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초록을 내일이라 부를 때 - 40년 동안 숲우듬지에 오른 여성 과학자 이야기
마거릿 D. 로우먼 지음, 김주희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우듬지. 숲 꼭대기 쪽의 나무 줄기나 가지를 의미합니다. 나무 하층부만 관찰하여 추정하던 과학계의 관습을 벗어나 나무의 95%에 해당하는 이곳을 처음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마거릿 D. 로우먼 (Margaret D. Lowman)입니다. 마거릿 D. 로우먼은 나무를 아래에서 위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 아래를 바라보면서 나무와 숲의 생태를 연구해야겠다는 발상의 전환을 이루어냈고, 미개척지이던 숲우둠지를 과학의 범주 안에 끌어들인 장본인입니다. 

그녀는 자신의 이름과는 다르게 나무 높은 곳을 연구하기 위해 그녀는 만삭의 몸으로 나무 꼭대기에 올랐고, 그곳에서 아이를 양육하면서 학문의 길도 걸었습니다. 또한 그녀는 숲우둠지 통로(공중보행통로)를 만들어 동료 학자나 후배 학자들의 연구의 길을 터주기도 했지요. 미개척지를 개척한 탐험가이자 과학자, 그리고 엄마로서의 삶을 다룬 책이 나왔습니다.


“우리가 초록을 내일이라 부를 때 (마거릿 D. 로우먼 著, 김주희 譯, 흐름출판, 원제 : The Arbornaut: A Life Discovering the Eighth Continent in the Trees Above Us )”가 바로 그 책입니다. 





처음 나무에 올라 숲우듬지를 연구하기 시작할 무렵 마거릿은 스스로에게 나무탐험가 (arbornaut)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그리고 숲 하부에서 보지 못했던 수많은 생물들과 만나게 되죠. 또한 나무 역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상상도 할 수 없었던 변화를 보여주었다고 책에서 밝히고 있습니다. 연구가 지속될수록 숲우둠지는 단순히 나무의 상층부가 아니라 생물 다양성의 보고라는 사실을 밝혀냅니다. 심지어 지구 생물 중 절반 이상이 지표면이 아닌 우리 머리 위 최소 30미터 이상 높은 곳인 나무 상층부, 즉 숲우둠지에서 생태계를 이루어 살고 있다는 사실도 알아냅니다. 



마거릿의 전작 “오늘도 나무에 오릅니다 (유시주 譯, 눌와, 원제 : Life in the treetops)”에서는 여성 과학자와 어머니로서의 삶이 주로 다루어졌다면 이번에 읽은 “우리가 초록을 내일이라 부를 때”는 자연, 생태계와 인간이라는 주제가 보다 도드라집니다. 



이 책에서 마거릿은 인간이 포함된 생태계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 숲이 담당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산소를 생산하고, 물을 여과하고, 햇빛을 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뿐만 아니라 생명의 유전자 도서관이 자리하는 곳이 바로 숲이라는 것이죠. 하지만 인간의 파괴 행위로 인해 숲은 지금 그 기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심지어 어떤 지역에서는 숲을 조성할 일차림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지경에까지 이르기도 했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길가의 야생화를 모아 수집하던 시골 소녀가 생물학에 관심을 갖고, 숲에 대한 관심을 키우며, 드디어 나무에 올라가 수십 년을 연구하게 된 여정을 함께 하다 보면 숲이 얼마나 우리에게 필요한 존재인지 알게 됩니다. 또한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진행하는 파괴행위는 돌이킬 수 없는 파국으로 가는 길이라는 사실도 함께 깨닫게 되지요. 




#우리가초록을내일이라부를때, #마거릿D로우먼 #김주희, #흐름출판,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 끝을 향한 경주 - 남극으로 떠난 네 명의 위대한 탐험가 생각하는 돌 26
리베카 E. F. 버론 지음, 김충선 옮김 / 돌베개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문센과 스콧의 양 극점을 향한 경쟁은 어렸을 적부터 자주 접해오던 경쟁 서사입니다. 하지만 100 여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후 콜린 오브레이디 (Colin O'Brady)와 루 러드 (Louis Rudd)라는 또 다른 모험가들에 의한 경쟁이 시작됩니다.  


“세상 끝을 향한 경주 (리베카 E. F. 버론 著, 김충선 譯, 돌베개, 원제 : Race to the Bottom of the Earth: Surviving Antarctica )는 남극에서 벌어지는 두 경쟁을 흥미롭게 서술하고 있는 책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최초’만을 강조하지만 그 최초를 이룩하기 위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도전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최초의 성공 뿐 아니라 그 성공을 만들기 위해 쌓아온 도전 역시 그만큼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보여줍니다. 


100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간에게는 극복하기 힘든 적대적인 환경에서 시대가 다르기에 도전하는 방식도 다를 수 밖에 없지만 모험을 하는 두 그룹의 경쟁자들의 이야기를 책은 한 사람을 주인공으로 삼아 일방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아문센, 스콧, 오브레이디, 러드 모두를 아울러 서술함으로써 더욱 긴장감 넘치는 극지 탐험의 세계를 보여주듯이 흥미진진하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비극으로 끝난 첫번째 그룹의 경쟁과 비극으로 시작한 두번째 그룹의 경쟁의 명백한 대비도 흥미로웠짐나 무엇보다 흥미로운 점은 두 그룹의 경쟁 모두 누군가 의도하거나, 만들어낸 것이 아닌 우연의 소산이었다는 점입니다.  이 책은 분명 논픽션입니다. 하지만 소설 같은 문학 작품에 비견될 만큼 풍부한 서사와 탄탄한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모험을 떠나 본 게 언제인가?’


어떤 게임의 광고 카피입니다. 

모험과 탐험. 마음을 두근거리게 만드는 마법의 단어입니다. 아프리카에서 처음 나타나 지구에 있는 대부분의 대륙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류에게 모험과 탐험은 유전자 깊이 각인된 본능과도 같다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데이비드 리빙스턴(David Livingstone, 1813~1873), 로알 아문센 (Roald Amundsen, 1872~1928), 로버트 스콧 (Robert Scott, 1868~1912), 어니스트 섀클턴 (Ernest Shackleton, 1874~1922), 에드먼드 힐러리 (Edmund Hillary, 1919~2008), 텐징 노르가이 (Tenzing Norgay, 1914~1986) 등 쟁쟁한 탐험가들의 이름은 그래서 더욱 찬란하게 빛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두 이름, 콜린 오브레이디 (Colin O'Brady)와 루 러드 (Louis Rudd)을 기억에 담아두게 된 독서가 되었습니다. 








#세상끝을향한경주 #리베카EF버론, #김충선, #돌베개,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하행성서비스센터, 정상 영업합니다 네오픽션 ON시리즈 4
곽재식 지음 / 네오픽션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은하행성 서비스센터, 정상 영업합니다 (곽재식 著, 네오픽션)”을 읽었습니다.




곽재식 작가의 팬이라면 제목에서부터 어떤 시리즈인지 감이 오실 것 같습니다. 바로 ‘미영과 양식’ 시리즈입니다. 

웹진이나 지면을 통해 발표되는 곽재식 작가의 작품 중 몇 안되는 시리즈물인데다 SF적 상상력이 돋보여 좋아하는 시리즈입니다. 초기작 세 편을 엮은 “은하수 풍경의 효과적 공유 (에픽로그)”를 통해 처음 출간되었고, 웹진 등에 발표한 작품을 묶은 증보판인 “ㅁㅇㅇㅅ (아직)”이 출간되기도 했던 시리즈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읽은 “은하행성 서비스센터, 정상 영업합니다”는 ‘독서평설’에 1년 간 연재하였던 시리즈를 묶어 출간한 것인데 역시 곽재식 작가 특유의 유머와 더불어 미영과 양식, 두 주인공이 캐릭터성이 잘 버무려진 작품이라 할 수 있겠네요.


언제나 그렇듯이 회사의 설립 목적과는 맞지 않은 돈벌이를 따라 우주 곳곳을 누비고 다니는 미영과 양식. 


철통 행성 이야기 하나를 들어볼까요?


미영과 양식은 중요한 소식을 알리러 철통 행성에 방문합니다. 곧 소행성이 충돌해 행성 자체가 파괴된다는 경고가 바로 그 소식입니다. 상식적으로는 소행성 충돌에 대비한 방어 체계를 구축하거나 아니면 최소한 대피라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소행성 위험 안내자료를 담은 저장장치와 종이책 검역을 쓸데없이 길게 하다 결국 소행성 하나와 충돌하게 됩니다. 다행히 이번 소행성은 큰 게 아니라 작은 것이었지만 사람들이 다쳤습니다. 그런데 이 행성에서는 여전히 소행성 충돌 대비에 힘을 쓰는 게 아니라 천문 연구원을 처벌하려고 합니다. 야구나 볼 수 있는 쌍안경 정도의 장비만 지급헀던 바로 그 연구원들을요.

결국 미영과 양식이 가져간 소행성 위험 안내자료는 중복 규정 위반에 걸려 수령을 거부당합니다.


하지만 행성 사람들은 자신만만합니다. 소행성 충돌에 대비한 법을 만들었거든요. 이제 연구원들 처벌 규정을 강화해서 자신 만만해 합니다. 


이 작품집에는 모두 12행성을 방문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런데 읽다 보면 이건 공간 도약 기술로 은하를 넘어 우주 곳곳을 다니는 미래 이야기가 아닌 바로 지금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현실의 이야기처럼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은하행성서비스센터정상영업합니다 #곽재식 #네오픽션 #미영양식 #이북카페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대받지 않은 형제들
아민 말루프 지음, 장소미 옮김 / ㈜소미미디어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대받지 않은 형제들 (아민 말루프 著, 장소미 譯, 소미미디어, 원제 : Nos freres inattendu)”을 읽었습니다.




저자는 아민 말루프 (Amin Maalouf)로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출생한 프랑스 작가로 “사마르칸드 (이원희 譯, 정신세계사, 원제 : Samarkand), “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 (김미선 譯, 아침이슬, 원제 : Les croisades vues par les Arabes)”, “동방의 항구들 (박선주 譯, , 원제 : Les Echelles Du Levant)” 등의 작품으로도 우리나라에 잘 알려져 있기도 하고, “타니오스의 바위 (이원희 譯, 정신세계사, 원제 : Rocher de tanios)”로 1993년 공쿠르 상을 수상하기도 하여 문명(文名)이 높은 작가입니다.  




‘무슨 일이지? 무슨 일이 일어난거지?

불현듯, 이해되었다. 적어도 알 것 같다고 느꼈다.’


라디오도, 전화도 모든 것이 먹통이 되었습니다.


‘감히 일을 벌였어.’


천재지변이 아니라 인간의 손으로 자행된 갑작스런 세상의 종말. 우리 종족 최후의 만행. 마침내 핵전쟁이 일어났을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니었습니다.

인류를 피해 생존하던 ‘엠페도클레스의 친구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지구적 네트워크를 차단하면서 블랙아웃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들은 현생 인류보다 훨씬 높은 문명 수준과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능력을 통해 인류의 갈등과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제안합니다. 

사람들이 앞다투어 그들의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세계는 더 이상 과거의 세계가 아니게 됩니다. 이제 병이 없어진 세상, 그리고 영생에 가까운 삶을 누리는 인류. 세계는 심지어 핵전쟁의 위협으로부터도 자유롭습니다. 자 이제 모든 삶이 행복해져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정말 행복할까요?


이번에 읽은 “초대받지 않은 형제들”은 디스토피아적 세계를 다룬 전형적인 SF 소설입니다. 아민 말루프가 소설로 공쿠르 상을 수상한 소설가이기는 하지만 ‘“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 등 역사 논픽션으로도 유명한 작가이기에 SF와 같은 장르소설을 썼다는 점에서 일단 놀랐습니다.

저자의 메시지는 흥미롭습니다. 하지만 그것 뿐입니다. 메시지를 담은 그릇과 메시지를 표현하고자 하는 고명이 어울리지가 않습니다. 장르문학은 그것만의 문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4-50년 전에 유행하던, 지금은 내 체형에도 맞지 않는 옷을 입은 듯 삐걱거리는 느낌에 메시지를 담을 그릇을 잘못 선택한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초대받지않은형제들, #아민말루프, #장소미, #소미미디어,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핀치 오브 매직 3 : 펜들윅의 마녀들 핀치 오브 매직 3
미셀 해리슨 지음, 김래경 옮김 / 위니더북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출간되는 판타지 시리즈 중에 ‘핀치 오브 매직 (A Pinch of Magic)’이 있습니다. ‘13가지 보물’시리즈를 통해 데뷔한 영국 출신의 아동 및 청소년 소설 작가인 미셀 해리슨(Michelle Harrison)이 집필 중인 시리즈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올 초에 처음 출간되었는데 벌써 3권이 나왔습니다. “핀치 오브 매직 3 : 펜들윅의 마녀들 (미셀 해리슨 著, 김래경 譯, 위니더북, 원제 : A Tangle of Spells)”가 바로 그 책입니다. 




자매들은 위더신즈 가문에 내려진 저주에 대해 알게 되고, 할머니에게 받은 ‘마법 한 줌’이라 불리우는 물건 세 개와 함께 모험은 시작됩니다. 집안의 수많은 여자들이 이 저주에 목숨을 잃었지만, 용기를 잃지 않는 세 자매. 과거의 역사는 과거일 뿐. 자매들에게 모험은 언제나 새로운 것입니다. 저주에 굴하지 않는 자매들은 그 모험의 끝에서 드디어 오랜 기간 이어져온 저주를 깨뜨립니다. 

저주가 사라져 이제 자매들은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이내 자매 중 하나인 찰리는 납치 당합니다. 언제나 담대한 자매들은 비밀의 섬을 향해 다시 모험을 시작할 때입니다. 지도에도 없는 그 섬으로. 


‘모험은 담대한 자를 기다린다!’


이제 자매들은 섬을 떠납니다. 바람소리도, 배관에서 나는 소리도 작별인사 같습니다. 눈물이 나지만 새로운 곳에서의 삶이 설레기도 합니다. 이게 다 스스로 저주를 깨뜨렸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짧은 평생이나마 이 곳을 떠나기를 바랬는데 드디어 떠날 수 있다니 믿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새롭게 정착하고자 하는 집은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삐딱하고 당장 무너질 것만 같습니다. 마녀가 살고 있을 것만 같습니다. 아니 이 집에서 마녀가 죽었다 해도 믿을 판입니다. 이백 년 전에 지어진 집이랍니다. 맙소사. 

아니, 알고 보니 집이 문제가 아닙니다. 마을 전체가 문제였습니다. 자매들에게는 항상 모험이 따라다니는 법. 이제 자매들은 새로운 저주를 깨뜨려야 합니다. 


한 권의 책이 끝났을 때 미셀 해리슨이 만든 세계에 다시 돌아오고 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 미셀이 펼쳐내는 ‘핀치 오브 매직’의 이야기는 지루할 틈이 없이 바로 바로 시작되고 이어집니다.  이제 익숙했던 섬을 떠나 새로운 곳에서 모험을 시작하는 위더신즈 자매들은 여전히 살아있는 듯 생생하고, ‘마법  한 줌’의 세계는 짜임새 있는 세계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세계관 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독자로 하여금 오싹하고 즐거운 경험을 맛보게 만듭니다. 매력적이면서도 생생한 캐릭터, 훌륭한 세계관과 더불어 흥미진진한 이야기 구조 등은 이 작품에 빠져들게 하기에 충분합니다. 아이들이 읽을 책이라 선입견을 가지고 읽기 시작했지만 아이들과 함께 팬이 되어버리게 만든 ‘핀치 오브 매직’. 이제 4권을 기다릴 수 밖에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