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된다는 것 - 데이터, 사이보그,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 의식을 탐험하다
아닐 세스 지음, 장혜인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된다는 것 (아닐 세스 著, 장혜인 譯, 흐름출판, 원제 : Being You: A New Science of Consciousness)”를 읽었습니다.


저자는 아닐 세스 (Anil Seth)로 다년 간 뇌 기반 신경과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신경과학자이며, 의식과 관련한 연구가 그의 주요 연구 분야라고 합니다. 저자는 이 책, “내가 된다는 것”에서 최근 각광받는 ‘의식’에 대한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의식 (意識, consciousness)’이란 개체가 현실에서 감각, 체험, 인식하는 모든 정신작용과 그 내용을 포함하는 일체의 경험 또는 현상을 의미하며 모든 정신활동의 기초가 되는 기능으로 나를 ‘나’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입니다. 

이 개념은 한동안 철학과 윤리학의 영역이었고 과학의 영역에서 이 개념을 다루는 것은 거의 금기시 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의식은 과학의 영역에 편입되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고, 또한 최근 양자역학과의 연관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는 등 물리학 등 분야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의식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신경과학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AI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더욱 각광 받는 분야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뇌는 아주 작은 생물학적 기계인 뉴런들의 활동을 통해 의식적 경험을 만들어냅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바로 ‘뇌’가 만들어낸 이 경험이 ‘일인칭’으로 경험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그런 경험은 매우 주관적입니다. 뇌가 만들어내는 이러한 의식적 경험의 특질에다 저자가 책에서 제시한 가정을 섞고, 거기에 생각을 조금 더 뻗어 보면 매우 흥미로운 사고 실험을 해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뇌와 똑 같은 기능을 하는 기계로 뇌를 대체할 경우, 그 뇌에서 경험하는 의식이 진짜 의식인지, 아니면 정교하게 시뮬레이션된 유사 의식 (pseudo-consciousness)인지 어떻게 구분 가능할까요? 


이 질문은 상당히 SF적이지만 질문을 살짝 뒤집어 보면 매우 현실적인 질문이 되기도 합니다. 우리의 의식적 경험은 생애주기에 따라 크게 변화하게 되는데, 특히 신경 퇴행성 쇠퇴기 진행되는 노년기에 이르러 더욱 극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심지어 자신이 누구인지 인식하지 못하는 단계에 접어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듯 사람의 일생 동안 일관되고 유니크하게 존재하는 ‘자기(self)’는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10년 전의 ‘나’와 지금의 ‘나’, 그리고 10년 후의 ‘나’를 동일하게 여깁니다. (자기 동일성, 自己同一性, self-identity)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요? 

불행히도 우리는 이 대답을 아직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제 조금씩 그 비밀을 알아내고 있습니다.  저자 역시 이러한 연구의 최첨단에 서 있는 분으로 자신과 자신이 속한 분야의 연구 성과를 이 책에서 자세히 풀어내 주고 있습니다. 






#내가된다는것, #아닐세스, #장혜인, #흐름출판,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움받는 식물들 - 아직 쓸모를 발견하지 못한 꽃과 풀에 대하여
존 카디너 지음, 강유리 옮김 / 윌북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움받는 식물들 (존 카디너 著, 강유리 譯, 윌북, 원제 : Lives of Weeds)”을 읽었습니다.


저자인 존 카디너 (John Cardina)는 농업경제학을 전공한 학자로 현재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 재직 중인 분이라고 합니다. 저자는 식물의 침입종 (Invasive species)으로 인한 문제를 연구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농업, 자연 시스템의 유지 및 보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이라고 하네요. 


민들레. 타락사쿰 오피키날레( Taraxacum officinale )이라는 학명을 가진 이 풀은 화단을 관리하는 사람들에게 악마와 같은 풀입니다. 그렇기에 잡초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풀이 잡초가 된 시기는 비교적 늦은 19~20세기라 합니다. 깊은 뿌리를 무기로 납작하게 엎드려 살아남는데 능한 이 풀을 없애기 위해 인간들은 별의 별 수단을 다 사용하지만 별무소용 (別無所用).

단지 화단을 망친다는 심리적 이유로 잡초로 분류된 이 풀은 정말 억울할 것 같습니다. 동아시아에서는 그 쓰임새를 발견하여 약재, 대용차 등으로 활용하기도 하고 특유의 생명력 덕분에 사람들의 인식도 괜찮은 풀이기 때문입니다. 


이 책에 등장하는 민들레, 어저귀, 기름골, 플로리다 베가위드, 망초, 비름, 돼지풀, 강아지풀 등은 인간이 그 쓰임새를 찾지 못했거나, 인간이 하고자 하는 일들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잡초로 분류되는 식물들입니다. 그래도 이들은 이름이라도 있습니다. 우리가 통칭 잡초라 일컫는 많은 식물들 역시 이름을 가진 풀도 있고 그렇지 않은 풀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이 하는 일을 방해하는 풀들을 우리는 잡초라 범주화합니다. 그러면서 인류는 잡초를 없애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합니다. 불 태우기도 하고, 뿌리를 뽑기도 하고, 독한 화학약품을 뿌리기도 하지요. 하지만 잡초는 그 노력의 틈바구니를 사정 없이 비집고 들어와 그렇게 번성해 나갑니다. 수 천년의 역사 속에서 잡초를 없애려는 인간의 노력은 무수히 실패하였으며 알게 모르게 잡초와 함께 해왔음을 저자는 이야기하면서 앞으로도 이러한 노력은 실패할 것이라 이야기합니다.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식물들은 비록 잡초이지만 인간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공진화’한 식물들입니다. 인간이 농경선택을 통해 식물의 변화를 촉발하였고, 이는 단순히 생물학적 현상 뿐 아니라 사회 문화적, 개인 심리적 현상과도 연계되어 있음을 이 책은 보여줍니다. 

모든 생명이 이름을 가진 것은 아닙니다. 이름은 인간의 편의를 위해 붙였기 때문이지요. 그렇기에 저자는 잡초는 인간의 분류일 뿐이라 단언합니다. 또한 인간은 이러한 잡초 없이 지금의 인간이 될 수 없다고도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역사를 되짚어 보면서 잡초와 인류가 함께한 역사를 이 책에서 멋지게 풀어내어 그 근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잡초라 이름 짓고,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을 통해 잡초의 역사를 보여줍니다. 즉, 이 책은 잡초의 역사에서 인간의 역할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움받는식물들, #존카디너, #강유리, #윌북, #이북카페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래된 기억들의 방 - 우리 내면을 완성하는 기억과 뇌과학의 세계
베로니카 오킨 지음, 김병화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된 기억들의 방 (베로니카 오킨 著, 김병화 譯, 알에이치코리아, 원제 : The Rag and Bone Shop: How We Make Memories and Memories Make Us )”을 읽었습니다. 


저자는 베로니카 오킨 (Veronica O'Keane)입니다. 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연구하는 신경학자이자 정신건강의학자로 30년에 가까운 연구와 임상 경험을 쌓아온 학자라고 합니다. 최근 저자의 연구와 관련한 대중서적을 출간했는데 이번에 읽은 “오래된 기억들의 방”은 그 중 하나입니다. 




저자가 기억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이디스라는 환자로부터였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 환자의 사연이 저자가 가진 기억에 대한 이해를 무너뜨리고 다시 만들어냈다고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한 병원에서 출산 전후에 정신과 질환을 앓는 환자를 치료하고 있었는데 그 때 만난 환자 중 한 명이 바로 이디스였습니다. 건강한 아이를 출산한 후 이디스는 감정적으로 멍해졌고, 우울해지고 산만했지만 무엇 때문인지 말하지 않았던 환자였습니다. 묻는 말에도 반응하지 않고 아무런 감정도 드러나지 않는 얼굴. 정신병의 전형적인 특징인 ‘갇힌 (locked-in)’ 태도였다고 합니다. 비록 다른 사람들은 듣지 못하고, 느끼지 못하지만 그들이 느끼는 이 환각은 그들에게는 실제로 일어나는 진짜 감각 경험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감각 세계 속에 고립되고 갇히게 되는데, 이디스는 이런 비정상적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악마’라는 존재로 이해하려고 했습니다.  

이디스는 카그라스 증후군을 앓고 있었습니다. 즉 자신의 아이가 누군가 (이디스는 이 존재를 악마로 이해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바꿔치기 했다는 믿음을 갖는 산후 정신병의 일종이라고 합니다. 더구나 이디스는 자신의 배우자 역시 사기꾼에 의해 대체되었으며 자신을 해치려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후 이디스의 정신병은 치료되었고, 이디스 자신이 정신병을 앓았음을 분명히 알았지만 그 때의 기억만은 진짜로 남아있게 되었습니다. 저자는 이 이디스라는 환자를 치료하면서 그녀의 기억이 독자적인 유기적 실체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기억은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그 감정은 다시 살아낸 경험으로 현재로서 존재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기억은 정적인 개념이 아니라 정보를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유지하며, 인출하는 과정 전체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기억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듯 단순한 정보의 기록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대부분의 영역에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는 아침에 일어나서 ‘내’가 누구인지 바로 인식합니다. 그리고 어디로 출근해야 하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바로 알게 되지요. 의식하지 못해도 우리는 ‘나’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기억하지 못한다면 ‘나’의 정체성을 인식하지 못할 것입니다. 기억은 정신을 지탱하는 기둥이자, ‘나’라는 정체성과 고유성을 인식하게 하는 기초입니다. 

 

이 책은 우리가 어떻게 기억을 만들어내고, 기억은 우리의 정체성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에 대해 알려주고 있습니다.  책의 첫머리엔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영역본 제목이 ‘지나간 것들의 기억(Remembrance of Things Past)’에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In Search of Lost Time)’로 바뀐 사례를 이야기하면서 신경학의 발전 과정에 대한 암시를 줍니다. 앞선 제목이 뇌 안의 고정된 저장고에서 기억을 수동적으로 소환해오는 것을 의미한다면, 바뀐 제목은 흘러가는 과거에 대한 능동적인 탐구를 의미한다고 말이지요. “오래된 기억들의 방”을 읽다 보면 왜 서두에서 그 이야기를 꺼냈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래된기억들의방, #베로니카오킨, #김병화, #알에이치코리아,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괴의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1 요괴의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1
히로시마 레이코 지음, 미노루 그림, 김지영 옮김 / 넥서스Friends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포일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바랍니다.)



네 살인가, 다섯 살인가. 

야스케는 그 어린 나이에 산 속에서 홀로 울고 있었습니다. 센야가 그를 발견하기 전까지.

10여 년을 함께 살아가는 동안 센야는 야스케의 전부가 되었습니다.

‘센 형의 시중은 내가 들 거야.’ 


어느 날 우부메의 돌이 깨졌고, 요괴의 아이 돌보니 우부메는 사라져버렸습니다.

돌을 깨뜨린 야스케. 몰랐다고 하지만 요괴들은 아이를 돌볼 우부메가 사라져 난처합니다. 

그렇게 우부메가 돌아올 때까지 야스케는 요괴의 아이를 돌보게 되었습니다.

많은 시간 동안 요괴의 아이들을 돌보면서 야스케는 성장했습니다.


어느 날 센야는 사라지고, 야스케는 사라진 센야를 찾아 추적합니다. 그리고 얼음 속에 갇힌 센야를 발견합니다. 하지만 야스케의 간절한 바람과 야스케를 향한 센야의 마음은 얼음을 감쪽같이 사라지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얼음이 사라진 자리에 작은 아이가 새근새근 잠들어 있었습니다.  

야스케는 모든 것을 깨달았습니다. 센야입니다.


원래의 모습으로 도저히 되돌아올 수 없어 다른 모습으로 야스케에게 돌아온 것일까요?

요괴인 센야도 야스케를 키웠으니, 이제 야스케도 센야를 키울 겁니다. 야스케는 평범한 인간이 아니라 요괴 아이 돌보미니까요.

‘센 형의 시중은 내가 들 거야.’ 



야스케와 센야의 좌충우돌 판타지 육아 스릴러이자 저희 집 아이들의 최애 판타지 소설인 “요괴의 아이를 돌봐드립니다 (히로시마 레이코 著, 미노루 畵, 김지영 譯, 넥서스프렌즈, 원제 : 妖怪の子預かります, 전 10권)”는 그렇게 막을 내렸습니다. 



전작에서 시간이 흐른 뒤의 이야기라 센야의 영혼을 가진 센키치, 규조의 쌍둥이 딸들인 아마네와 긴네 등 등장인물과 요괴가 늘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더 이상 소년이 아닌 청년이 되어버린 야스케도 다시 등장합니다. 야스케는 자신이 받았던 사랑을 센키치에 다시 나누어주며, 요괴 아이 돌보미 일도 계속하면서 그렇게 세월은 흘러갔습니다. 


센야로서의 기억을 모두 잃어버린 센키치. 보는 사람들이 감탄할 정도로 귀여운 아이가 되었습니다. 여섯 살이 된 어느 봄날. 센키치는 가출을 결심합니다. 

야스케는 자신에게 모든 것이고, 야스케 역시 자신의 모든 것임을 잘 알지만.


왠지 자신을 바라보는 야스케의 눈이 슬퍼보입니다. 이유를 물어봐도 아무도 대답해주지 않습니다.

여섯 살의 센키치는 결론을 내립니다. 자신의 존재가 야스케를 슬프게 하는거라고.

그렇게 가출을 감행하지만…

아마네와 긴네가 따라옵니다. 


그렇게 첫 사건이 시작됩니다. 


다시 야스케의 모험이 시작됩니다. 네, 요괴육아라는 독특하고 흥미로운 소재를 통해 아이들에게 판타지 소설의 재미를 느끼게 해준 요아돌 시리즈 시즌 2가 “요괴의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히로시마 레이코 著, 미노루 畵, 김지영 譯, 넥서스프렌즈, 원제 : 妖怪の子、育てます)”로 돌아왔습니다.







#요괴의아이를키우고있습니다 #요괴의아이를돌봐드립니다 #히로미사레이코 #미노루 #김지영 #넥서스프렌즈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인 지식사전 - 초보자를 위한 와인 입문 가이드
켄 프레드릭슨 지음, 김다은 옮김 / 미래지식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인 지식사전 (켄 프레드릭슨 著, 김다은 譯, 미래지식, 원제 : Wine: A Beginner's Guide)”를 읽었습니다. 



또 하나의 새로운 와인책입니다. 초보자를 위한 와인 입문 가이드라는 부제를 가진 제법 얇은 책입니다. 저자는 켄 프레드릭슨. 저자 이력을 보니 마스터 소믈리에네요. 소위 MS라는 약자로 불리는 최고의 소믈리에로 일년에 몇 명만 통과한다는 최고의 난도 시험에 통과하신 분입니다. 일단 마스터 소믈리에라는 사실에 리스펙하고 싶습니다. 그럼 어떤 책인지 볼까요?


책은 7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와인기초지식.

 포도밭에서부터 와인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즉 수확, 파쇄, 발효, 랙킹, 압착, 숙성, 병입까지의 과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포도밭의 일 년 간의 생애, 와인 라벨 읽는 법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내추럴 와인 같은 핫한 아이템도 다루네요. 사실 알아 두면 유익한 내용들일 것 같습니다. 


2장은 와인의 특성.

 와인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는 바디, 타닌, 신맛, 단맛, 알코올에 대한 설명입니다. 의외로 자세한 설명이 눈에 띕니다. 예를 들어 와인 안에 들어 있는 신맛을 주석산, 구연산, 말산으로 자세히 설명하는 책은 그리 많지 않더군요.


3장은 와인의 스타일.

 스파클링 와인, 라이트/미디엄/풀 바디 화이트 와인, 아로마틱 화이트와인, 로제와인, 라이트/미디엄/풀 바디 레드 와인, 디저트 와인으로 나누어서 각 스타일에는 어떤 와인들이 있는지 소개하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와인을 찾기 위해선 우선적으로 이런 여러 스타일을 다양하게 접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핫한 오렌지 와인에 대한 설명도 재미있습니다. 


4장, 와인 테이스팅

와인 테이스팅의 기본이 되는 시각, 후각, 미각, 평가 등 네 단계를 매우 자세히 소개하는 장입니다. 이 장에서 저자가 소믈리에로서 장점을 제대로 발휘하는 것 같습니다. 현업 소믈리에가 직접 옆에서 설명해주는 듯 생생합니다. 특히 와인에서 가끔씩 느낄 수 있는 결함 있는 향의 설명도 나와 있어 꼭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5장은 소믈리에처럼 와인 즐기기입니다.

 소믈리에라는 직업에 대한 설명부터 악명높은 마스터 소믈리에 시험에 대한 저자의 경험이 재미있습니다. 식당에서 소믈리에와 대화하는 현실적인 팁 다음에는 저자가 소믈리에라는 직업에 종사하면서 터득한 와인 서빙 및 보관 법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와인잔이 그림과 함께 소개되는 부분도 마음에 드는 점입니다.


6장, 세계의 와인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오스트리아, 독일, 그리스, 미국, 칠레,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등 와인샵에서 만나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주된 와인 생산국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요 산지에 대한 설명도 있어 상당히 유익한 장입니다.  나라별로 와인을 다양하게 마시는 것도 와인을 알아가는 데 무척 중요할 것 같습니다.


7장, 와인과 음식 페어링

 와인을 마실 때 음식이 빠질 수 없죠. 특히 소믈리에는 이 분야의 최고 전문가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책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보다 훨씬 자세한 와인 페어링 팁들이 이어집니다. 치즈, 채소, 고기, 어패류, 허브/향신료, 디저트 등 각 음식과 어울리는 와인들도 리스트로 제시하고 있네요.

 


이 책은 저자가 마스터 소믈리에를 취득 후 모교인 네바다 라스베이거스 주립대학에서 와인 강의를 하기 위해 쓴 책이라고 합니다. 잘 짜인 와인 개론서가 없다는 점이 아쉬워서 학생들이 참고할 만한 책을 직접 집필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은 한번만 읽는 책이 아니라 두고 두고 참고할 만한 많은 내용들이 담겨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부담스럽지 않게 접근할 수 있는 충실한 개론서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사실 마스터 오브 와인이 쓴 와인 책들은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책들은 대부분 접근성이 떨어지는 책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마스터 소믈리에가 쓴 책은 찾기가 힘든데, 이 책은 정말 마스터 소믈리에다운 책으로 보입니다. 현실적이면서도 깊이가 있는데다 유익한 내용들이 많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아예 와인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책이지만 기본 입문서 한 두 권 정도 읽은 사람들에게도 추천할 수 있는 책입니다.  


#와인지식사전 #켄프레드릭슨 #김다은 #미래지식 #책좋사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