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은 왜 죽는가
고바야시 다케히코 지음, 김진아 옮김 / 허클베리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 노화. 인류가 나타난 이래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 중 하나는 바로 불로불사였습니다. 영원히 늙지 않고, 죽지 않는 것. 아마도 필멸의 생명체가 영원히 도달할 수 없을 것 같은 그 경지를 희구하는 것은 당연할지 모릅니다. 그렇기에 신, 신선 같은 불멸의 존재를 갈구하고 있을지도요. 



오랜 기간 동안 불로와 불사는 상상의 개념이었고, 종교나 철학의 영역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와서는 죽음과 노화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면서 일정 부분 이에 대한 비밀도 과학에 의해 밝혀지고 있습니다. 



“생물은 왜 죽는가 (고바야시 다케히코 著, 김진아 譯, 허클베리북스, 원제 : 生物はなぜ死ぬのか)”는 노화연구의 최전선에 선 연구자가 쓴 생물학 대중과학서적입니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왜 우리는 죽어야만 하는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통해 생물학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에 대해 알려주면서 생물이 죽음으로 맞이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생물의 구조는 우연이 필연으로 전환됨으로써 존재하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은 진화의 결과물입니다. 현재 우리가 만나는 모든 생물은 바로 최종 진화체인 것입니다. 바로 우연과 필연의 이유가 존재하는 것이지요. 



우리가 죽음을 이야기하면 일반적으로 한 개체의 생명이 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놓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종 전체의 죽음, 바로 멸종입니다. 


종 전체의 죽음이 생명계 대부분에서 나타나는 것을 바로 대멸종이라고 합니다. 과학자들은 지구에 생명이 탄생한 38~40억년 전부터 지금까지 모두 다섯 번의 대멸종이 있었다고 추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바로 이 순간 여섯 번째 대멸종이 진행되고 있다고도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맞이하는 대멸종은 운석의 충돌이나 지질학적 대변동, 혹은 우주에서 날아온 감마선 따위에 의해 일어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인간에 의해 저질러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더구나 우리가 저지르고 있는 여섯 번째 대멸종은 지구사적으로 보더라도 유래없이 빠른 속도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지구 상에 존재하고 있는 약 8000만 종의 동식물 중 적어도 100만 종은 앞으로 수십 년 내에 멸종할 수 있다고 IPBES에서는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 중 우리도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죽음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일까요? 소중한 사람들과의 이별, 살아 남은 자들의 추모, 기억, 영원한 단절.


하지만 생명체의 죽음은 피할 수 없는 것이며, 그 자체로 생명활동의 일부입니다. 그렇기에 죽음을 이해하려면 생명과 생태계를 이해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그 이해로 가는 길에 좋은 가이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물은왜죽는가, #고바야시다케히코, #김진아, #허클베리북스, #과학,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빌런의 공식 - 욕하면서 끌리는 마성의 악당 만들기 어차피 작품은 캐릭터다 1
사샤 블랙 지음, 정지현 옮김 / 윌북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을 읽거나 영화를 보다 보면 캐릭터들이 흥미로울 경우 이야기에 몰입하기가 쉬워집니다. 작품을 훨씬 재미있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게 되죠.

주인공도 중요하지만 반동인물 (反動人物 / antagonist )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아니 어쩌면 주인공보다 반동인물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해야 이야기의 흥미가 더욱 배가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슈퍼맨의 경우 그 강력한 힘에 대항할 자가 없습니다. 만약 슈퍼맨에 대항하기 위한 반동인물을 구상할 경우 그와 유사한 힘을 가진 존재를 상정할 경우 단순히 파워 대결로 흐를 가능성이 높아 이야기가 지루해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렉스 루터의 존재는 독특하면서 흥미로운 대결의 관점을 제공해줍니다. 렉스 루터는 천재적인 두뇌를 가진 악당입니다. 또한 흥미로운 개인사 역시 가지고 있지요. 하지만 중요한 점은 그는 슈퍼맨과 비교하면 형편 없는 육체적 힘을 가진 보통 사람입니다. 빌런일지언정 슈퍼빌런조차 아닌 존재이지요. 하지만 그는 자신이 가진 역량과 강점, 그리고 슈퍼맨의 약점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슈퍼맨을 죽음에 이를 정도의 활약을 펼칩니다. 신적 존재를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는 보통 사람의 존재. 이런 스토리가 이야기에 힘을 가지게 합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MCU (Marvel Cinematic Universe)에서의 타노스는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존재입니다. 그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가 상영되는 동안 주동인물(主動人物, protagonist)들에 비해 월등한 힘의 우위를 과시합니다. 하지만 그가 매력적인 것은 단순한 힘 때문만은 아닙니다. 그가 가진 사상, 그리고 (일련의 순례 행위처럼 보이는) 그 사상을 구도하는 자세로 수행하는 그의 행적 때문입니다. 


이렇듯 매력적인 반동인물은 이야기 전체의 매력을 올리기 마련입니다. “빌런의 공식 (사샤 블랙 著, 정지현 譯, 윌북, 원제 : 13 Steps to Evil: How to Craft Superbad Villains)”은 이렇듯 매력적인 빌런의 캐릭터 아크를 형성하고 서사를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작법서입니다. 




저자는 히어로보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빌런이라 단언합니다. 물론 이야기 전체를 이끌어나가는 주인공이 중요하겠지만 이야기는 갈등이 중심 축이 되므로 빌런이나 반동인물의 무게감이나 매력이 덜하다면 이야기는 한쪽으로 흐를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뻔한 전개, 지루한 이야기가 될 가능성이 높지요. 

빌런의 욕망은 히어로에게 갈등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갈등은 승리를 향한 대결로 치닫습니다. 서로의 목표가 치열하게 대립하는 대결에서 누가 승리하는가는 독자들로 하여금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재미를 선사하고 이야기를 매력적으로 끌고 나갈 수 있는 힘을 줍니다.



빌런에게 중요한 것은 빌런의 행위에 당위성과 이유를 부여하는 것이라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당위성이나 이유가 없는 악행은 매력적이지 않지요. 최근에는 빌런에게 서사를 부여한다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 바로 그것입니다. 




일상에는 ‘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인생의 특별한 사건에는 ‘왜’가 존재합니다. 인간은 그 ‘왜’를 추구하면서 살지요. 우리가 접하는 소설이나 영화는 ‘특별한 사건’입니다. 일상과 같다면 굳이 우리는 소설이나 영화를 감상할 이유가 사라지지요. 그렇기에 ‘왜’가 필요합니다. 


빌런은 이야기를 읽어야 하는 ‘왜’를 제공해줍니다. 그리고 사샤 블랙은 빌런에게 ‘왜’를 부여하는 방법을 이 책, “빌런의 공식”을 통해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빌런의공식, #사샤블랙, #정지현, #윌북,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그리스 로마 신화 - 세상을 다스린 신들의 사생활
토마스 불핀치 지음, 손길영 옮김 / 스타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 로마 신화 (토머스 불핀치 著, 손길영 譯, 스타북스, 원제 : Bulfinch's Mythology )”를 읽었습니다.




저자는 토머스 불핀치 (Thomas Bulfinch, 1796~1867)입니다. “불핀치의 신화”를 집필하여 과거에는 종교였지만 지금은 이야기로 소비되곤 하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대중화한 작가이자 신화학자입니다. 이 “불핀치의 신화”를 번역한 책이 이번에 읽은 “그리스 로마 신화”입니다.




이 책은 그리스 로마 신화를 최초로 대중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후 이디스 해밀턴(Edith Hamilton)에 의해 “그리스 로마 신화”가 출간될 때까지 거의 100여 년 가까이 사람들에게 즐겨 읽혔던 고전 중의 고전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후에 나오는 그리스와 로마 신화를 다룬 많은 작품들이 사건이나 이야기를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다면 토머스 불핀치의 작품은 신과 영웅 등 캐릭터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신이나 영웅 등 캐릭터에 몰입할 수 있게 도와줌으로써 이들의 행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전체적인 이야기의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워낙에 그리스 로마 신화는 대중적인 시대가 되었기에 오히려 이렇게 ‘캐릭터’에 집중하는 서술 방식이 오히려 몰입감을 높이는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프로메테우스, 판도라, 헤라, 제우스, 필레몬, 피그말리온, 페르세포네 등 우리에게 익숙한 그리스/로마 신화의 신과 영웅들의 이야기는 상상력을 자극하는 동시에 당시의 사람들이 정의한 신성(神性, divinity)에 대해 다시금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리스 로마 시대의 신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신성과는 조금 달랐던 것 같습니다.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과 영웅들은 신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당연히 인간과는 다른 존재이지만, 손에 닿지 않는 존재는 아니었습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존재하는 신들은  독생자가 아니며 우주에 의해 탄생한 존재입니다. 전지전능의 힘을 가진 존재가 아닌 인간처럼 사고하고 인간처럼 행동하며 인간처럼 삶을 이어가다 인간처럼 죽을 수도 있는 존재로 묘사됩니다.

또한 그들도 인간과 같이 욕심과 본능을 가진 존재입니다. 그리고 배고파하고 질투하며 싸우기도 합니다. 어쩌면 그들의 삶은 인간과 다르지 않는 것 같습니다.

신화적 존재는 당대의 사람들이 자연이나 우주, 미지의 존재를 자신에 비추어 투영한 존재라고 본다면 그들이 생각하는 우주관, 세계관이 인간 중심적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신본적 사상이 세상을 지배하던 시대를 지나 다시 인본을 중심으로 한 운동이 결국 그리스, 로마로 회귀했던 점을 고려해보면 이러한 추정은 타당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책을 읽으며 다시금, 이러한 생각을 되짚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 입문하기에 좋은 책으로 추천드립니다. 



#그리스로마신화, #토머스불핀치, #손길영, #스타북스, #신화, #신들의사생활, #고전, #인문, #문화충전



※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에서 주관하는 서평단에 선정되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은 후 필자의 주관으로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지막 지평선 - 우리가 우주에 관해 아는 것들, 그리고 영원히 알 수 없는 것들
아메데오 발비 지음, 김현주 옮김, 황호성 감수 / 북인어박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한에 가까운 우주 (사실 관측 가능한 우주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물리법칙을 초월하지 않는 이상 우주는 무한하다 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만), 영에 수렴할 만큼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없는 입자. 수십 억년의 진화를 거친 생명체. 우리 인류는 과학이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인간의 직관을 넘어서는 크기와 시간을 다루는데 성공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과학이 발전하다보니 이제 일반인은 오히려 과학과 괴리되어 소외되는 경우도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에 의한 통제가 불가능할 경우 과학은 과학 윤리를 저버리고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도달하고자 할 지도 모릅니다. 이렇게 될 경우 지금은 상상하지 못하는 새로운 위협에 인류 사회가 직면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과학자가 아닌 일반 시민들에게 과학적 사고방식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현재 민주주의 사회는 철저하기 시민에 의해 통제되고 관리되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또한 과학적 사고방식과 더불어 과학에 대한 맥락 읽기는 매우 중요한 소양이자 덕목입니다.


“마지막 지평선 (아메데오 발비 著, 김현주 譯, 황호성 監, 북인어박스, 원제 : L'ultimo orizzonte: Cosa sappiamo dell'universo )”은 현대 과학이 밝혀낸 우주론을 다룬 대중 과학 서적입니다.




책에서 저자는 질문을 던집니다. 

‘우리가 우주에 대해 알 수 있는 한계가 있을까? 혹은 그 한계에 도달했을까?’

과학사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질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질문에 대한 답은 언제나 잘못되었기도 합니다. 한때 우리는 우주 만물에 대해 모든 것을 다 알았고 한 두가지만 더 알면 이제 그 한계에 도달할 것이라는 착각에 빠진 적이 많았습니다. 아니면 우주는 무한하고 그 한계가 없어 결코 우주 만물의 단 하나라도 제대로 알 수 없을 것이라는 대답을 내놓은 적도 있었지요.

하지만 저자는 두 대답 모두 잘못된 것이며 현대 과학은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차근 차근 준비하고 있음을 책을 통해 보여주며 답을 찾아가는 현대 과학의 최전선을 다루고 있습니다.


현대 시민에게 필요한 과학 리터러시 함양에 있어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에서 어떤 이론들이 있고, 우리가 우주에 대해 더 알아내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 책, “마지막 지평선”은 과학 리터러시 함양을 하는데 있어 훌륭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책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지평선, #아메데오발비, #김현주, #황호성, #북인어박스,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쩌다 숲 -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살아가는 도시의 자연 순간들
피터 S. 알레고나 지음, 김지원 옮김 / 이케이북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다 숲 (피터 S. 알레고나 著, 김지원 譯, 이케이북, 원제 : The Accidental Ecosystem: People and Wildlife in American Cities )”을 읽었습니다.




저자인 피터 S. 알레고나 (Peter S. Alagona)는 환경학을 연구하는 연구자입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도시 속 숲 생태계를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는 도시에 거주합니다. 자전거를 타고 퇴근하는 길, 그 길에서 특이한 것을 발견합니다. 개일까, 아니면 너구리? 그 괴생명체에 가까이 다가갔을 때 보브캣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붉은스라소니로 번역되는 보브캣은 고산지대에서나 발견할 수 있는 동물로 알고 있던 저자는 깜짝 놀랍니다. 그리고 저자는 

보브캣을 도시 주변에서 발견한 후 멸종 위기 생물을 연구하던 저자는 도시와 도시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야생 동물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고 고백합니다. 


이 책에서는 정말 많은 도시권에서 흔하게 야생동물을 만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많은 생태학자들은 도시가 아닌 야생에서의 동물들만을 추적 관찰하다 보니 도시에서 만날 수 있는 동물들에 대해 연구할 기회를 놓쳤다는 점 역시 저자는 지적합니다. 물론 예외는 있습니다. 조류의 경우 아마추어 탐조가를 비롯한 추종 세력을 넉넉히 보유하고 있던 덕분에 충분히 많은 데이터가 쌓여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조류 이외의 다른 도시권 야생 동물의 경우 최근부터 데이터를 쌓기 시작했기에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답을 구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한가지 더 알아야 할 사실이 있습니다. 책에서는 도시에서 만날 수 있는 야생 동물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만, 그런 야생 동물이 우리와 만나기 이전까지 수많은 야생 동물은 줄어들거나 심지어 사라졌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독특하고 카리스마 있는 동물들에  환호하지만, 대부분의 동물들은 평범하다는 점을 말이지요.



참으로 흥미로운 독서였습니다. 우리는 흔히 도시와 생태계를 분리하여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도시도 훌륭한 생태계를 생물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자연과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하곤 하는 도시 사람들 역시 자연의 거대한 생태계의 일부이고 얼마든지 공존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현대 문명은 도시와 동떨어져 있다고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현대 문명은 도시화와 밀접한 상호 영향을 주고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자연 생태계와 동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선입견이었으나 이 책을 통해 그렇지 않고 오히려 도시를 자연 생태계 안에 편입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어쩌다숲, #피터S알레고나, #김지원, #이케이북,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