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의 역습 - 금리는 어떻게 부의 질서를 뒤흔드는가
에드워드 챈슬러 지음, 임상훈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리(金利). 우리 삶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경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물가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경기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또한 기준 금리는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본주의 경제 제도 하에서 살아가는 보통 사람들도 굉장히 관심을 갖는 부분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한 나라의 기준 금리는 자국 화폐의 가치, 즉 환율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제 전반에 필요한 돈의 흐름을 통제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앙은행은 금리와 통화량을 조절하는 것을 도구로 삼습니다.



금리, 즉 돈에 대한 시간적 가치를 의미하지만 현대에서는 통화 정책 등을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에 읽은 “금리의 역습 (에드워드 챈슬러 著, 임상훈 譯, 위즈덤하우스, 원제 : The Price of Time: The Real Story of Interest)”는 이러한 금리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는 책입니다. 




이자에 대한 논쟁은 역사가 깊습니다. 어떤 문화권에서는 이자를 금지하고 있기도 하고, 예로부터 높은 금리로 이자를 받아내는 것을 고리대금이라 하여 금기시 하기도 했습니다. 어떤 정치인은 이자는 도둑질이라고 표현하기도 하고, 불평등과 가난의 원인이라 진단하기도 했지요. 하지만 이런 논쟁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유사 이래로 이자라는 개념을 받아들였고 현대에는 거래와 정책의 주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21세기에는 거의 0에 가까운 금리가 가능한 시대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일본이나 유럽은 마이너스 금리라는 과거에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이자율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엔데믹으로 전환하기 시작하면서 각국들이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초저금리 시대가 드디어 끝나기 시작한 것입니다. 사실 팬데믹 기간 동안 많은 국가들이 양적 완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유동 자금의 양이 매우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 하에서 금리를 올리지 않고 늘어난 통화량을 그대로 유지했었는데 이제 통화량 조절을 시작한 것입니다. 최근 빅 스텝(Big Step)이니 자이언트 스텝 (Giant Step)이니 하면서 언론에 오르내리는 용어가 바로 그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시장에 풀린 돈의 양이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줄어들 때까지 당분간 이 기조는 지속될 것이라 전문가들은 진단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금리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그 역사적 증거들은 무엇이 있는지를 탄탄한 이론적 바탕 하에서 사례 중심으로 알려주는 책입니다.  우리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금리가 어떤 역사를 거쳐 왔고, 어떤 이론적 바탕 하에서 논쟁을 이어 왔는지, 그리고 지금 우리가 영위하는 경제와 미래의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이해하고 싶은 분들에게 이 책, “금리의 역습”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금리의역습 #에드워드챈슬러 #임상훈 #위즈덤하우스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희망의 끈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가시노 게이고 (東野圭吾)의 신작이 나왔습니다. “희망의 끈 (히가시노 게이고 著, 김난주 譯, 재인, 원제 : 希望の絲)”입니다.


‘원한? 금전? 치정?’

동기가 무엇일까?



메구로구 지유가오카에 있는 카페에서 살해당한 여성이 발견되었습니다. 

‘하나즈카 야요이’



경시청 소속 마츠미야 슈헤이는 피해자의 주변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수사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점차 밝혀져 가는 진실. 


그리고 마츠미야는 자신도 몰랐던 비밀에도 접근하게 됩니다.  



1년에 2-3편 이상의 작품이 번역되어 출간되는 다작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범작으로 평가받는 작품마저 기본적인 재미는 보장하는 작가이지요.  장르와 소재의 다양성은 다른 작가들이 범접할 수 있는 그 만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작품마다 새로운 느낌을 주는 작가입니다. 



또한 그의 작품 중 유독 시리즈물이 많은데 가가 교이치로 (加賀 恭一郎) 시리즈는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와 함께 히가시노 게이고 브랜드의 대표 시리즈로 평가받기도 합니다.





특히 가가 형사는 ‘관계’에 중심을 두어 수사를 하는데 가가 형사가 가진 특유의 매력으로 인해 히가시노 게이고의 수많은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 중 가장 인기 있는 캐릭터로 평가받기도 합니다. 지난 2019년 “기도의 막이 내릴 때 (김난주 譯, 재인, 원제 : 祈りの幕が下りる時)”를 통해 가가 시리즈의 ‘막’이 내려져 팬들의 많은 아쉬움을 산 적이 있는데 이번 작품 “희망의 끈”을 통해 다시 이 매력적인 캐릭터, 가가의 모습을 작품에서 볼 수 있어 반가운 마음 뿐이었습니다. 다만 이번 작품의 주인공은 가가 교이치로가 아니라 가가 형사의 사촌 동생인 마츠미야 슈헤이 (松宮脩平)라 볼 수 있습니다. 일본 위키 상에 본 작품이 가가 시리즈가 아니라 논 시리즈 (non series)로 분류된 이유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 젊은 형사의 이야기도 이미 가가 시리즈를 통해 팬들에게 충분히 빌드업되어 왔기 때문에 이야기에 몰입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 금새 이야기에 빠져들지요. 단 한 편의 이야기로 끝내기에는 마츠미야의 캐릭터성도 만만치 않습니다. 






새로운 시리즈의 탄생이냐, 아니면 가가 형사의 팬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1회성 스핀오프로 끝나느냐는 다음 작품을 기다려 봐야 알 것 같습니다. 



#희망의끈 #히가시노게이고 #김난주 #재인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금리의 역습 - 금리는 어떻게 부의 질서를 뒤흔드는가
에드워드 챈슬러 지음, 임상훈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의 가격. 금리는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유신 그리고 유신 - 야수의 연대기
홍대선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2년 12월
평점 :
절판


딴지일보 시절부터 특유의 매력적인 글쓰기로 독자들을 사로잡았던 홍대선 작가가 돌아왔습니다. 

“유신 그리고 유신 : 야수의 연대기 (홍대선 著, 메디치미디어)”가 바로 그 저작입니다. 


사실 돌아왔다는 말은 어폐가 좀 있습니다. 사실 홍대선 작가는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 (푸른숲)”이나 “1미터 개인의 간격 (추수밭)”처럼 교양 철학 에세이를 통해 꾸준히 집필을 이어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워낙 “테무진 to the 칸 (생각비행)”의 임팩트가 큰 작가이다 보니 워낙 오랜만에 신작을 낸 것처럼 느껴집니다. 


“테무진 to the 칸”의 주인공은 칭기스칸으로 잘 알려진 테무진의 일대기를 다뤘다면 이번 책의 주인공은 바로 ‘유신’입니다. 

유신 (維新). 사전적 의미로는 낡은 제도를 고쳐 새롭게 한다는 것을 뜻하며, 사서오경인 시경(詩經), 서경(書經), 대학(大學) 등에 나오는 표현으로 동아시아권에서는 위로부터의 개혁을 의미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보다 익숙하게 다가온 것은 바로 일본의 메이지 유신 (明治維新)부터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박정희 독재 정권의 연장을 꾀했던 10월 유신에서도 차용되기도 했습니다.


홍대선 작가는 이 유신에 대해 흥미로운 관점을 제기합니다. 유신의 씨앗을 1274년, 여몽연합군의 일본 침공부터라 보고 있는 것입니다. 

저자의 관점에 의하면 몽골제국 (이후 원 제국)은 어느 순간부터 전쟁을 통한 정복이 하나의 숙명이자 사명이라는 ‘관념’이 되어버립니다. 이러한 관념은 의도적이지 않지만, 결국에는 의도를 만들어내죠. 원 제국의 일본 침략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일본을 정복해도 이득이 전혀 없지만 관념이 실리를 극복하게 됩니다. 결국 여몽연합군은 일본을 침략했고, 일본이라는 하나의 폐쇄된 세계는 큰 충격을 받게 됩니다. 세계정복전쟁을 수행하던 몽골군, 그 몽골군과 30년 동안 전쟁을 이어온 고려군의 세계 최고 수준의 전술과 숙련도에 속수무책이었던 일본군의 싸움은 전쟁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상대도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쓰시마, 이키, 후쿠오카 등 파죽지세로 밀고 들어오는 여몽연합군을 일본은 막아낼 수 없었습니다. 

단 하루, 새벽 사이에 몰아친 대폭풍, 카미가제(神風)가 아니었다면 전쟁은 그대로 끝날 수도 있었습니다. 침공군의 전선 상당수가 침몰하고 지휘체계를 상실한 연합군은 철수 밖에 선택지가 남아있지 않았습니다. 


저자에 따르면 이후 일본에는 신토사상 (神土思想)과 무쿠리고쿠리 (むくりこくり, 蒙古軍高麗軍)라는 두가지 흥미로운 개념이 등장합니다. 또한 저자는 이후 두 사상은 정한론으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합니다. 그리고 유신은 일본과 한국의 근현대사를 결정 짓는 키워드 중 하나가 됩니다.  




#유신그리고유신 #야수의연대기 #홍대선 #메디치미디어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가까운 세계와 먼 우리 안전가옥 FIC-PICK 4
이경희.전삼혜.임태운 지음 / 안전가옥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까운 세계와 먼 우리 (이경희, 전삼혜, 임태운 共著, 안전가옥)”를 읽었습니다.


이 작품집은 몇 년 전부터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메타버스를 다룬 SF 중단편 엔솔로지입니다. 


(멀티 레이어)

평생보다 긴 시간을 수많은 레이어로 구성된 메타버스 안의 가상 세계에 살아가는 인간들. 그들의 본체는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수면 박스에 갇힌 채입니다. 100년의 시간이 지나 로그아웃을 주장하는 혁명단과 운영진의 대결에 끼어들 수 밖에 없었던 ‘정민’. 

혁명은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그리고 다시 혁명을 꿈꾸는 사람들. 그들은 정민을 설득하려 합니다. 


이경희 작가 특유의 속도감과 함께 세계관 묘사가 발군인 작품입니다. 



(구여친 연대)

‘와이낫’ 메타버스로 구축된 이 전시장은 많은 예술인들의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저렴한 임대료로 자신의 작품을 얼마든지 전시할 수 있습니다. 관람객 역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미현이 유리의 연락을 받자마자 떠올린 것은 바로 기나긴 인연. 

‘이거 언니 맞음.’

그리고 소환되는 구 남친. 맞습니다. 유리와 공유하는 것은 바로 구 남친입니다.


전삼혜 작가의 이 이야기는 진한 현실감과 함께 보여주는 평범함의 의외성이 돋보입니다.



메타버스라는 개념은 사실 새로운 개념은 아닙니다만 비대면 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써의 가능성에 대한 주목을 받으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 어떤 개념도 자본주의의 세례에서 벗어나 있을 수는 없어서 일까요? 최근의 메타버스는 높아진 관심도에 반해 닐 스티븐슨이 처음 묘사한 개념과 비교해보면 그 개념적 범위가 협소해지고 한정적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작가들이 마주하는 현실 때문일까요? 많은 작가들이 구축하는 많은 세계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이경희, 전삼혜, 임태운 등 작가들은 SF라는 장르가 가진 특징을 십분 발휘하여 메타버스의 개념적 확장을 이루어냅니다. 무한히 많은 레이어를 가진 가상 공간으로써, 추억의 공간으로 말이지요.  


#가까운세계와먼우리 #안전가옥 #이경희 #전삼혜 #임태운 #몽실북클럽 #몽실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