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도 초능력이 필요해
민제이 지음 / 팩토리나인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약 회사원인 당신에게 초능력이 주어진다면 어떤 초능력을 원하시겠습니까? 


통근 길에 지옥철 혹은 만원 버스에서 시달리는 회사원이라면 언제든지 집에서 회사로, 회사에서 집으로 순간이동할 수 있는 초능력을 원할 것 같습니다.

매월 날아오는 카드 통지서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회사원이라면 1주일 후의 미래를 알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로또 번호를 엿보고 싶지 않을까요? (1주일 후의 미래를 알 수 있다면 장기적으로는 주식 투자가 더 대박이긴 할 것 같긴 합니다만 일단 씨드 머니를 모아야겠죠?)

아니면 실수를 되돌릴 수 있도록 타임 리와인드할 수 있는 능력도 좋을 것 같습니다. 

도대체 알 수 없는 상사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능력도 있으면 금상첨화이겠지요.


애초에 가질 수 없는 능력이기에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는 하루 하루 성실하게 살아갈 뿐입니다.

언제나 꿈꾸는 퇴사 선언은 생활의 압박으로 인해 이룰 수 없는 꿈일 뿐이지요.


하지만 여기, 초능력을 가진 회사원들의 이야기를 다룬 연작 소설이 있습니다. 바로 “회사원도 초능력이 필요해 (민제이 著, 팩토리나인)”입니다.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초능력을 다루고 있다 보니 판타지로 분류할 수 있지만 책에서 묘사되는 직장인들의 모습은 리얼리즘 그 자체입니다. 





대표는 아무 때나 전화해서 수시로 일을 시킵니다. 내 일도 아닌데 모두 외근이라는 이유로 견적서 수정 발송 업무도 내가 해야 합니다. 뭐 큰 일도 아니고, 견적서 수정하는 일 정도야 할 수 있지만 손이 벌벌 떨립니다. 숫자 20을 15로 바꾸어 저장하고 메일만 보내면 되는 것인데 말이지요.

그래도 해냈습니다. 숫자가 틀리지는 않았는지, 수식 엉킨 부분은 없는지 요모조모 살펴보고 잘못된 부분이 없다는 것을 확신하고 대표에게 메일로 송부했습니다.

하지만 엑셀로 보낸 것이 탈이 났습니다. 상대방이 수정할 수 없는 PDF 형식으로 보냈어야 했는데 그대로 엑셀로 보내 버린 것이지요. 대표는 짜증과 함께 인격모독 수준의 질책을 쏟아냅니다. 하지만 내 업무도 아니고 아무도 외부 견적은 PDF로 보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해준 적이 없습니다. 내 잘못은 맞는데 억울합니다. 본 적도 없는 문서를 결국 찾아내서, 수정하고 보내줬는데 왜 나한테 이러냐구요. 


애초에 줄줄이 퇴사하고 아무도 업무 교육도 안해줬는데도 그 업무를 떠맡아서 하고 있는 신입사원인데 말이지요.

아 시간을 되돌렸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남들이 다 바라는 초능력을 가졌지만 여전히 삶은 퍽퍽합니다. 그들은 초능력을 가진 슈퍼히어로가 아니고 초능력을 가진 회사원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말입니다. 그 팍팍한 삶을 견뎌내며 하루 하루 일상의 행복을 만들어가며 살아가는 능력이 가장 중요한 초능력이 아닐까 합니다. 그런 일상의 행복이 없다면 우리는 하루도 견딜 수 없을 테니 말입니다.  




일상의 슈퍼 히어로인 우리 모두에게 경의를…




#회사원도초능력이필요해 #민제이 #팩토리나인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니엘 핑크 후회의 재발견 - 더 나은 나를 만드는, 가장 불쾌한 감정의 힘에 대하여
다니엘 핑크 지음, 김명철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후회 (後悔). 사전적 의미로는 과거의 잘못을 깨우치고 뉘우친다는 중립적 의미이지만 보통은 부정적 감정으로 인식합니다. 우리는 살면서 이 감정에 대한 여러 격언을 듣곤 합니다. 특히 후회라는 감정의 특성상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감정적 악영향을 끊임 없이 주게 됩니다. 그래서 보통은 후회하지 말고 반성하라는 의미의 이야기를 듣기도 하지요.


여기, “후회의 재발견 (다니엘 핑크 著, 김명철 譯, 한국경제신문, 원제 : The Power of Regret: How Looking Backward Moves Us Forward )”이라는 책에서 이 후회라는 감정에 대해 독특한 주장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다니엘 핑크 (Daniel H. Pink)입니다. 낯익은 이름입니다. 엘 고어 미국 부통령의 연설문 작성자로도 일하기도 했던 그는 비즈니스 사상가로도 이름이 높습니다.  


보통 사람들은 후회 없는 삶이 가장 이상적인 삶으로 생각합니다. 후회라는 자체가 실패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후회하는 상황, 즉 실패하지 않는 삶을 살고자 하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다니엘 핑크가 주목한 것은 바로 후회가 고등한 사고 체계에서 발생하는 의식이라는 점입니다. 후회라는 감정은 선택하지 않은 대안에 대한 검토라는 것이지요. 고르지 않은 선택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머리 속에서 돌려보고 현재의 상태와 비교하면서 발생하는 감정 상태가 바로 후회라는 점입니다. 후회는 뇌에서 행하는 시뮬레이션의 부산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이미 벌어진 실패에 대해 후회하지 않는다는 말은 우리가 무심코 지나쳤지만 생각해보면 이상한 말이 아닐 수 없습니다. 후회는 자연스런 감정이며 이를 제거할 수 없는데 후회하지 않는다니요. 아마 후회하지 않고 싶다라는 소망이거나 실패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말일 것입니다. 하지만 저자는 이를 인생 혹은 조직을 망치는 헛소리라 단언합니다. 후회하지 않기 위해서는 그 실패를 더 이상 생각하지 않아야 하고, 그렇다면 실패한 과거를 복기하고 반성하고 성찰할 시간을 빼앗기게 됩니다. 


특히 이 후회라는 감정은 동일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고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이 다니엘 핑크를 사로잡은 것 같습니다. 즉, 다니엘 핑크는 후회는 반드시 반성을 동반한다는 것을 발견한 것입니다. 

적절한 수준의 후회는 반성의 시간을 제공하고 과거를 성찰하며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이 책이  핵심 주장입니다. 또한 건강하며 본질적인 감정으로 인간의 고등 사고 체계에서 인간을 미래로 나아가게 하는 추동력이 된다고 주장합니다. 


 




#후회의재발견, #다니엘핑크, #김명철, #한국경제신문, #이북카페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하는 조사관
송시우 지음 / 시공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하는 조사관 (송시우 著, 시공사)”를 읽었습니다.




드라마화되기도 한 송시우 작가의 전작 “달리는 조사관”의 후속작입니다. 이 작품은 미스터리 장르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독특하게도 탐정이나 경찰이 아닌 인권증진위원회에 소속된 조사관들의 활약을 소재로 이야기를 풀어내는 작품입니다. 인권증진위원회, 모든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함으로써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하고 민주적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소설 속에 등장하는 가상의 기관입니다. 이 기관에 재직 중인 조사관들이 바로 주인공입니다. 전작에서 이미 매력을 충분히 보여준 네 명의 조사관들이 이 작품에서 맹활약을 이어갑니다.


또 한가지 이 작품의 독특한 점은 바로 ‘인권’이라는 주제의식이 작품 곳곳에 드러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인권은 자연권의 일종으로 인간이면 날 때부터 누구나 누려야할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들은 이를 누군가에 의해 부여하거나 주어지는 것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대에 들어 인권에 대한 인식은 많이 신장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인권의 사각지대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범죄자의 인권 같은 문제는 매우 첨예하지요. 사실 강력 범죄자에게도 인권을 존중해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마주하게 된다면 이성과 감정의 충돌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특히 내가, 내 가족이 그 범죄의 희생자였다면 범죄자의 인권에 대해서는 고려할 가치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성은, 현대 문명은 범죄자 역시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인권을 가진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참으로 딜레마입니다. 

아마도 송시우 작가는 이에 주목한 것 같습니다.

 이 작품에서는 우리가 현실에서 만날 수 있는, 뉴스에서 늘상 보고 있는 수많은 혐오들이 등장합니다. 최근 만연하고 있는 타인이나 타 집단에 대한 ‘혐오’ 역시 인권의 측면에서 바라봐야 할 필요가 있다는 작가의 주제 의식 중 우리가 유념해야 할 부분이라 봅니다. 

 

“달리는 조사관”를 통해 송시우 작가에 입문하였는데 다른 작품들도 좋았지만 특히 “달리는 조사관”의 설정을 좋아하여 이번 작품 역시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미스터리 장르에서 자칫 음울한 분위기로 흐를 수 있는데 너무 무겁지도 않고, 그렇다고 마냥 가볍지도 않은 작품입니다. 특히 국가인권위원회에서 현직으로 근무하고 있어서인지 현장감이 살아 있는 핍진성 덕분에 작품 내내 몰입감을 잃지 않고 읽을 수 있습니다. 



#구하는조사관, #달리는조사관, #송시우, #시공사,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명해류 - 진화의 최전선 갈라파고스에서 발견한 생명의 경이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김소연 옮김, 최재천 감수 / 은행나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찰스 다윈 (Charles Darwin, 1809~1882)은 22살의 젊은 나이에 비글호를 타고 갈라파고스 제도에 방문합니다. 그는 비글호를 타고 여러 탐험을 하는 동안 생물학 뿐 아니라 지질학과 광물학에 관련한 여러 메모를 쓰게 되는데, 특히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종의 변화에 대한 아이디어를 정리하게 되지요. 갈라파고스 제도에 머무른 시간은 5년에 걸친 전체 탐험 기간 중 6주에 불과하였지만 이곳은 생물의 진화 연구에 매우 중요한 곳임을 나중에 깨달은 다윈은 처음에 갈라파고스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한 자신에 대한 큰 후회를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어찌되었던 갈라파고스 제도는 동식물 등 희귀하고 독특한 생물상을 가지고 있는 곳으로 여전히 진화 연구에 있어 중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곳에 대해 상상만 할 뿐 방문하기에는 너무나 먼 곳이지요.


아마도 생물학자들에게도 갈라파고스는 그런 곳인 것 같습니다. “생명 해류 (후쿠오카 신이치 著, 김소연 譯, 최재천 監, 은행나무, 원제 : 生命海流)”에서 저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꼭 가고 싶습니다.’

평소에도 갈라파고스에 가고 싶다는 생각을 공공연히 드러냈던 저자는 마침 TV 기획 취재의 제안을 받자 이렇게 대답합니다. 주역이면 어떻게, 아니면 어떠랴. 그는 갈라파고스에 간다는 것이 중요하지, 그가 TV쇼의 주역이고 아닌 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에게 갈라파고스는 이슬람 신자에게 메카와 마찬가지이니까요. 하지만 이 기획은 무산되었고 저자는 체념합니다.

하지만 인생은 모르는 법. 결국 출판사의 제안으로 갈라파고스에 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우리는 “생명 해류”를 만날 수 있게 된 것이지요.


이 책은 의외로 기행문적 성격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아마도 저자가 과학 서적 뿐 아니라 에세이 등 가벼운 글쓰기도 많이 한 작가로서의 면모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단순히 기행문만은 아닙니다. 저자는 저명한 생물학자로서의 전문성을 발휘하여 각 지역별 생태와 환경, 생물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각종 과학사적 이야기와 관련 문헌에 대한 언급을 통해 과학적 지식 역시 풍부하게 들려줍니다. 


이사벨라섬. 19개의 화산섬으로 이루어진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자 사람들이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이 많은 섬입니다. 다윈이 상륙했던 섬들 중 하나구요.

갈라파고스 가마우지를 발견합니다. 이 가마우지는 현생 가마우지 중 유일하게 날지 못하는 종입니다. 바다에 먹이감이 풍부하고 천적도 없는 이 천혜의 환경에서 이 가마우지는 나는 능력을 퇴화시켰습니다. 퇴화 역시 진화의 일부분이라는 점을 저자는 강조합니다. 저자는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대문어를 사냥하는 멋진 모습을 관찰하는 행운을 누렸군요.




저자는 후쿠오카 신이치(福岡伸一)입니다. 아오야마가쿠인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인 분자생물학자인데 대중을 위한 과학 글쓰기로도 유명하신 분입니다. “생물과 무생물 사이 (김소연 譯, 은행나무, 원제 :  生物と無生物のあいだ)”, “동적 평형 (김소연 譯, 은행나무, 원제 : 動的平衡)”, “사람이라는 딱한 생물 (송서휘 譯, 서해문집, 원제 : 生命の逆襲)”, “나누고 쪼개도 알 수 없는 세상 (김소연 譯, 은행나무, 원제 : 世界は分けてもわからない)”, “친절한 생물학  (이규원 譯, 은행나무, 원제 : 遺伝子はダメなあなたを愛してる)”, “베이츠하늘소의 파랑 (이동희 譯, 파이카, 원제 : ルリボシカミキリの青)”, “모자란 남자들 (김소연 譯, 은행나무, 원제 : できそこないの男たち)”과 같은 그의 저서는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되어 있습니다. 에세이, 분자생물학, 진화론 등 의외로 다양한 분야의 저서들이라 각 책들마다 읽는 재미가 새롭습니다.




 #생명해류 #후쿠오카신이치 #김소연 #은행나무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이해하려는 치열한 노력, 세상이치 - 고대 그리스철학부터 현대입자물리까지, 단 한 권에 펼쳐지는 지혜
김동희 지음 / 빚은책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을 이해하려는 치열한 노력, 세상이치 (김동희 著, 빚은책들)”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현재 경북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김동희 교수가 현대과학을 탄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 여러 철학적 논제들을 시대순에 따라 설명하고 있는 책입니다.

지금에야 과학사의 유산 취급을 받고 있지만 당대에는 최신 철학 이론이자 치열한 논쟁의 대상이 된 내용들입니다.  


플라톤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만물의 이상인 이데아가 있고 현실은 그림자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은 일종의 이원론으로 기독교 사상과 결합하면서 근대 이전까지 유럽인들의 정신과 사상을 지배하였습니다. 그가 생각한 만물의 근원이나 우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또 한명 고대 그리스 철학자 중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활동할 당시 모든 학문 분야를 정리하여 통일성 있는 체계를 수립한 지적 괴물이자 위대한 사상가인 그는 의외로 스승의 이데아 사상을 의심하고 경험적 탐구를 오히려 중시했다고 합니다. 이는 현대 과학의 정신이나 방법론에 맞닿아 있습니다.



우리들은 고래(古來)로부터 세상의 모든 것을 궁금하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불은 왜 뜨거운지, 얼음은 왜 차가운지, 새들은 어떻게 날 수 있는지, 물고기들은 어떻게 물 속에서도 숨을 쉴 수 있는지.

어떤 사람은 호기심이야말로 인류의 문명을 설명할 수 있는 열쇠말이라는 이야기를 하더군요. 맞습니다. 우리는 호기심으로 세상 모든 이치를 궁금해왔습니다. 그리고 그 궁금증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철학과 문학, 과학이 발달하게 되었지요.


뉴턴은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내가 더 멀리 보았다면 이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올라서 있었기 때문이다.’

뉴턴의 겸손함을 나타내는 표현이라 일컫기도 하고, 유독 키가 작았던 로버트 후크를 비꼰 표현이란 말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학문이 발전하는 구조가 그 표현 안에 숨어있다는 점이지요. 

현대 과학의 시작을 알린 인물은 바로 아인슈타인입니다. 과학계의 세 거인 중 한 명이기도 합니다. 어떤 이는 그가 아니었다면 상대성 이론이 나오기까지 수 십년이 더 걸렸을 것이라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사고실험만으로 상대성 이론을 정리해낸  그는 분명 천재 과학자이자 과학계의 거인이 틀림없지만 그의 업적이 오로지 그의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생깁니다. 뉴턴 역학, 맥스웰 방정식, 마이컬슨-몰리 실험, 로런츠 변환 등 선학의 연구와 실험이 있었기에 그 어깨 위에서 자신의 이론을 정리할 수 있었던 것이죠.

과학 혁명에 의해 패러다임이 바뀐다하더라도, 과거의 헤리티지는 여전히 현재의 과학에 살아남아있습니다. 과학은 진리의 학문이 아니라 진리를 추구하는 학문이기에 찰나의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그 지식이 어떻게 나오게 되었는가라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의 과학적 추론방식이 더 중요한 학문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이 책을 통해 낡은 지식으로만 보곤 했던 고대 그리스 철학부터 현대 입자물리학까지의 계보를 일람하는 것은 과학사를 통사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중요한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책이 가지는 또하나의 중요한 가치는 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기 위한 치열하게 노력했던 선철(先哲)들의 시선을 함께 따라가 보며 사고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세상을이해하려는치열한노력 #세상이치 #김동희 #빚은책들 #이북카페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