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종들에서, 특히조류와 곤충류에서 암컷은 다윈주의의 규칙에 따라 경제적, 실용적으로 옷을 입는다. 반면 수컷들은 자연 선택에 위배되는데도 화려한 색깔과 바로크 양식의 장식, 정교한 노래와 댄스 순서를 좋아하며, 극악하게도 다윈주의의 규칙들을 무시한다. 공작 암컷은 비용을 절감하는 냉정한 공학자가 설계한 것 같다. 반면 그녀의 배우자는 할리우드 뮤지컬 세트에서 걸어 나온 것 같다. - P194
다윈은 자연 선택에는 이처럼 명백히 무가치해 보이는 화려함을 설명할 힘이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의 해결책은 성 선택 이론이었다. - P194
이것은 확실히 장식적인 수컷들에게 짝짓기상의 이점을 주며, 궁극적으로는 번식에서 더 큰 성공을 거둘 가능성을 높인다. 그러므로 수컷들은 진화의 시간을 거치며 훨씬 더 과장되고 과도한 화려함을 발달시키게 됐다. - P194
박물학자들은 .....… 동물 수컷의 무기들이 성 선택의 결과******라는 주장, 즉 가장 잘 무장한 수컷들이 가장 많은 암컷들을 얻어 자신의 남성적인 우월성을수컷 자손들에게 전달해 준다는 주장을 인정한다. 그러나 많은 박물학자들은 동물 암컷들이 특정 수컷들을 다른 수컷들보다 더 선호해 어떤 선택력을 행사한다는 주장은 의심하거나 부인한다."(Dawin 1882: Barrett 1977, i, 278쪽) - P195
수컷의 놀라운 장식들과 암컷의 선택이 그 장식을 낳게 한 선택압이라는 주장에 집중하겠다. - P195
"사슴벌레과(Lucanidae) 수컷의 큰 턱은..... 매우 눈에 띄며 아주 우아하게 가지가 나 있어서그것들이 수컷들에게 하나의 장식품으로써 쓸만할지도 모르겠다는 의혹이 때때로 머릿속을 스친다. ... 칠레 남부에서 관찰되는 사슴벌레과의 키아소그나투스 그란티이는 화려한 딱정벌레로서 엄청나게 발달한 큰 턱을 가졌다. 그는 용감하며 호전적이다. 어느쪽에서 위협하든, 그는 둥글게 트인 커다란 턱을 마주 돌리며 동시에 크게 울부짖는다. 그러나 턱은 실제적인 통증을유발할 정도로 손가락을 찌를 만큼 충분히 강하지는 않았다."(다윈, 『인간의 유래』에서 인용) - P199
|