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몰랐던 결투의 세계사 - 스파르타쿠스는 어쩌다 손흥민이 되었나 건들건들 컬렉션
하마모토 다카시 외 지음, 노경아 옮김 / 레드리버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이 몰랐던 결투의 세계사 (하마모토 다카시, 스가노 미치나리 共著, 노경아 譯, 레드리버, 원제 : 決闘のヨーロッパ史 )”를 읽었습니다.




저자는 유럽문화론과 비교문화론을 공부한 하마모토 다카시 (浜本隆志) 교수와 결투문화사와 독일어권 사회문화사를 공부한 스가노 미치나리 (菅野瑞治也) 교수 등 두 분입니다. 공저자 중 하마모토 다카시의 저서 중 몇 권은 이미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된 바 있습니다.


책의 내용 전체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지만 프롤로그에서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는 여전히 결투 문화가 남아있다는 점은 충격적이었습니다.  결투문화사를 공부한 스가노 미치나리 교수는 본인이 경험한 멘주어 (독일에 남아있는 진검 결투 방식)를 서두에 들려줍니다. 보호구, 의사 상주 등 학생 결투 규정이 있기는 하지만 1미터 앞에서 상대의 진검을 마주하는 경험은 쉬운 경험은 아닐 것 같습니다. 실제 스가노 미치나리 교수는 뺨과 귀를 칼에 베이고도 결투를 속행했는데 내심 의사가 결투를 중지시켜주기를 바랬다는 심정을 털어놓습니다. 결국 머리 한 가운데 칼이 꽂히고서야 결투가 중단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결투의 전통은 여전히 독일에 남아 있고, 결투로 인한 상처를 슈미스 (Schmiss)라 부르며 자랑스럽게 여긴다는 이야기는 다른 매체에서 접할 수 없는 이야기들이었습니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결투에 대한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합니다. 근대 이후 모든 명예 훼손이나 인격 모독 행위가 법의 테두리 안에 들어오게 되었을 뿐 아니라 귀족이라는 신분제 자체가 그 의미를 거의 잃어버리게 된 상황에서 결투라는 행위 자체는 불법이자 인습으로 생각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결투는 결투에 임하는 개인에게는 명예 회복의 수단이지만 대중들에게는 볼거리를 제공하는 측면이 있었는데 결투가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측면을 바로 스포츠가 제공하게 되었다는 것이 공저자의 관점입니다. 예를 들어 진검 결투는 펜싱이라는 스포츠가, 권총 결투는 사격이라는  스포츠가 흡수하였을 뿐 아니라 테니스, 크리켓 같은 스포츠 역시 결투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입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이 책이 단순히 유럽의 결투 문화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스포츠에까지 그 의미를 확장하여 ‘드라마’라는 관점에서 극장형 스포츠에 대한 고찰까지 나아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대중 매체를 통해 자주 접했지만 우리 문화권에서는 그다지 익숙하지 않은 결투라는 문화와 스포츠의 상관 관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된 독서가 되었습니다.


덧붙이는 말 : “라스트 듀얼 (에릭 재거 著, 김상훈 譯, 오렌지디, 원제 : The Last Duel : A True Story of Trial by Combat in Medieval France ) ”이라는 작품이 있습니다. 결투 재판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있을 정도로 고증이 충실한 역사 소설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으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당신이몰랐던결투의세계사, #하마모토다카시, #스가노미치나리, #노경아, #레드리버,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발하고 신기한 수학의 재미 : 하편 기발하고 신기한 수학의 재미
천융밍 지음, 리우스위엔 그림, 김지혜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발하고 신기한 수학의 재미 : 하 (천융밍 著, 김지혜 譯, 미디어숲, 원제 : 写给青少年的数学故事 (下) : 几何妙想)”를 읽었습니다. 전작 “소름 돋는 수학의 재미 (전 2권)”이 대수(代數, algebra)를 다룬데 이어 이번에 읽은 “기발하고 신기한 수학의 재미 : 하”는 상권에 이어 기하(幾何, Geometry)를 다룬 책입니다.  




저자는 천융밍 (陈永明)은 50여 년 간 수학을 가르쳐온 교육자이자 많은 수학 관련 서적을 집필한 작가로도 유명하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되기는 미디어숲 출판사에서 출간한 ‘수학의 재미’ 시리즈가 처음입니다. 


책에는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은데 그 중에 몇 개만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나머지 다른 내용들은 책에서 직접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제네시아의 귀’


고대 그리스,  시라쿠스의 폭군 제네시아는 많은 사람을 감옥에 가두었습니다. 어느 감옥은 채석굴에 위치했는데 수감자들이 탈옥 계획을 세웠지만 곧 들켰기 되었죠. 수감자들은 내부에 첩자가 있다고 확신했지만 누구도 첩자가 아니었습니다. 동굴 자체가 ‘귀’가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 정도 였습니다. 그들은 동굴을 이내 ‘제네시아의 귀’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 채석굴에서는 아무리 작은 소리도 간수들이 똑똑히 들을 수 있었기 때문에 탈옥 계획이 실패했던 것입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일까요?

이것은 타원의 성질에 의한 것입니다. 타원의 초점에서 나온 빛이나 소리는 타원 곡선에 반사되어 다른 초점에 모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지요. 




‘4색 문제’


1852년 프랜시스 거스리(Francis Guthrie, 1831~1899)라는 사람은 지도마다 4자기 색으로 색칠하면 이웃 국가를 구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하지만 원리는 알 수 없었죠. 그 원리에 대해 궁금한 프랜시스 거스리는 형과 형의 스승인 드 모르간 (Augustus De Morgan, 1806~1871)에게도 이유를 물어봤지만 아무도 알 수 없었습니다. 마침내 해밀턴 경 (William Hamilton, 1805~1865)과 함께 연구하였지만 그 원리를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민코프스키 (Hermann Minkowski, 1864~1909)는 일류 수학자들이 이 문제를 연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호기롭게 도전했지만 이 문제를 풀지 못하다 천둥 번개가 치자 이렇게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100여년 동안 원리를 밝혀내지 못한 이 문제는 1976년 두 수학자에 의해 가능한 모든 지도 모델에 일일이 대응해보는 방식으로 증명했다고 합니다. 

최근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가 박사 과정 시절 해결했다고 알려진 리드 추측 (Read's conjecture)이 이 4색 문제와 관련 있다고 하네요.




전작과 상권에 대한 서평을 남길 때 이야기했지만 천융밍 작가가 쓴 ‘수학의 재미’ 시리즈는 수학에 대한 재미난 이모저모를 다루고 있습니다. 수학에는 인류의 역사와 문명과 관련한 흥미로운 이야기거리들이 넘쳐나지만 우리들에게 수학은 학창시절 어려운 문제 풀이로 인한 괴로운 기억들이 많을 것입니다. 수학에 재미를 느끼기 위해서는 수학이 인류 문명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실제 우리에게 어떤 유용성을 안겨주는지를 먼저 깨달아야 할 것입니다. ‘수포자’라는 단어는 사실 이러한 수학의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 입시 위주, 문제 풀이 위주의 수학교육이 만들어낸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가볍게 읽을 수 있지만 함의는 가볍지 않는 ‘수학의 재미’ 시리즈는 수학의 재미를 다시 일깨워주는 독서 경험을 하게 해 줄 책으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기발하고신기한수학의재미, #천융밍, #김지혜, #미디어숲,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조건 - 융 심리학으로 보는 친밀한 관계의 심층심리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의 조건 (제임스 홀리스 著, 김현철 譯, 더퀘스트, 원제 : Eden Project: In Search of the Magical Other)”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분석심리학으로 많이 활용되는 융 심리학을 연구한 대중 총서 시리즈 중 한 권을 번역한 책입니다. 저자는 제임스 홀리스 (James Hollis)로 융 심리학 권위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저서 중 상당 수가 국내에 번역 소개되어 있습니다. 특히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 (김현철 譯, 더퀘스트, 원제 : The Middle Passage: From Misery to Meaning in Midlife)”, “인생 2막을 위한 심리학 (정명진 역, 부글북스, 원제 : Finding Meaning in the Second Half of Life: How to Finally, Really Grow Up)”과 같은 책은 독자들에게 매우 깊은 깨달음을 주는 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모든 인간관계는 단절된 상태에서 시작하여 단절되며 끝난다.’

 

 

저자는 책의 첫머리에 이렇게 선언합니다. 관계, 친밀하면서 애정으로 비롯한 관계 역시 단절에서 시작하여 단절로 끝날 수 밖에 없음을 깨달아야 하며, 타인에게서 구원을 얻으려는 환상이나 헛된 희망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주된 주장입니다. 타인이 아니라 자신에게서 구원을 추구해야 하며 이는 자신의 성장 자체를 전제로 한다는 것이지요. 그래야 올바른 애정 관계를 얻을 수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특히 저자는 타인과의 애정관계의 질(quality)는 자기 자신과 맺는 관계와 정비례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자기 자신과의 관계는 무의식 수준에서 작동하므로 타인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주게 되므로 타인과의 관계, 특히 애정과 친밀한 관게에 있어서는 타인을 위해 해줄 수 있는 가장 애정어린 일이 바로 자기 자신과의 관계 맺기라는 것이지요. 즉 애정 관계에 충실하려면 스스로의 내면과의 화해가 더욱 중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번에 읽은 “사랑의 조건”은 친밀하고 가장 가까운 관계에서부터 비롯한 심리적 고통의 원인과 이의 해결을 위한 개인의 성장에 대해 고찰을 하고 있는 책입니다. 저자는 홍관조 수컷 이야기를 통해 이런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거의 매일 유리창에 와서 부딪히는 홍관조가 왜 그럴까요? 여러 가설들이 있습니다. 유리창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고 다른 홍관조로 생각해 공격한다는 사람도 있고, 자기 짝을 잃어버린 홍관조가 유리창에 비친 모습을 보고 자기 짝이라 생각한다는 사람도 있었다고 합니다. 저자는 후자의 설명이 더욱 설득력있게 다가왔다고 고백하며 사람들이 무언가를 희망하며 찾아 헤메는 것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모습이 이와 다르지 않다고 합니다. 애착, 상실, 분리불안 모두 우리는 관게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를 치유하는 방법은 스스로의 성장에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고 말입니다.

 

 

#사랑의조건, #제임스홀리스, #김현철, #더퀘스트,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첫 경제사 수업 - ‘보이지 않는 손’에서 ‘후생경제학’까지 13가지 대표 이론으로 배우는
조너선 콘린 지음, 우진하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학이란 재화(財貨)와 용역(用役)을 생산, 분배하고 소비하는 인간의 행위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경제학이라 하면 어려운 용어와 수학, 그래프 등으로 인해 일반인들은 쉽게 이해할 수 없을 것이라는 선입견을 가진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경제 이론의 대부분은 경제, 정치 사상을 베이스로 이를 설명하기 위해 통계와 수학을 동원하는 것이라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나의 첫 경제사 수업 (조너선 콘린 著, 우진하 譯, 타인의사유, 원제 : Great Economic Thinkers: An Introduction-from Adam Smith to Amartya Sen)”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경제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경제사상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입니다. 


경제학사를 다룸에 있어 애덤 스미스 (Adam Smith, 1723~1790)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국부론’을 통해 이기심의 긍정이라는 독특한 관점을 제시하였을 뿐 아니라 분업을 통한 생산성의 향상 등을 제시하였습니다. 하지만 ‘국부론’하면 누구나 떠올리는 것은 바로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개념입니다. 

그런데 저자에 따르면 애덤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을 특별한 의미로 사용한 개념은 아니라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시카고 학파와 같은 이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애덤 스미스가 시장 만능주의자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합니다. 정부가 시민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모든 지역에 학교를 세우고 교사의 급여를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함과 동시에 제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반복적이고 의미없는  노동을 하고 있는 것이 인간성을 박탈하고 있다고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에 명시했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애덤 스미스가 주장한 여러 관점 중 효용성에 대해서만 집중하고 그의 다른 주장 ‘선의의 공평한 교환’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은 다소 불공평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보 경제학을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조지프 스티글리츠 (Joseph E. Stiglitz, 1943~).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지프 스티글리츠의 학문적 업적은 신고전주의 경제 이론의 틀 안에서 구축된 것이라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다만 현대 미시경제 이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이론화하면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게 되지요. 그는 흔치 않은 행동력으로 두드러지는 경제학자라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자나 권력자에게 더 유리한 정책을 통해 빈곤층을 희생시키는 정부와 국제기구를 지속적으로 비판하는 경제학자로 유명한데, 특히 빈곤한 사람들이 겪는 고통에 대한 공감이 부족하다고 미셸 캉드쉬를 비판하였는데, 일반적인 학자가 조심스럽고 신중한 어투로 이야기하는 것과 달리 조지프 스티글리츠는 매우 신랄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책, “나의 첫 경제사 수업”은 경제사상가를 중심으로 경제학사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데 단순한 설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 경제사상가의 교류와 경제 사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을 함께 설명함으로써 이해를 더욱 풍부하게 도와줍니다. 또한 단순히 업적만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각 사상에 대한 비판과 분석을 덧붙여 각 경제 사상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나의첫경제사수업, #조너선콘린, #우진하, #타인의사유, #책좋사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합스부르크, 세계를 지배하다
마틴 래디 지음, 박수철 옮김 / 까치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사를 읽다 보면 자주 만나게 되는 가문이 있습니다.


바로 합스부르크 왕가(Haus Habsburg)입니다. 10세기부터 시작한 이 가문은 20세기 제 1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면서 군주로서의 특권을 상실할 때까지 1000여년 간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에 걸쳐 거대한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은 제국주의의 팽창 정책 때문에 발발했다고 보는 것인 일반적인 관점이지만 직접적인 도화선이 된 사건이 있습니다. 바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이자 대공이었던 프란츠 페르디난트 (Franz Ferdinand, 1863~1914)가 사라예보를 방문했다가 암살당한 사건입니다. 

책에서 저자가 이야기한 바에 따르면 우연이 연속되지 않았다면 프란츠 페르디난트는 죽지 않았을지 모르겠습니다. 암살에 가담한 공모자들은 서툴렀고 준비했던 폭탄 중 단 1개만을 던지는데 성공했을 뿐이었습니다. 그나마 그 폭탄은 표적을 완전히 빗나갔고 엉뚱한 민간인들을 다치게 했습니다. 폭탄 테러로 다친 사람들을 문병하기 위해 프란츠 페르디난트는 차를 타고 병원으로 향했는데 운전사는 길을 잘못 들었고, 잠시 차를 세웠죠. 하필이면 공모자 중의 한 사람인 가브릴로 프린체프(Gavrilo Princip, 1894~1918)의 옆에 말이지요. 

가브릴로 프린체프는 총을 두 발 발사했고, 프란츠 페르디난트와 그 부인 조피 초테크 폰 초트코바는 사망하게 됩니다.

그 직후 발발한 제 1차세계대전에서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은 패배하게 되고 1000여년에 걸친 기나긴 시간 동안 전 세계를 호령했던 왕가였지만 이렇게 최종적이며 완전하게 몰락하게 됩니다. 


유럽사에 대한 책을 읽을 때 언제나 등장하지만 파편적일 뿐이고 이 가문을 통사적으로 살펴보는 책은 상당히 드문 것은 의외입니다. 이번에 만난 “합스부르크, 세계를 지배하다 (마틴 래디 著, 박수철 譯, 까치글방, 원제 : The Habsburgs: To Rule the World )”는 유럽사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한 합스부르크 가문을 전 시대에 걸쳐 살펴봄으로써 정치, 사회, 문화, 예술에 미친 영향력을 살펴보는 책입니다. 





저자는 마틴 래디 (Martyn Rady)로 중앙 유럽 역사 전문가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슬라브 동유럽학 대학의 교수라고 하는데 1000여 년에 걸친 합스루르크 가문에 대한 이야기를 이 책에서 흥미롭게 엮어내었습니다. 참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합스부르크 #세계를지배하다 #마틴래디 #박수철 #까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