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 일본 원자력 발전의 수상한 역사와 후쿠시마 대재앙
앤드류 레더바로우 지음, 안혜림 옮김 / 브레인스토어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1년 3월, 우리는 충격적인 뉴스를 접하게 됩니다.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여파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가 셧다운 되었고, 이어진 쓰나미로 인해 전력 설비가 마비되면서 냉각 장치가 정지되었다는 뉴스였습니다. 이어진 뉴스는 수소 폭발이 발생하였고 원자로가 파손되었다는 것이었고, 결국 노심 용융이 발생했다는 뉴스도 듣게 됩니다.

이후 10년이 넘는 세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방사능 오염 문제, 오염수 방류 문제 등 현재 진행형인 사고가 바로 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입니다. 과거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체르노빌 원전 사고와 달리 후쿠마 원전 사고의 경우는 바로 이웃 나라에서 벌어진 사고여서인지, 아니면 여전히 기억이 생생해서인지 후쿠시마라는 지역이 나오면 귀가 솔깃해지기도 합니다. 


“후쿠시마 (앤드류 레더바로우 著, 안혜림 譯, 브레인스토어, 원제 : Melting Sun: The History of Nuclear Power in Japan and the Disaster at Fukushima Daiichi)”는 일본 원자력 발전 역사와 더불어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맥락을 살피는 책입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원인이 된 동일본 대지진은 지구의 자전축을 이동시킬 만큼 강력한 지진이었음은 틀림 없습니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단순한 자연재해로만 보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 저자의 견해입니다. 충분히 막을 수 있었지만 10여 년이 지난 지금에까지 영향을 미친 사고로 이어진 그에 대한 일련의 허술한 대처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인재일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특히 저자는 일본 내에서도 사고에 대한 경고가 잇달아 일어났지만 일본 특유의 관료 문화로 인해 실질적인 대처보다는 희생양을 내세우거나 은폐하는 방향으로 대책이 강구되었음을 지적합니다. 


실제로 후쿠시마 원전이 사고가 발생했을 때 차폐 등에 실패할 확률이 높다는 것은 이미 사고 발생 전부터 지적되었던 문제였습니다. 1986년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에서는 후쿠시마 제1발전소에 설치된 비등수형 원자로에 대해 설계 압력이 낮아 사고에서 차폐에 실패할 확률이 무려 90%에 달할 것이라는 경고를 한 적도 있습니다. 또한 후쿠시마 원전은 재순환 펌프 오작동으로 인한 원자로 중지, 비정상적 진동 경고 등 동일본 대지진 이전에도 크고 작은 사고에 시달리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경고를 도쿄전력은 무시했고, 결국 경고처럼 후쿠시마 원전은 사고를 일으키게 됩니다. 



얼마 전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다룬 “최전선의 사람들 (가타야마 나쓰코 著, 이언숙 譯, 푸른숲, 원제 : ふくしま原発作業員日誌 イチエフの真実、9年間の記録)”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이 책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라는 거대한 재난의 최일선에서 복구에 동원된 노동자의 삶에 대한 기록이라면 이번에 읽은 “후쿠시마”는 일본의 원전에 대한 집착을 역사적으로 살펴봄과 동시에 일본 특유의 관료 문화와 시스템을 배경으로 살피면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인재일 수 밖에 없음을 통사적으로, 그리고 거시적으로 살펴보는 책으로 상호 보완적인 독서가 되었습니다. 


저자인 앤드류 레더바로우 (Andrew Leatherbarrow)는 전작 “체르노빌 (안혜림 譯, 브레인스토어, 원제 : Chernobyl 01:23:40: The Incredible True Story of the World's Worst Nuclear Disaster )”을 통해 국내에도 이미 소개된 바 있는 작가로 HBO TV 드라마인 ‘체르노빌’의 촬영 자문을 맡기도 한 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후쿠시마 #앤드류레더바로우 #안혜림 #브레인스토어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권력 - 매혹하고 행동하고 저항하는 동물의 힘
남종영 지음 / 북트리거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물권력 (남종영 著, 북트리거)”을 읽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비인간동물님들! (북트리거)”과 “잘 있어, 생선은 고마웠어 (한겨레출판)”을 통해 잘 알려진 환경 전문 작가입니다. 특히 남방돌고래 제돌이 방사 프로젝트 관련한 기사로도 유명한 분이지요.




“동물권력”은 인간과 동물 간의 관계를 꽤나 긴 시간 동안의 역사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데 유사 이전부터 현대까지 통사적으로 다루고 있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데 특히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바라보는 독특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동물을 지배하는 인간의 행위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근대 이후 동물도 권리를 가진 주체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면서 이의 성장을 다루고 있는 부분도 역시 흥미롭습니다.


인간과 인간이 아닌 동물, 즉 비인간동물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과거에는 도구, 언어 사용 유무 등을 이야기했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들만의 언어 체계를 가지고 있는 동물들도 발견하게 되고,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들도 찾아내게 되면서부터는 자의식의 유무를 이야기하더군요. 하지만 우리는 거울 실험을 통해 자의식을 가지고 있는 동물들이 매우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떤 과학자는 동물들이 자의식을 가졌는지를 확인하는데 거울 실험은 불완전하다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시력이 아주 안좋은 동물의 경우 거울 실험을 통해 자의식 유무를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어찌되었건 과학이 발달하면서 우리가 동물에 대해 더 알아갈수록 인간과 비인간동물의 차이는 점차 모호해지는 것 역시 사실입니다. 과거 인류는 동물을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기계에 불과하다 생각했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방법론으로써 회의론을 주장하며 근대 철학의 시대를 연 데카르트 (René Descartes) 조차 동물을 움직이는 기계라 생각했을 정도이니, 그 이전 시대의 사람들은 동물이라는 존재를 얼마나 하찮게 여겼을지 짐작이 갑니다.  하지만 과학이 발전하고, 우리가 살아가는 생태계의 이웃이자 동반자인 동물에 대한 이해가 넓어질 수록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오만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계를 설정할 필요와 도덕적 의무가 생겨났습니다. 


이 책, “동물권력”은 동물권이라는 개념이 싹트고 지금까지 자라온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갈 길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었습니다. 아직은 동물이라는 존재의 권리에 대한 인류의 의식은 희박합니다. 하지만 이런 의식의 싹은 이 책, “동물권력” 같이 관점을 새롭게 하는 책들을 통해 더욱 가꿔지고 자라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동물권력 #남종영 #북트리거 #리뷰어스클럽 #인문에세이 #생명과학 #동물정치 #동물권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3차 세계대전은 이미 시작되었다
에마뉘엘 토드 지음, 김종완.김화영 옮김 / 피플사이언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청 - 잃어버린 도시
위화 지음, 문현선 옮김 / 푸른숲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장의 신작을 동시대에 만날 수 있다는 것은 행운인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권력 - 매혹하고 행동하고 저항하는 동물의 힘
남종영 지음 / 북트리거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흥미로운 접근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