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도 뱀파이어는 생각보다 빠르게 달린다 고블 씬 북 시리즈
송경혁 지음 / 고블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피를 팔아 연명했지만 친구 상일의 도움으로 고향에 정착해서 성실하게 살아가던 ‘나’. 주변 사람들이 모두 피하게 되어 세상 만사 꼬이기 만드는 만악의 근원, 구취를 달고 살지만 상일은 나의 구취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나를 챙겨줍니다. 다만 사생활만 없을 뿐.  불의의 교통사고로 부모님을 잃고, 남은 재산을 외삼촌이 다 탕진했어도 삶을 이어가게 도와준 친구가 고마울 뿐.

근데 상일이가 루마니아에 다녀온 이후로 이상해졌습니다. 그렇게 아끼던 사슴의 피를 빨아먹지를 않나, 내 입냄새가 향기롭다고 하지를 않나. 

그러고 보니 최근 날아오는 재난 문자도 심상치가 않네요. 새로운 전염병이 출현했다고 합니다. 

도대체 속내를 알 수 없는 사람들이 전염병으로 흡혈귀가 되어버렸습니다. ‘내’ 피를 마시기 위해 달려들지만 나는 있는 힘을 다해 피해봅니다. 

거기에 글로벌 바이오 기업 블러드하이까지 등장하여 ‘나’를 탈취하려 합니다.

그리고 재산을 탕진하고 사라졌던 외삼촌까지…


“충청도 뱀파이어는 생각보다 빠르게 달린다 (송경혁 著, 고블)”은 흡혈귀가 되어버리는 전염병이 빠르게 전염되는 상황을 상정한 중편 코믹 SF 소설입니다. 




파편화된 스토리와 더불어 갈등을 매조지하는 방식 등이 아쉽습니다. 대사 한 줄로 처리했으면 좋았을 내용들을 과거 회상으로 풀어내는 방식 역시 이야기가 늘어지는 느낌을 줍니다. 전체 분량에서 상당 부분 들어내도 이해에 크게 지장이 없을 정도입니다. 단편으로 쓴 글을 중편 분량으로 늘려 놨다는 느낌이 듭니다. 차라리 과거 회상보다는 크리처가 되기 전의 사람들과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엮고 크리처로 변하고, 주인공이 쫓기는 과정으로 이야기를 전개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등장인물 중 중국계 무술고수 (?) 왕슈잉의 캐릭터 설정은 흥미로웠습니다만 전체적으로 등장인물들이 평면적이라 아쉬웠습니다. 또한 전형적인 악역, 반전스럽지 않은 반전, 맥락 없는 크리처들의 등장 등 전반적으로 아쉬운 작품입니다. 



느릿한 말투와 행동이라는 충청도 사람에 대한 밈(meme)을 반전(反轉)하여 활용한 제목이 독특하면서도 유머러스합니다. 또한 전염병에 의한 흡혈귀화는 많은 장르물에서 다루어진 내용이긴 하지만 한국적으로 어레인지되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갖게 하는 작품이었습니다만 아쉽게도 기대에 충족시키는 작품은 되지 못했습니다. 

#충청도뱀파이어는생각보다빠르게달린다 #송경혁 #고블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의 발견 - 동서고금을 통틀어 가장 흥미로운 독 이야기
후나야마 신지 지음, 공영태.나성은 옮김 / 북스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의 발견 (후나야마 신지 著, 공영태, 나성은 共譯, 북스힐, 원제 : 毒 )”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후나야마 신지 (船山信次)는 약학을 전공한 저술가로 약과 독에 대한 다양한 저서를 집필한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독과 약의 세계사 (진정숙 譯, AK커뮤니케이션즈, 원제 : 毒と藥の世界史―ソクラテス、鍊金術、ド-ピング)”를 통해 알려진 작가이기도 합니다.




독(毒)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보았습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독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는 생각을 많이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치사량 (致死量)이라는 개념도 그렇습니다. 막연하게 죽음에 이르게 하는 섭취량 정도로만 이해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산출은 어떻게 하는지 모르고 있었죠. 

죽을 때까지 해당 물질을 먹여보지는 않을 텐데 말이지요.

치사량을 사전적으로 정의해보면 먹거나 투여했을 때 사망에 이르게 하는 약물의 양을 의미합니다. 물론 사람의 신체 조건이나 건강에 따라 다를 수는 있기에 표준화하여 그 양을 결정합니다. 이 치사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의 검체(일반적으로 실험용 쥐를 선택한다고 합니다)에 소량의 독을 투여하여 사망하는지를 조사한 후 검체의 절반이 사망에 이르는 복용량(반수 치사량)을 구한 후 이를 사람의 신체조건으로 변환합니다. 이 때 종마다 독의 작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독은 작용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신경독은 복어 독이나 전갈독 같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뱀 중에서도 코브라나 바다뱀의 독이 신경독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또한 혈액독이 있는데 일반적인 뱀독이 이에 해당합니다. 세포막을 파괴하거나 효소 작용을 저해하여 세포 자체를 공격하는 독도 있는데 비소 같은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산업화가 가속되면서 과거에는 독이라 알지 못했던 많은 물질들이 독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특히 미나마타병(수은), 이타이이타이병 (카드뮴) 같은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산업화에 의한 공해로 인해 발생한 병들인데 이 병을 유발한 원인물질들이 밝혀지면서 독극물로 취급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 책은 독(毒, poison)에 대한 기본 이해를 위해 집필한 책입니다. 그중 독과 인간의 삶에 집중하고 있지요. 사실 독은 약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 저자의 관점입니다. 독과 약을 구분하는 것은 인간의 관점일 뿐 그 물질의 관점은 아니지요. 인간이 개입하지 않는 이상 독은 독이 되지 않는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약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약도 잘못 쓰면 독과 다름 없다고도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우리는 독에 대해 많은 오해와 무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독은 독으로만 존재한다는 편견이 대표적이지요. 하지만 책에서는 바꽃을 예로 들어 그렇지 않음을 설명합니다. 바꽃의 덩이줄기는 우리가 부자나 오두라 부르며 한방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곰을 사냥할 때 사용하는 독화살에 이용되기도 합니다. 독을 독으로 바라보는 것은 독의 일면만을 살핀 것일 뿐 독은 사용하기에 인간에게 유익하게 사용할 수도 있고, 실제로 그렇게 사용한 사례도 많다는 것을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들려주고 있습니다. 






#독의발견, #후나야마신지, #공영태, #나성은, #북스힐,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물을 위한 변론 - 무자비하고 매력적이며 경이로운 식물 본성에 대한 탐구
맷 칸데이아스 지음, 조은영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을 가다가 마주치는 은행나무, 숲 산책 도중 만나는 소나무, 베란다에 놓여진 몬스테라 화분 등. 우리는 식물에 대해 어떤 감정이나 인상을 가지고 있을까요? 정적(靜的)이고 고요하고, 언제나 그 자리에 머무르면서 모든 것을 포용하는 존재 정도의 인상 아닐까요? 아니면 기능적으로 공기를 맑게 하고 산소를 만들어내는 존재 정도로만 인식하는 경우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식물을 위한 변론 (맷 칸데이아스 著, 조은영 譯, 타인의사유, 원제 : In Defense of Plants: An Exploration into the Wonder of Plants )”은 그런 식물에 대한 인상이 잘못되었음을 보여주는 책입니다. 저자 역시 식물이 지루한 존재라 인식했었음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식물에 대해 알아가면서 그런 존재가 아님을 곧 깨닫게 되지요. 식물 역시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경쟁자를 말살하고자 하며, 번식을 위해 경쟁하고, 때로는 협업하기도 하는 등 생존을 위해 투쟁하는 존재임을 저자는 깨달았고 이 책을 통해 우리들에게 알려줍니다. 


만약 식물이 자신의 생존을 위해 투쟁하지 않았다면 지구 상에 산소는 존재하지 않았을지 모릅니다. 그리고 애초에 육지에 처음 자리잡은 생명체 역시 바로 이 식물입니다. 식물의 생존을 위한 투쟁이 있었기에 동물 역시 육지에 자리잡을 수 있었겠지요. 애초에 식물과 동물은 공생과 공존의 관계였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특히 곤충의 경우 그러한 관계가 특별합니다. 저자에 따르면 많은 곤충들은 전문종이어서 소수, 심지어 한 종에 의지해서만 번식하고 살아간다는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줍니다. 특히 카너 블루 나비와 루피너스와의 관계는 인상적입니다. 결국 카너 블루 나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루피너스가 필요하게 된 것이지요. 이 카너 블루 복원 프로젝트 사례에서 더욱더 인상적인 점은 루피너스로 인해 카너 블루 애벌레와 개미와의 협력 관계까지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즉 식물을 매개로 서로 다른 동물종 간의 유대가 형성되는 것이지요. 






이 책은 식물에 대해 인간의 시야에서 바라본 존재가 아니라 식물의 관점에서,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능동적인 생태계의 일원이라는 관점에서 보여줍니다. 어떤 사람은 식물이 수동적이거나 조용한 존재가 아니라서 실망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식물 역시 생명의 주체로서 생존을 위해 치열하게 살아가는 존재임을 드러내는 저자의 관점이 색다르기도 하고 마음에 듭니다. 주어진 삶이기에 체념하며 수동적으로 살아가는 게 아니라, 주어진 환경 내에서도 좀더 나은 삶을 위해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삶을 살아가는 식물들의 새로운 모습을 보면서 자신의 삶도 그와 닮기를 바라는 것은 과한 해석은 아닐 것입니다. 



저자인 맷 칸데이아스 (Matt Candeias)는 생태학 박사로 이번에 읽은 책과 동명(同名)인 팟캐스트를 운영하고 있는 과학 커뮤니케이터라고 합니다.




#식물을위한변론 #맷칸데이아스 #조은영 #타인의사유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모 커먼스 - 유전자에서 디지털까지, 인류 빅 히스토리를 통한 공간의 미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선정도서
홍윤철 지음 / 포르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人間)이라는 한자는 보면 ‘사이’를 의미하는 한자인 ‘간(間)’이 들어가 있습니다. 사이는 홀로존재하는 자에게는 있을 수 없는 개념입니다. 나 이외의 누군가가 있어야만이 존재할 수 있는 개념이지요. 즉, 인간은 홀로 살 수 없고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는 지구 생태계의 유일자(唯一者)로 오롯이 살아갈 수 있는 존재로 착각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지구 생태계에서 홀로 떨어져 유일자로 살아갈 수 없음을 깨달아가고 있습니다. 아무리 과학 기술이 발달하더라도 자연의 위력 앞에서는 한낱 촛불에 불과한 미력한 존재임을 알아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자랑하던 문명 사회도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바이러스의 공격에 무력함을 드러냄을 COVID-19 팬데믹을 통해 깨달았습니다. 후대에 앞선 시대를 통람할 때 우리의 인식 전환 시점을 바로 이 시대로 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호모 커먼스 (홍윤철 著, 포르체)”는 이렇듯 홀로 살아갈 수 없는, 생태계의 구성원의 일부로서만이 존재할 수 있는 인간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는 책입니다.






우리가 지금 살아가고 있는 지구 생태계는 우리 만이 살아가는 공간이 아닙니다. 이는 일종의 공유지로서 우리 외에도 많은 생태계 구성원들이 함께 공존하고 있으며, 앞으로 미래에 태어날 많은 생명들이 살아갈 공간입니다. 인간 역시 생태계의 일부이지만 인체는 또 하나의 생태계를 구축하기도 합니다. 바로 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 미생물 군총)을 우리 몸에 품고 있습니다. 또한 ‘나’라는 존재 역시 그 출생과 성장의 과정을 본다면 공유와 협력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결국 ‘나’ 역시 공유와 협력 아래에 무사히 성장했고 삶을 영위하는 존재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과학 기술의 발전이라는 미명 아래, 좀더 나은 삶을 향유하겠다는 욕망으로 그 공유지를 약탈하고 훼손해왔습니다. 그러므로 공유와 연대, 협력의 삶은 시대를 초월하여 좀더 나은 생태계 혹은 공유지를 후대에 넘기겠다는 태도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이 책의 제목인 ‘호모 커먼스’는 우리의 학명, 호모 사피엔스를 공동체 (Commune) 혹은 공유지(Commons)의 일원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개념입니다. 저자는 이를 통해 우리가 공동체의 일원으로 존재할 때만이 살아갈 수 있음을 역설합니다. 우리는 유전자의 관점, 생태계의 관점, 그리고 사회적 관점 등 어떤 관점으로 봐도 공동체의 일원임을 저자는 강력하게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그 주장은 팬데믹을 통해 우리가 깨달은 바와 결합될 때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음을, 책을 읽는 내내 느낄 수 있었습니다. 





#호모커먼스 #홍윤철 #포르체 #공생과공존 #공유성 #문화충전 #서평이벤트



※ 본 포스팅은 네이퍼 카페 문화충전200%에서 주관하는 서평단에 선정되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은 후 필자의 주관으로 솔직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모두 다른 세계에 산다 - 자폐인이 보는 세상은 어떻게 다른가?
조제프 쇼바네크 지음, 이정은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된 미드 중에 ‘보스턴 리걸’이라는 드라마가 있습니다. 제임스 스페이더가 연기한 엘런 쇼어의 괴짜 연기와 더불어 법정 장면이 일품인 드라마입니다. 

그런데 이 드라마에는 특이한 캐릭터가 한 명 등장합니다. 제리 에스펜슨 (Jerry Espenson, 크리스찬 클레멘스 扮)입니다. 50여개의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이 캐릭터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천재 변호사입니다. 이 캐릭터를 통해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s Syndrome)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이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하나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죠. 

아니 애초에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자폐증이라고만 알고 있었기도 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유병률은 자료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0.5~2%에 이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증상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알지 못하기에 이해하지도 못하고 있구요. 

몇 년 전 영화 “말아톤”이나 최근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 드라마나 영화에 등장하는 이 증상에 대한 묘사를 통해 조금이나마 인지를 하고 있을 뿐입니다. 


“우리는 모두 다른 세계에 산다 (조제프 쇼바네크 著, 이정은 譯, 현대지성, 원제 : Je suis a l'Est!)”는 실제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저자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우리와는 어떻게 다른 지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 책입니다.




한때 지적장애 취급을 받던 저자는 독학으로 10개 언어를 습득하고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할 만큼 뛰어난 지적 능력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를 규칙에만 가두려고 합니다. 하지만 그는 세상의 규칙을 지키기 위해 다른 사람보다 많은 시간을 써야 할 뿐만 아니라 불안감에 휩쌓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쉽게 맺기도 하는 교우 관계는 저자에게는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어떤 틀에도 맞지 않는 아이’라는 이 책, 1장의 제목이 책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인 듯 느껴집니다.  하지만 저자는 역경을 딛고 이룬 자신의 학문적 성취를 자랑하지 않습니다. 자폐인으로서 겪는 일들을 저자는 담담하면서도 유머스럽게 묘사합니다.  비자폐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말이지요. 


어떤 일은 우스꽝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시각에서만 우스꽝스럽습니다. 저자는 그 우스꽝스러운 일을 해내기 위해 불안감 속에서 많은 준비를 통해 겨우 해내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그렇게 쉬운 일이 저자에게는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자폐인도 사회생활을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저자는 단언코 이야기합니다. 자폐인에게 사회생활은 고통이 언제나 뒤따른다고요. 자폐인에게 사회생활은 마치 낯선 나라에 갔다가 길을 잃은 상황에서 처음 배우는 외국어와 같다고 이야기합니다. 길을 찾지 못해 헤매고 있는 상황. 이때 누군가 친절하게 길을 가르쳐주면 그 길을 이제 알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자폐인은 사회생활이라는 그 길을 대부분의 시간 동안 혼자 찾아가야 합니다. 


저자는 인간이 매우 복잡한 존재이고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자폐인 역시 마찬가지라고 이야기합니다. 하나의 특징만으로 인간을 규정할 수 없다고 단언합니다. 저자는 키가 195cm에 이르는 장신입니다. 이 역시 저자의 특징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치 자폐만이 저자를 규정하는 유일한 기준인 듯 사람들은 굳이 저자를 자폐인이라 부릅니다. 자폐도 저자가 가진 특징 중 하나일 뿐인데 말이지요. 

그리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인간을 시계처럼, 기계처럼 메커니즘으로 돌아가는 존재로 축소하여 이해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우리는모두다른세계에산다, #조제프쇼바네크, #이정은, #현대지성,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