뜻 평범해 보이는 그녀지만 평범하지 않은 사연을 가지고 있는 소녀입니다. 그녀의 심장은 시계 태엽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시계 태엽으로 만들어진 심장을 가지고 살아온 것은 아닙니다. 그녀가 가지고 태어난 원래의 심장은 10년 전 그날, 이유를 알 수 없는 칼에 찔려 멈춰버렸고, 그 죽음의 끝자락에서 외삼촌의 발명품인 지금의 시계 태엽 심장 덕분에 살아난 그녀는 그 후 10년 동안 죽음으로부터 시간을 빌려 삶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녀의 아버지, 어머니, 형제 자매는 모두 어머니의 생일을 축하하던 날, 아버지의 친구이자 해군 제독인 킬리언 마크햄과 부하들의 공격을 받아 모두 참혹하게 살해당했습니다.  


그리고 10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 킬리언 마크햄은 총독이 되어 여왕으로부터 모종의 임무를 받고 신세계의 개척을 위한 항해를 떠나려 하고 있습니다.


 자신에게 허용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음을 깨달은 에벌리 도노번은 아버지가 남긴 유일한 유품인 칼을 품고 복수를 결심하고 전설의 섬으로 떠납니다.


‘내가 브로건 도노번의 딸, 에벌리 도노번이다!’



그리고 또 한 남자, 재미슨 캘러한 대위는 마크햄 총독에게 충성을 바치는 해군 장교이지만 에벌리 도노번이 자꾸 눈에 들어옵니다. 



에밀리 킹은 칼린다에 이어 또다시 매력적이며 멋진 케릭터 에벌리를 창조하여 흥미로운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주는데 성공하였습니다. 백 번째 여왕에 이은 ‘에버모어 연대기’ 역시 후속작을 기다릴 가치가 충분한 작품이 될 것 같습니다.



덧붙이는 말 : ‘에버모어 연대기’ 2부인 “모래 시계 속으로”는 벌써 출간되었군요!


#별이부서지기전에, #에밀리킹, #윤동준, #에이치, #에버모어연대기, #백번째여왕작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